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테마시황

입력 : 2025.05.13 08:37:01
제목 : 미국 테마시황
5/12(현지시간) 뉴욕증시가 美/中 무역 합의 등에 급등한 가운데, 주요 테마들도 대부분 상승. 특히, 애플(+6.31%) 등 모바일, 엔비디아(+5.44%) 등 반도체, 마이크로소프트(+2.40%) 등 컴퓨터, 아마존(+8.07%), 알파벳A(+3.74%), 메타(+7.92%) 등 인터넷, 테슬라(+6.75%) 등 전기차 등 M7 관련 테마들이 일제히 강세를 나타냈고, 포드(+2.63%), GM(+4.44%) 등 자동차, 라스베이거스 샌즈(+6.53%), 윈 리조트(+8.22%) 등 카지노 테마 등도 큰 폭 상승. 알리바바 ADR(+5.76%), 징둥닷컴 ADR(+6.47%), 바이두 ADR(+5.08%) 등 중국 업체들이 큰 폭 상승한 가운데 전자상거래 테마도 상승했고, 소매업체 베스트바이(+6.57%)와 가구업체 RH(+16.35%)도 관세 인하로 사업이 본궤도로 복귀할 것이라는 기대감이 커지면서 급등하는 등 소매유통 테마도 강세. 트럼프 대통령이 이날 미 약값을 낮추는 대신 미 제약사들이 외국 정부와 계약할 때 높은 가격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하면서 일라이 릴리(+2.86%), 화이자(+3.64%), 모더나(+5.98%), 머크(+5.87%) 등 제약 테마도 상승.

이 외 국제유가 상승 속 엑슨 모빌(+1.72%) 등 정유, 다우(+5.09%) 등 화학 테마도 상승했고, 세일즈포스닷컴(+4.87%) 등 S/W 및 IT 서비스, 쇼피파이(+13.70%) 등 전자결제, 코인베이스(+3.96%) 등 가상화폐, 씨티그룹(+4.84%) 등 은행, 아메리칸 익스프레스(+5.06%) 등 카드, 나이키(+7.34%) 등 소비재, 페덱스(+6.94%) 등 물류, 델타 항공(+5.79%) 등 항공, 에어비앤비(+5.64%) 등 여행, 캐터필러(+5.20%) 등 산업재, 아이온큐(+5.18%) 등 양자, 오클로(+2.71%) 등 원자력 등의 테마가 상승.

반면, 금 가격 하락 등에 뉴몬트(-5.93%) 등 금(金) 테마가 하락했고, 듀크 에너지(-3.72%) 등 전력, 솔라엣지(-3.43%) 등 신재생에너지, 코카콜라(-1.40%) 등 음식료, 버라이즌(-1.40%) 등 통신 등의 테마가 부진한 모습.


관련 테마분석
2차전지
2차전지(Secondary battery)란 한 번 쓰고 버리는 배터리가 아닌 재충전이 가능한 배터리(rechargeable battery)를 의미함. 즉, 충전과 방전을 반복할 수 있는 전지이며, 양극재, 음극재, 분리막, 전해질 4대 핵심 소재로 구성. 2차전지는 스마트폰, 태블릿PC, 노트북 등 모바일/휴대용 IT기기와 전기차/하이브리드카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음.
- 히스토리

☞2025-05-12 내달 로보택시 출시 앞두고 테슬라(+4.72%) 주가 상승 영향 등에 상승(주도주 : 자이글, 코세스, 솔루스첨단소재, 엘앤에프, 알멕)
☞2025-05-09 국내 배터리 3사 비(非)중국 글로벌 전기차용 배터리 사용량 시장점유율 하락 소식 등에 하락
☞2025-04-30 LG에너지솔루션, 2분기 매출 감소 전망 등에 하락
☞ 관련종목 리스트 바로보기

반도체 대표주(생산)
메모리, 플래시메모리, 비메모리, 주문형반도체를 제조하고 있 는 국내 메이저 반도체생산업체들. IT경기와 밀접한 상관성을 보이고 있으며 이들 업체들의 설비투자와 분기실적이 반도체장비/소재업체들의 주가에 큰 영향을 주고 있음.
- 히스토리

☞2025-05-12 반도체 수출액 증가, 삼성전자·SK하이닉스 D램 가격 인상 및 美/中 무역 협상 기대감 등에 상승(주도주 : 삼성전자, DB하이텍, SK하이닉스)
☞2025-05-02 MS·메타 실적 호조에 따른 AI 기대감 및 반도체 4월 수출 호조 등에 상승(주도주 : SK하이닉스)
☞2025-04-28 모건스탠리, 하반기 메모리 반도체 수요 절벽 가능성 전망 등에 하락
☞ 관련종목 리스트 바로보기

자동차 대표주
자동차 종합생산 메이커 및 대형 모듈 부품업체. 국제 자동차산업 동향, 경기활성화 여부, 환율 동향, 유가 동향 등에 민감한 종목군임. 일반적으로 경기가 호황기를 보일 경우, 원/달러 환율이 상승할 경우, 유가가 하락할 경우에 실적개선 기대감이 커지는 경향이 있음. 고용효과와 국민경제 파급효과가 큰 산업임.
- 히스토리

☞2025-05-09 美 정부, 영국산 자동차 관세 일부 인하 결정 소식 속 일부 관련주 상승(주도주 : 기아, 현대차)
☞2025-04-29 트럼프 행정부 자동차 관세 완화 방침 등에 상승(주도주 : 현대모비스, 기아, 현대차, 현대위아)
☞2025-04-23 안덕근 산업부 장관, 자동차 美 관세 신속 해결책 마련 소식 등에 상승(주도주 : 현대모비스, HL만도, 기아, 현대차)
☞ 관련종목 리스트 바로보기

IT 대표주
반도체, 디스플레이(OLED 등), 가전 등 국내 대표 IT 기업군.
- 히스토리

☞2025-04-10 트럼프 대통령, 중국 제외 국가별 상호관세 90일간 전격 유예 소식 등에 상승(주도주 : LG디스플레이, SK하이닉스, 삼성전자, LG전자)
☞2025-04-03 美 상호관세 발표 속 글로벌 무역전쟁 우려 확산 등에 하락
☞ 관련종목 리스트 바로보기

국내 상장 중국기업
국내 증시에 상장된 중국계 기업들. 이들 기업들의 사업은 중국 내수산업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중국의 경기와 실적 연관성이 큰 특징을 갖고 있음.
- 히스토리

☞2025-04-17 中 한한령 해제 기대감 지속 등에 일부 관련주 상승(주도주 : GRT, 씨엑스아이, 헝셩그룹)
☞ 관련종목 리스트 바로보기

Copyright ⓒ True&Live 증시뉴스 점유율1위, 인포스탁(www.infostock.co.kr)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05.14 13:23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