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상 최고' 美증시에 월가 일각 "투자자들 관세위협 과소평가"

美관세율 이미 13%대…블룸버그 "시행중 관세만 고려해도 기억이익 타격"투자자들 2분기 '깜짝 실적'에도 냉담…"모든 호재 이미 반영됐다는 신호"
이지헌

입력 : 2025.07.21 03:56:14


뉴욕증권거래소의 트레이더
[AFP 연합뉴스 자료사진.재판매 및 DB 금지]

(뉴욕=연합뉴스) 이지헌 특파원 = 미국 뉴욕증시 주가지수가 사상 최고치 기록을 경신하고 있는 가운데 투자자들이 관세 위협을 과소평가하고 있다는 지적이 월가 일각에서 제기되고 있다고 블룸버그 통신이 20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블룸버그 이코노믹스 추산에 따르면 미국 수입업체들이 지불하는 평균 관세율은 이미 13%대로, 지난해 대비 5배 이상 수준으로 오른 상태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대부분 국가별 상호관세 시행을 8월 1일 이후로 유예했지만, 기본관세율 10%를 비롯해 철강, 자동차 등 품목별 관세는 이미 시행 중이다.

중국산 수입품에는 한때 145%의 관세를 부과하다 미중 간 고위급 회담 결과 '관세 휴전'에 들어갔지만, 여전히 30%(기본관세 10%에 펜타닐 관세 20%)의 추가 관세를 부과 중이다.

중국산 수입품에는 예전부터 부과해온 20%대 관세와 기본관세 10% 외에 펜타닐 대응 등을 이유로 20% 관세를 추가해 총 50%의 관세를 부과하고 있다.

높아진 관세율은 미국 기업들의 이익 감소로 이어질 것이란 게 월가의 관측이다.

HSBC의 앨러스테어 핀더 수석 글로벌 주식전략가는 관세율 상승이 미국 기업의 이익 증가율을 5% 이상 낮출 수 있다고 지적했다.

블룸버그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교역 상대국들에 대한 관세율을 최종적으로 어느 수준으로 결정할지와 관계 없이 이미 시행 중인 관세만 고려하더라도 투자자들이 그 위험성을 과소평가하고 있다고 월가의 일부 유력 인사들은 지적한다"라고 전했다.

문제는 뉴욕증시가 최근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며 평가가치가 역사적 기준으로 볼 때 최상단 영역에 진입했다는 점이다.

뉴욕증시 대표지수인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지수의 12개월 선행 주가수익비율(PER)은 약 22배로, 지난 2월 이후 최고 수준에 도달했다.

블룸버그는 "올해 남은 기간 기업 실적과 경제지표에서 실망스러운 결과가 나온다면 최근 증시 랠리의 발판을 송두리째 흔들 수 있다"라고 우려했다.

뉴욕증권거래소 앞 월스트리트
[로이터 연합뉴스 자료사진.재판매 및 DB 금지]

뉴욕증시에서 2분기 실적 발표 시즌이 시작되면서 실적이 시장 기대에 못 미칠 경우 투자자들이 가혹한 반응을 보일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실제로 JP모건체이스, 골드만삭스 등 지난주 실적을 발표한 미 대형은행들은 시장 예상을 크게 웃돈 '깜짝 실적'을 발표했지만, 시장 반응은 냉담했다.

JP모건의 2분기 주당 순이익은 5.24달러로 시장조사업체 LSEG가 집계한 전문가 예상(4.48달러)을 크게 웃돌았지만 주가는 실적발표 당일 0.7% 하락했고, 다음 날 깜짝 실적을 발표한 골드만삭스는 주가 0.9% 오르는 데 그쳤다.

넷플릭스는 2분기 매출과 순익이 월가 예상을 웃돌고 연간 매출 가이던스도 상향했지만, 주가가 5.1% 급락했다.

이 같은 시장 반응은 좋은 소식의 대부분이 이미 주가에 반영되어 있고 투자자들이 실망스러운 결과에 대해서는 가혹하게 처벌하고 있다는 불길한 신호라고 블룸버그는 평가했다.

펜더펀드 캐피털매니지먼트의 그렉 테일러 최고투자책임자(CIO)는 "주식 평가가치가 현재와 같은 수준에서는 모든 호재가 시장에 이미 반영돼 있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스테이트 스트리트 인베스트먼트의 마이클 아로네 최고투자전략가는 "평가가치가 높은 상황에서 기대치를 못 맞추면 그에 따른 처벌이 더욱 가혹해질 수 있다"라고 우려했다.

pan@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07.21 07:29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