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안전사고·범죄 예방도 AI로…교육부 시스템 개발 착수
과기부 지원 대상에 선정…2025년 학교 복합시설에 시범 도입
김수현
입력 : 2023.05.09 06:00:09
입력 : 2023.05.09 06:00:09

[교육부 제공]
(세종=연합뉴스) 김수현 기자 = 정부가 학교 내 안전사고와 범죄 예방을 위해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활용한 시스템 개발에 나선다.
교육부는 '학교 복합시설 스마트 안전 관리 시스템' 개발 사업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2023년 민관협력 공공 혁신 플랫폼 구축 지원 사업' 대상으로 선정됐다고 9일 밝혔다.
학교 복합시설 스마트 안전관리 시스템은 AI, IoT가 수집하는 다양한 정보를 활용해 학생 안전 서비스, 출입자 관리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과기부 지원 대상으로 선정되면서 교육부는 2억5천만원을 사업계획서 수립 비용으로 지원받고, 본격적인 시스템 개발에 착수한다.
교육부에 따르면 시스템이 개발될 경우 학교 곳곳에 설치된 지능형 폐쇄회로(CC)TV와 지능형 사물인터넷(AIoT) 센서로 각종 정보를 수집해 학교 안전을 강화할 수 있다.
학생의 등교 정보를 학부모에게 휴대전화 메시지로 알려주고, 화재 감지 센서를 시스템과 연동해 화재가 발생할 경우 실시간 신고, 최적의 대피 동선 안내도 가능해질 것으로 교육부는 보고 있다.
학생이 계단에서 급하게 뛰어 내려가다 넘어질 뻔한 일이 발생할 경우 학교 관리자에게 사고 위험 가능성과 위치 정보를 전달해 미끄럼 방지 장치 보강 등 유지 보수 조치에 나설 수 있도록 안내할 수도 있다.
아울러 학생, 교직원, 사전에 승인받은 방문객만 학교를 이용할 수 있도록 출입을 통제할 수 있게 되고, 방문객의 동선도 실시간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된다.
교육부는 2024년까지 시스템을 개발하고, 2025년 학교복합시설에서 시범 운영을 시작해 향후 전국 모든 학교로 시스템을 도입한다는 계획이다.
교육부는 이와 함께 학생과 이용자의 인권·개인정보 침해 가능성에 대비해 '학교 내 원격 통합관제 시스템 설치·운영을 위한 규정'(가칭) 등 관련 기준도 마련해나간다는 방침이다.
박성민 교육부 교육자치안전협력국장은 "개별 학교에서 인력에 의존하는 학교·학생 안전관리 체계를 AI, IoT 기술을 활용한 디지털 기반 운영·관리로 패러다임을 전환하는 것"이라며 "디지털 기반 교육 혁신 정책에 부응하는 교육부 핵심과제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porque@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23일 테슬라·알파벳 실적 발표···M7 중 첫 주자
-
2
세종시청 로비서 21일부터 '페루 문화·관광 사진 전시회'
-
3
[연합뉴스 이 시각 헤드라인] - 15:00
-
4
강원도, 병영 식당 대상 컨설팅 실시…군 급식 위생 '이상 무'
-
5
한수원, 신월성원전 2호기 발전 중지…계획예방정비 착수
-
6
결국 증권거래세 인상되나…금투세 도입 무산에 칼빼든 정부
-
7
[프로필] 권대영 금융위 부위원장…경험·실무 풍부한 '위기 해결사'
-
8
김영록 전남지사 "호우 피해 조속히 복구, 실질적 지원"
-
9
농식품 장관, 산사태 피해지역 긴급점검…"신속한 복구 최선"
-
10
농협, 호우 피해 무이자자금 1천억원 지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