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사주 계획 밝힌 밸류업 공시에 디케이앤디 27% 상승
김제림 기자(jaelim@mk.co.kr)
입력 : 2024.09.05 15:36:01
입력 : 2024.09.05 15:36:01
글로벌 합성피혁 제조사인 디케이앤디가 5일 기업가치 제고 계획을 공시하고 중장기 주주 환원 계획 등을 발표하면서 주가가 급등했다. 디케이앤디는 현재 주가순자산비율(PBR) 0.7배인 주가를 저평가 수준으로 보고 2025년에 1.05배로 올리겠다고 밝혔다. 이에 주가는 전일대비 27.42% 오른 3950원에 거래를 마쳤다.
디케이앤디는 2027년까지의 현금 유입 및 지출 계획을 고려해 자사주 매입 재원 마련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하고, 2027년까지 최소 80억원의 자사주를 추가 매입하고 소각할 계획이다.
또한 기업 가치 제고 계획의 핵심지표로 PBR, 주주환원율(배당성향, 자사주 취득∙소각 금액 합산)을 선정해 주주가치 극대화를 위한 경영을 하겠다고 밝혔다. 현재 11% 수준인 주주환원율을 34.09%로 올리겠다고 제시했다.
디케이앤디는 위와 같은 목표를 현실화하기 위해 친환경 제품 연구 개발, 고부가 가치 제품 다양화, 해외 기업 컨소시엄, 설비 투자 및 생산 역량 증대 등을 실행할 계획이다.
각 사업 부문별로 살펴보면, 합성피혁 사업 부문에서는 친환경 제품 연구 개발, 고부가 가치 제품 다양화, 해외 컨소시엄 진출을 준비하고 있으며, 부직포 사업 부문에서는 친환경 라인 증설 및 설비 투자로 친환경 소재 제품 매출 확대를 노리고 있다. 모자 사업 부문은 국내 시장을 공략해 매출을 올리는 동시에 해외 공장 증설을 추진해 생산 역량을 높일 계획이다.
디케이앤디 최민석 대표는 “기업 가치 제고를 위해 친환경 제품 및 고부가 가치 제품 생산에 집중하는 등 고객의 니즈를 반영한 제품 연구 개발을 지속해 성장을 이어 나갈 것” 이라며 “주주의 이익과 편의를 위해 자사주 매입 및 소각 등 주주친화적 정책도 단계적으로 실시하면서 소통 채널도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디케이앤디
디케이앤디는 2027년까지의 현금 유입 및 지출 계획을 고려해 자사주 매입 재원 마련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하고, 2027년까지 최소 80억원의 자사주를 추가 매입하고 소각할 계획이다.
또한 기업 가치 제고 계획의 핵심지표로 PBR, 주주환원율(배당성향, 자사주 취득∙소각 금액 합산)을 선정해 주주가치 극대화를 위한 경영을 하겠다고 밝혔다. 현재 11% 수준인 주주환원율을 34.09%로 올리겠다고 제시했다.
디케이앤디는 위와 같은 목표를 현실화하기 위해 친환경 제품 연구 개발, 고부가 가치 제품 다양화, 해외 기업 컨소시엄, 설비 투자 및 생산 역량 증대 등을 실행할 계획이다.
각 사업 부문별로 살펴보면, 합성피혁 사업 부문에서는 친환경 제품 연구 개발, 고부가 가치 제품 다양화, 해외 컨소시엄 진출을 준비하고 있으며, 부직포 사업 부문에서는 친환경 라인 증설 및 설비 투자로 친환경 소재 제품 매출 확대를 노리고 있다. 모자 사업 부문은 국내 시장을 공략해 매출을 올리는 동시에 해외 공장 증설을 추진해 생산 역량을 높일 계획이다.
디케이앤디 최민석 대표는 “기업 가치 제고를 위해 친환경 제품 및 고부가 가치 제품 생산에 집중하는 등 고객의 니즈를 반영한 제품 연구 개발을 지속해 성장을 이어 나갈 것” 이라며 “주주의 이익과 편의를 위해 자사주 매입 및 소각 등 주주친화적 정책도 단계적으로 실시하면서 소통 채널도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너넨 관세 50%”…트럼프 지목 당한 ‘이 나라’ 채권에 개미들 몰린다
-
2
“자식은 없는데 재산은 있어요”…5060 1인가구도 은행 유언신탁 줄선다
-
3
[샷!] "용암을 먹다니…AI 선배들 대단해"
-
4
공매도 비중 상위 종목
-
5
[코스피·코스닥 전 거래일(18일) 주요공시]
-
6
"AI 도입 따른 기업 감원, 알려진 것보다 더 클 수 있어"
-
7
건설업 불황에 '20대 단순노무직·50대 상용직' 일자리 증발
-
8
건설취업자 외환위기後 최대폭 급감…생산위기→고용 '전이'
-
9
국토장관 후보자, 2008년 아파트 분양권 전매…"투자 목적 아냐"
-
10
4대 금융지주 2분기 실적 희비…연 순익은 18조로 사상최대 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