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되기만 하면 500조원 시장서 달린다”...다음주가 관건이라는 원전 해체株
오대석 기자(ods1@mk.co.kr)
입력 : 2025.06.20 19:51:16 I 수정 : 2025.06.20 20:06:56
입력 : 2025.06.20 19:51:16 I 수정 : 2025.06.20 20:06:56
이달 26일 고리1호기 해체 심사
오르비텍·우진엔텍 등 강세보여
오르비텍·우진엔텍 등 강세보여

20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오르비텍은 전일 대비 11.18% 오른 4375원에 거래를 마감했다. 전날 29.87% 오르며 상한가를 기록한 데 이어 이틀 연속 주가가 급등했다. 오르비텍은 원전 방사선 관리와 폐기물 분석·처리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원전 해체시장 선점을 위한 분석센터 설립 준비 등 신규 사업 진출을 추진 중이다.
원자력 안전기술 전문기업 우진엔텍도 전일 29.82% 오른 데 이어 이날도 1.35% 오른 3만원에 장을 마쳤다. 2013년 설립된 우진엔텍은 원자력·화력발전소용 계측제어설비 전문 업체다. 영구정지된 고리 1호기와 월성 1호기를 대상으로 2026년부터 원전 해체 사업에 본격 진출할 계획을 밝혔다.
이외에도 대창솔루션(10.87%), 위드텍(1.24%) 등 원전 해체 관련주로 분류된 기업의 주가가 강세를 보였다. 두 기업 주가는 장 중 한때 각각 29.78%, 29.92%까지 치솟으며 높은 변동성을 보였다.
원전 해체 관련 기업들 주가가 연이어 급등하는 것은 고리1호기의 해체 심사가 오는 26일 진행되면서 해외 원전 해체시장 진출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졌기 때문이다.
한국은 원전 건설 분야에서는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췄다. 그러나 해체시장에서는 아직 경험이 전무한 만큼 이번에 고리1호기 해체를 결정한다면 국내에서도 원전 해체 사례가 나오게 된다.
성공적으로 원전을 해체할 경우 한국도 원전 가동부터 해체까지 원전 전 주기에 걸쳐 경험을 쌓게 되는 셈이다. 이 작업에 참여한 기업들은 기술력과 경험을 확보해 해외 원전 해체시장에 진출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시장에서는 글로벌 원전 해체 규모가 2050년께 500조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올해 5월 기준 영구정지 상태지만 아직 해체되지 않은 원전이 189기에 달한다. 전 세계 22개국에서 원전 214기가 영구정지됐지만 아직 25기만 해체됐다. 앞으로 영구정지를 앞둔 원전까지 더하면 해체시장의 규모는 더욱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트럼프 "연준 파월은 얼간이…美기준금리, 1%보다 낮아야"
-
2
“삼성·현대차 거르고 샀더니 2배 벌었네요”...수익률 113% 대기업 그룹주 ETF는
-
3
[뉴욕증시-1보] EU·멕시코 관세도 불확실성 해소일 뿐…강세 마감
-
4
폴드7·플립7 예약 판매 돌입…이통3사 가입자 쟁탈전
-
5
'위믹스 유통량 조작 논란' 장현국 오늘 1심 선고…게임계 긴장
-
6
“3개월전에 샀으면 이게 다 얼마야”…로켓처럼 튀어오르는 쿠팡 주가
-
7
뉴욕증시, EU·멕시코 관세도 '배드 이즈 굿'…강세 마감
-
8
삼쩜삼發 소득세 환급대란 점검…국세청, 상반기 1천423명 추징
-
9
사할린동포·탈북민 등에 공공임대 재공급 주택 입주 자격 완화
-
10
[코스피·코스닥 전 거래일(14일) 주요공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