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출액 또는 손익구조 30%(대규모법인은 15%)이상 변동
1. 재무제표의 종류 연결
2. 매출액 또는 손익구조변동내용(단위: 원) 당해사업연도 직전사업연도 증감금액 증감비율(%)
- 매출액 67,300,799,414 5,332,068,943 61,968,730,471 1,162.1
- 영업이익 907,999,453 -52,305,340,534 53,213,339,987 흑자전환
-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이익 3,208,631,006 -43,557,942,985 46,766,573,991 흑자전환
- 당기순이익 3,208,631,006 -43,557,942,985 46,766,573,991 흑자전환
- 대규모법인여부 미해당
3. 재무현황(단위 : 원) 당해사업연도 직전사업연도
- 자산총계 185,180,595,640 65,452,755,704
- 부채총계 115,667,312,852 9,499,816,726
- 자본총계 69,513,282,788 55,952,938,978
- 자본금 23,894,107,000 23,561,637,500
4. 매출액 또는 손익구조 변동 주요원인 - 당기 매출액(영업수익) 증가의 주요 요인은 아래와 같으며, 이로 인해 영업이익,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이익, 당기순이익 모두 흑자전환
    - 1월 Sanofi와의 신규 기술이전 계약에 따라 수취한 USD 75,000,000 중 수행의무의 기간에 걸쳐 매출로 인식된 금액 및 일시에 매출로 인식한 마일스톤(GLP tox study) 수취 금액 USD 20,000,000 (단, 임상시험 1상 첫 투여에 따른 마일스톤 수취 금액 USD 25,000,000은 2023년 귀속)
    - 기존 Compass Therapeutics 등과의 기술이전 계약에 따라, 과거 수취하여 수행의무의 기간에 걸쳐 매출로 인식된 금액 외에도 당기에 수취하여 일시에 매출로 인식한 마일스톤 금액
- 비용 증가의 주요 요인은 아래와 같습니다.
    - 기술이전 계약에 따른 계약금(Upfront) 및 마일스톤 금액들은 USD 환율이 높은 시점에 수취하였으나, 기말 시점에 환율이 크게 감소하여 보유 중인 외화자산에서의 외화환산손실 증가
    - 일부 연구개발 파이프라인의 2022년 임상시험 시작 및 2023년 임상시험 진입 준비를 위한 임상시험용 의약품 생산 비용 증가
    - 부여된 주식매수선택권(Stock Option)에서 발생하는 주식보상비용 44억원 (한편, 해당 비용은 현금유출이 없는 회계적 비용에 해당)
5. 이사회 결의일(결정일) 2023-02-10
- 사외이사 참석여부 참석(명) 2
불참(명) 0
- 감사(사외이사가 아닌 감사위원)참석여부 -
6. 기타 투자판단에 참고할 사항 - 상기 주요 재무내용은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K-IFRS)에 따라 작성되었으며, 당해사업연도는 연결, 직전사업연도는 개별 재무제표 기준입니다.
- 직전사업연도 재무수치는 직전사업연도 감사보고서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 상기 내용은 내부 결산자료이므로, 외부감사인의 감사결과 및 주주총회 승인과정에서 변경될 수 있습니다.
※관련공시 -
당해 정보는 외부감사인의 감사가 종료되기 이전의 정보이므로 감사결과에 따라 일부 수정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함에 있어 착오 없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