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부동산 투명성 지수 27위…한 단계 상승”
홍순빈 기자(hong.soonbin@mk.co.kr)
입력 : 2024.09.03 13:12:36
입력 : 2024.09.03 13:12:36

리츠 시장과 데이터 가용성 향상으로 한국의 부동산 시장 투명성이 향상됐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3일 글로벌 종합 부동산 서비스 기업인 JLL(존스랑라살)이 발표한 글로벌 부동산 투명성 지수(GRETI)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한국의 부동산 투명성 지수는 27위를 기록했다.
앞서 GRETI가 발표된 2022년 28위를 기록했던 것보다 한 단계 더 올라갔다.
주요 상승 요인으로는 오피스와 물류 섹터에서의 데이터 가용성과 품질 향상, 리츠 시장의 성장 및 제도화, 한국 부동산원의 벤치마크 도입, 그리고 기업 조달, 입찰 및 시설 관리의 표준 향상으로 인한 거래 프로세스 개선이 등이 있다.
아울러 지속가능성 부문에서 정부의 제로 에너지 빌딩 규정과 한국부동산원의 벤치마크 시스템 도입도 영향을 미쳤다.
이한국 JLL 임대차본부장은, “한국의 부동산 데이터 가용성과 품질의 향상, 성숙한 리츠 시장의 정보 수준 제고를 통해 한국 부동산 투명성에서 큰 진전을 이루었다”며 “이러한 발전은 글로벌 투자자들이 한국 시장을 신뢰하는데 크게 기여하고 있다”고 했다.
투명성 지수 1위 국가는 영국으로 미국, 캐나다, 프랑스, 호주 등도 크게 개선됐다. 싱가포르는 지속 가능성과 디지털 서비스 부문에서 괄목할만한 진전을 이루며 ‘투명’ 등급에서 ‘매우 투명’ 등급으로 올라갔다.
아·태지역 국가들은 2022년 이후 투명성 개선에서 큰 성과를 보였다. 일본, 호주, 사우디아라비아, UAE(아랍에미리트) 등은 투명성 지수가 크게 개선됐다.
케냐, 나이지리아, 가나 등 아프리카 지역도 시장 데이터 가용성과 접근성 영역이 일부 개선됐다.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너넨 관세 50%”…트럼프 지목 당한 ‘이 나라’ 채권에 개미들 몰린다
-
2
“자식은 없는데 재산은 있어요”…5060 1인가구도 은행 유언신탁 줄선다
-
3
[샷!] "용암을 먹다니…AI 선배들 대단해"
-
4
공매도 비중 상위 종목
-
5
[코스피·코스닥 전 거래일(18일) 주요공시]
-
6
"AI 도입 따른 기업 감원, 알려진 것보다 더 클 수 있어"
-
7
건설업 불황에 '20대 단순노무직·50대 상용직' 일자리 증발
-
8
건설취업자 외환위기後 최대폭 급감…생산위기→고용 '전이'
-
9
국토장관 후보자, 2008년 아파트 분양권 전매…"투자 목적 아냐"
-
10
4대 금융지주 2분기 실적 희비…연 순익은 18조로 사상최대 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