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임기창 기자 = 6·27 대출규제 시행 이후 수도권에서 10억원이 넘는 고가 아파트 거래량은 급감했으나 서울을 중심으로 소수 단지의 가격은 상승하는 상반된 현상이 나타났다.
[집토스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17일 부동산 중개업체 집토스가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자료를 토대로 6·27 대책 전후 수도권 아파트 매매 실거래가를 분석한 결과 올 1월1일∼6월27일 10억원 초과 아파트 거래 비중은 23.9%였으나 대책 시행 첫날인 6월28일부터 이달 16일까지 비중은 12.1%를 기록하며 절반 수준으로 떨어졌다.
같은 기간 5억원 이하 아파트 비중은 40.1%에서 50.4%로, 5억원 초과∼10억원 이하 비중은 36.1%에서 37.5%로 각각 증가해 대출규제 영향이 덜한 중저가 위주로 시장이 재편되는 양상을 보였다.
고가 아파트의 거래량은 줄었지만 실제 거래된 가격은 상승했다.
수도권 매매가를 보면 10억원 초과 아파트 평균이 대책 시행 이후 2.8% 올라 5억원 이하(0.9%) 및 5억원 초과∼10억원 이하(0.9%)보다 월등한 상승률을 나타냈다.
특히 서울의 10억원 초과 아파트 매매가격이 3.6% 올라 전체 상승을 견인했다.
반면 경기도는 0.5% 오르는 데 그쳤고 인천은 6.1% 떨어져 수도권 내에서도 지역별 편차가 컸다.
서울의 고가 아파트 상승세는 노후 아파트가 견인했다.
재건축 가능성을 염두에 둔 투자가 몰린 결과로 풀이된다.
10억원 초과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 상승률을 건물 연령대별로 보면 30년을 초과한 노후 단지가 6·27 대책 시행 이후 7.3% 급등해 신축(3.8%) 상승률의 약 2배 수준을 기록했다.
[집토스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집토스는 "이번 가격 상승은 시장 전반 흐름이 아니라 대출규제 영향이 덜한 소수 투자자가 '서울의, 재건축 가능성이 있는' 특정 아파트로만 몰리는 쏠림 현상이 극대화한 결과"라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