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오롱플라스틱(138490) 소폭 상승세 +3.04%
입력 : 2023.06.22 11:41:21
제목 : 코오롱플라스틱(138490) 소폭 상승세 +3.04%
기업개요
코오롱그룹 계열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Engineering Plastic) 전문 업체. POM, PA, PBT, PET, TPEE, 투명소재 및 각종 Alloy 제품 등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을 비롯하여 복합소재 Composite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제품 포트폴리폴리오를 보유. 차량 경량화의 핵심인 프레임 및 엔진관련 부품의 필수 소재 PA(Polyamide)를 주력 제품으로 생산중. 최대주주는 코오롱인더스트리 외(66.73%), 주요주주는 국민연금공단(7.72%) Update : 2023.03.31 |
▶못 본 사람은 있어도 한번만 본 사람은 없는 마약주식신문!
개인/외국인/기관 일별 순매매동향(수량기준, 전일까지 5거래일)
일자 | 종가(등락률) | 거래량 | 개인 | 외국인 | 기관계 | 기타 |
06-21 | 9,550 ( -0.83 % ) | 90,408 | +11,559 | -10,568 | +1,069 | -2,060 |
06-20 | 9,630 ( +1.58 % ) | 99,476 | +7,084 | -7,149 | +31 | +34 |
06-19 | 9,480 ( -1.04 % ) | 120,521 | -1,130 | +3,841 | -4,022 | +1,311 |
06-16 | 9,580 ( +0.10 % ) | 95,709 | +5,633 | -4,845 | -1,791 | +1,003 |
06-15 | 9,570 ( -2.74 % ) | 201,581 | +5,841 | -6,905 | -2,955 | +4,019 |
공매도 정보(수량 기준, 전일까지 5거래일)
일자 | 공매도 거래량 | 업틱룰 적용 | 업틱룰 예외 | 잔고수량 | 매매비중 |
06-21 | 918 | 0 | 918 | - | 1.02% |
06-20 | 1 | 0 | 1 | - | 0.00% |
06-19 | 25 | 0 | 25 | 42,954 | 0.02% |
06-16 | 239 | 0 | 239 | 42,730 | 0.25% |
06-15 | 27 | 0 | 27 | 42,469 | 0.01% |
* 업틱룰예외는 해지거래, 차익거래 등 업틱룰의 적용이 면제된 거래를 의미.
* 공매도잔고는 보고의무에 따라 당일 기준으로 2일전 내역까지 확인가능.
* 매매비중 = 공매도 거래량 / 총 거래량
* 출처 : KRX 정보데이터시스템
종목히스토리
▶ 종목이슈
☞ 2023-05-10 2분기 호실적 전망 및 향후 안정적인 실적 기대감 등에 소폭 상승 |
▶ 종목공시
☞ 2023-05-09 23년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1,217.74억원(전년동기대비 -1.78%), 영업이익 103.53억원(전년동기대비 -6.63%), 순이익 89.48억원(전년동기대비 +17.72%) |
이슈&테마 스케줄
2023-09-13 H2 MEET 개최 |
관련테마
※ 테마와 관련된 상세한 설명과 자료는 증권사 HTS나 인포스탁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증권사 투자의견
평균목표가 : 13,000
일자 | 증권사 | 투자의견 | 목표주가 | 이전 투자의견 | 이전 목표주가 |
2023-02-16 | 신한투자증권 | 매수 | 13,000 | 매수 | 16,000 |
Copyright ⓒ True&Live 증시뉴스 점유율1위, 인포스탁(www.infostock.co.kr)
기사 관련 종목
07.18 15:30
코오롱ENP | 6,970 | 50 | -0.71% |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초음속 여객기 부활?…'조용한 초음속항공기' X-59, 활주 테스트
-
2
삼성전자 외인보유율 50%대 회복·개인은 하이닉스 대거 '쇼핑'
-
3
금투세 폐지에 '증권거래세' 단계적 정상화…증시부양 '딜레마'
-
4
"형님 따라 책임경영"…삼성 계열사도 임원 'LTI' 자사주로 지급
-
5
李정부 첫 세제…법인·대주주 '尹부자감세' 전면 복원한다
-
6
국고채 금리, 장기물 위주 상승…"美인플레·내년 예산안 영향"
-
7
세입기반 확충…'관행적' 조세지출·'곳간' 교육재정 개혁하나
-
8
창업자 10명 중 서너명이 50세 이상…'음식점 등 생계형 쏠림'
-
9
하반기 가계대출 절벽 오나…5대銀 증가목표 약 3.6조 축소될듯
-
10
'전세사기 배드뱅크' 시동…금융위, 피해주택 채권 실태 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