6조원 세금내던 삼성전자, 올해는 고작 수천억원?...법인세 빨간불
오수현 기자(so2218@mk.co.kr)
입력 : 2025.03.21 21:21:59 I 수정 : 2025.03.22 15:14:04
입력 : 2025.03.21 21:21:59 I 수정 : 2025.03.22 15:14:04
영업익 12조 거뒀지만
이월결손금 등 공제하니
법인세 납부액 1조 밑돌아
최대 6조원 내던 삼성 공백에
올 법인세 목표 88조원 못미칠듯
이월결손금 등 공제하니
법인세 납부액 1조 밑돌아
최대 6조원 내던 삼성 공백에
올 법인세 목표 88조원 못미칠듯

정부 관계자는 21일 “삼성전자가 공제 항목 등을 점검하며 최종 납부할 법인세를 산출 중인데 1조원을 넘지 않는 수천억 원 규모에 그칠 전망”이라면서 “최저한세율을 적용받는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기업들이 정부에 납부하는 법인세는 외국에 세금을 내는 해외 현지법인이나 자회사 등을 제외한 별도 재무제표상 이익을 기준으로 한다. 이 기준으로 삼성전자는 지난해 영업이익 12조3600억원을 내며 1년 만에 흑자 전환했다. 삼성전자는 2023년 11조5300억원의 영업손실을 내며 법인세를 납부하지 않았지만 올해 다시 법인세를 납부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정부가 올해 법인세 수입을 작년보다 26조원 늘어난 88조원으로 예상한 배경에도 삼성전자 등 반도체 기업들의 실적 개선에 대한 기대감이 자리 잡고 있다.
하지만 삼성전자가 흑자 전환에도 불구하고 전년 손실을 차후 연도에 공제해주는 이월결손금 등 각종 공제항목을 적용한 결과 실제 납부액이 수천억 원에 그치면서 정부의 법인세 목표에도 빨간불이 켜졌다.

법인세는 순이익에서 세법에 따라 익금산입 및 손금불산입, 손금산입 및 익금불산입을 조정해 소득금액을 산출한 뒤 여기에서 이월결손금, 비과세소득, 소득공제 등을 차감해 과세표준을 정한다.
삼성전자가 최근 5~6년 새 많게는 6조원가량을 법인세로 납부했다는 점을 감안할 때 올해 납부액 수천억 원은 세수 감소에 허덕이고 있는 정부 입장에서 실망스러운 수치다. 삼성전자의 법인세 납부 규모를 가늠할 수 있는 지표인 재무제표상 법인세부채 금액을 보면 2019년(2018년 귀속) 7조9300억원에 달했고 2023년에는 2조5300억원이었다. 여기에 각종 공제 항목 등을 반영한 실제 납부액은 적게는 2조원, 많게는 5조~6조원으로 추산된다.
이 때문에 삼성전자 법인세에 따라 정부의 법인세 수입도 출렁여왔다. 삼성전자가 2021년에 전년 대비 56% 급증한 영업이익 32조원(별도 기준)을 거두자 이듬해인 2022년 정부의 법인세 전체 수입은 103조6000억원으로 전년보다 47% 늘었다. 반면 삼성전자가 2023년 적자를 내며 이듬해 법인세를 한 푼도 못 내게 되자 2024년 법인세 수입은 전년보다 22.3% 급감했다.
다만 삼성전자 다음으로 법인세를 많이 내는 것으로 알려진 SK하이닉스의 작년 말 기준 법인세부채가 전년(45억원)보다 크게 늘어난 2조9700억원으로 집계돼 삼성전자의 부진을 일부 상쇄할 전망이다.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뉴욕증시-1보] 美·中 무역협상 낙관론 부상…동반 급등
-
2
[2보] 뉴욕증시, 미중 무역갈등 완화 기대에 반등…다우 2.7%↑
-
3
무역보험공사 워싱턴 지사 개소…"대미 수출·투자 지원"
-
4
AI 시험대 올라선 네카오…내달 1분기 실적 나란히 공개
-
5
[1보] 뉴욕증시, 미중 무역협상 진전 기대에 반등…3대지수 2%대↑
-
6
뉴욕증시, 美·中 무역협상 낙관론 부상…동반 급등 마감
-
7
테슬라 1분기 매출 9% 감소…시장 예상치 하회
-
8
빅테크 주가, 미·중 무역 갈등 완화 기대에 반등…애플 3.4%↑
-
9
뉴욕증시, 미중 무역갈등 완화 기대에 반등…다우 2.7%↑(종합)
-
10
“월급 20만원이 덜 들어왔어요”…1030만명 직장인, 이달 건보료 더 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