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테마시황
입력 : 2024.11.06 08:37:01
제목 : 미국 테마시황
11/5(현지시간) 뉴욕증시가 대선 결과 대기 속 엔비디아 등 기술주 강세 등에 상승한 가운데, 주요 테마들도 대부분 상승. 특히, 엔비디아(+2.84%)가 다우지수 편입 기대감 지속 등에 상승세를 이어가며 애플을 제치고 종가 기준 시가총액 1위에 올라선 가운데 반도체 테마가 강세를 나타냈고, 애플(+0.65%) 등 모바일, 마이크로소프트(+0.73%) 등 컴퓨터, 알파벳A(+0.30%), 아마존(+1.90%), 메타(+2.10%) 등 인터넷, 테슬라(+3.54%) 등 전기차, 넷플릭스(+1.11%) 등 미디어 등 주요 대형 기술주 관련 테마들이 동반 상승. 팔란티어 테크놀로지(+23.47%)가 강력한 분기 실적과 매출 전망에 급등하는 등 S/W 및 IT 서비스 테마도 상승했고, 금 가 격 상승 속 뉴몬트(+0.52%) 등 금(金) 테마가 상승.
이 외 쿠팡(+4.63%) 등 전자상거래, 페이팔(+1.43%) 등 전자결제, 코인베이스(+4.13%) 등 암호화폐, 로블록스(+2.36%) 등 게임, 버라이즌(+0.49%) 등 통신, 골드만삭스(+3.03%) 등 은행, 아메리칸 익스프레스(+2.13%) 등 카드, 트래블러스(+0.84%) 등 보험, 맥도날드(+1.53%) 등 음식료, 나이키(+1.02%) 등 소비재, 월마트(+1.49%) 등 유통, 페덱스(+1.56%) 등 물류, 델타 항공(+2.46%) 등 항공, GM(+3.67%) 등 자동차, 솔라엣지(+3.11%) 등 신재생에너지, 듀크 에너지(+1.39%) 등 전력, 캐터필러(+1.82%) 등 산업재, US스틸(+2.14%) 등 철강 등 대부분 테마가 상승.
반면, 퓨얼셀 에너지(-3.57%) 등 연료전지, 린데(-0.75%) 등 화학, 니콜라(-2.43%) 등 소수차 등 일부 테마는 하락.
이 외 쿠팡(+4.63%) 등 전자상거래, 페이팔(+1.43%) 등 전자결제, 코인베이스(+4.13%) 등 암호화폐, 로블록스(+2.36%) 등 게임, 버라이즌(+0.49%) 등 통신, 골드만삭스(+3.03%) 등 은행, 아메리칸 익스프레스(+2.13%) 등 카드, 트래블러스(+0.84%) 등 보험, 맥도날드(+1.53%) 등 음식료, 나이키(+1.02%) 등 소비재, 월마트(+1.49%) 등 유통, 페덱스(+1.56%) 등 물류, 델타 항공(+2.46%) 등 항공, GM(+3.67%) 등 자동차, 솔라엣지(+3.11%) 등 신재생에너지, 듀크 에너지(+1.39%) 등 전력, 캐터필러(+1.82%) 등 산업재, US스틸(+2.14%) 등 철강 등 대부분 테마가 상승.
반면, 퓨얼셀 에너지(-3.57%) 등 연료전지, 린데(-0.75%) 등 화학, 니콜라(-2.43%) 등 소수차 등 일부 테마는 하락.
관련 테마분석
인터넷 대표주
국내 인터넷 서비스 산업을 주도하고 있는 인터넷산업 대표기업군. 이들 소수 업체들이 상위 사업자군을 형성하며, 시장 지배력을 더욱 키워나가고 있는 상황임. 이중 구글에 이어 네이버가 국내 포털 시장 점유율 상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카카오는 국내 모바일 메신저 시장에서 압도적인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음. 광고주들의 특성상 많은 트래픽이 모이는 상위 포털 업체에 광고가 집중되는 특성이 있음. |
- 히스토리
☞2024-11-01 마이크로소프트(MS)·메타發 실적 실망감 속 美 기술주 하락 여파 등에 하락 |
☞2024-10-22 트럼프 리스크에 따른 美 국채금리 상승 영향 등에 하락 |

2차전지
2차전지(Secondary battery)란 한 번 쓰고 버리는 배터리가 아닌 재충전이 가능한 배터리(rechargeable battery)를 의미함. 즉, 충전과 방전을 반복할 수 있는 전지이며, 양극재, 음극재, 분리막, 전해질 4대 핵심 소재로 구성. 2차전지는 스마트폰, 태블릿PC, 노트북 등 모바일/휴대용 IT기기와 전기차/하이브리드카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음. |
- 히스토리
☞2024-11-04 2025년 업황 반등 전망 및 노무라증권, 에코프로비엠 투자의견 상향 소식 등에 상승(주도주 : 자이글, 코윈테크, 에코프로머티, 탑머티리얼, 유일에너테크) |
☞2024-11-01 에코프로 그룹, 3분기 실적 쇼크 등에 하락 |
☞2024-10-30 美 주요 전기차 업체 주가 하락 속 삼성SDI 및 포스코퓨처엠, 3분기 실적 부진 등에 하락 |

반도체 대표주(생산)
메모리, 플래시메모리, 비메모리, 주문형반도체를 제조하고 있는 국내 메이저 반도체생산업체들. IT경기와 밀접한 상관성을 보이고 있으며 이들 업체들의 설비투자와 분기실적이 반도체장비/소재업체들의 주가에 큰 영향을 주고 있음. |
- 히스토리
☞2024-11-04 SK하이닉스, 세계 최초 HBM3E 16단 제품 공식화 및 젠슨 황, "SK하이닉스 HBM4 공급 일정 6개월 앞당기자" 발언 등에 상승(주도주 : SK 하이닉스) |
☞2024-11-01 마이크로소프트(MS)·메타發 실적 실망감 속 美 기술주 하락 여파 등에 하락 |
☞2024-10-31 삼성전자, HBM3E 퀄테스트 중요 단계 완료 소식 속 엔비디아 공급 기대감 부각 등에 상승(주도주 : DB하이텍, 삼성전자) |

IT 대표주
반도체, 디스플레이(OLED 등), 가전 등 국내 대표 IT 기업군. |
- 히스토리
☞2024-11-01 마이크로소프트(MS)·메타發 실적 실망감 속 美 기술주 하락 여파 등에 하락 |
☞2024-10-22 트럼프 리스크에 따른 美 국채금리 상승 영향 등에 하락 |

온디바이스 AI
온디바이스(On-device) AI는 물리적으로 떨어진 서버의 연산을 거치지 않고 기기 자체에서 AI 기능을 구현하는 기술. 외부 서버나 클라우드에 연결되어 데이터와 연산을 지원받았던 기존의 클라우드 기반 AI에서 벗어나, 기기 자체에 탑재되어 직접 인공지능(AI) 서비스를 제공. 통신 상태의 제약을 받지 않으며, 보안성이 높고 정보 처리 속도가 빠르다는 점에서 차세대 기술로 주목받고 있음. 온디바이스 AI를 탑재한 기기의 경우 AP와 신경망처리장치(NPU) 고사양화에 따라 D램과 낸드 용량 증가도 뒤따를 것으로 예상. |
- 히스토리
☞2024-11-01 마이크로소프트(MS)·메타發 실적 실망감 속 美 기술주 하락 여파 등에 하락 |
☞2024-10-31 삼성전자, HBM3E 퀄테스트 중요 단계 완료 소식 속 엔비디아 공급 기대감 부각 등에 상승(주도주 : 에이디테크놀로지, 네패스아크, 대덕전자, 네패스) |
☞2024-10-24 美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약세 등에 하락 |

Copyright ⓒ True&Live 증시뉴스 점유율1위, 인포스탁(www.infostock.co.kr)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고영(098460) 소폭 상승세 +3.71%
-
2
이엔에프테크놀로지(102710) 소폭 상승세 +4.53%
-
3
진바이오텍(086060) 상승폭 확대 +12.90%, 52주 신고가, 3거래일 연속 상승
-
4
코스닥지수 : ▼10.21P(-1.39%), 723.02P
-
5
“오히려 좋아”…서학개미, 애플 부사장 발언에 급락한 이 주식 ‘줍줍’
-
6
선광(003100) 소폭 상승세 +3.68%, 52주 신고가, 6거래일 연속 상승
-
7
1억원 이상 매수체결 상위 20 종목(코스닥)
-
8
코스피지수 : ▲3.15P(+0.12%), 2,624.51P
-
9
원/달러 환율 : 1,396.9원(▼1.1 )
-
10
비씨엔씨(146320) 상승폭 확대 +10.10%, 외국계 매수 유입, 3거래일 연속 상승
05.16 14:07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