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견기업 10곳 중 3곳 "올해 자금사정 작년보다 악화"
중견련 설문…자금사정 악화 기업의 33% "하반기 유동성 절벽 우려"
김동규
입력 : 2025.04.28 08:39:35
입력 : 2025.04.28 08:39:35

[한국중견기업연합회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김동규 기자 = 한국은행의 금리 인하 기조에도 중견기업 10곳 중 3곳은 작년보다 올해 자금 사정이 더 악화한 것으로 체감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중견기업연합회는 지난 2월 17∼28일 중견기업 748곳을 대상으로 설문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28일 밝혔다.
올해 자금 사정이 작년보다 악화했다고 답한 기업은 28.7%로 집계됐다.
작년과 대동소이하다고 답한 기업이 60.4%로 가장 많았고, 올해 자금 사정이 나아졌다고 답한 기업은 10.9%에 불과했다.
올해 자금 사정 악화 요인으로는 매출 부진(53.0%), 이자 비용 증가(14.0%), 인건비 증가(10.2%) 등을 꼽았다.
특히 올해 자금 사정이 악화했다고 답한 중견기업의 33.0%는 현 상황이 개선되지 않으면 올해 하반기 유동성 절벽에 직면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중견련 관계자는 "트럼프 정부의 관세 정책 등 글로벌 환경 변화와 지속되는 내수 침체에 따른 업황 부진에 따라 매출 감소를 자금 사정 악화의 가장 큰 요인으로 지목한 기업이 작년보다 10%포인트 넘게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자금 사정 악화 속에서도 중견기업의 16.7%는 인건비 상승(43.2%), 원·부자재 가격 상승(34.4%), 설비투자 확대(29.6%) 등 요인으로 자금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중견기업의 자금 조달 경로는 시중은행(53.6%), 정책금융(11.6%), 직접금융(9.8%) 등 순으로 집계됐다.
중견기업들은 정책금융 접근 제약 요인으로 엄격한 지원 요건(28.7%), 정보 부족(21.3%) 등을 꼽았다.
정책금융 활용 중견기업 비중은 제조기업(16.8%)이 비제조 기업(7.7%)보다, 매출 5천억원 이상 기업(24.0%)이 대비 매출 3천억원 미만 기업(8.9%)보다 각각 높아 중견기업 내에서도 업종·매출 규모별로 편차를 보였다.
시중은행을 활용하는 중견기업들은 높은 금리(49.9%)와 까다롭고 복잡한 심사(8.8%), 과도한 담보·보증 요구(8.0%) 등으로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중견기업의 9.8%는 직접금융을 통해 자금을 조달했으며 이 중 63.0%는 회사채를 발행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호준 중견련 상근부회장은 "급격한 대내외 환경 변화에 따라 중견기업의 자금 사정이 더욱 악화할 우려가 크다"며 "정책금융의 문턱을 낮추고 시중은행의 경직적인 운영 기준을 완화하는 등 중견기업의 자금 조달 애로를 해소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dkkim@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1보] 미국 1분기 경제성장률 -0.3%…3년만에 역성장
-
2
[2보] 미국 1분기 성장률 -0.3%…트럼프 임기 첫 분기 역성장
-
3
이명희, ㈜신세계 지분 10% 전량 딸 정유경에게 증여
-
4
[속보] 미 상무부 "1분기 역성장, 수입 증가·정부지출 감소 반영"
-
5
美 1분기 성장률 -0.3%…'관세전쟁' 트럼프 임기 첫 분기 역성장(종합)
-
6
과방위, 5월 8일 'SKT 해킹사태' 단독 청문회…최태원 출석 요구
-
7
독일 1분기 GDP 0.2%↑…역성장 일단 벗어나(종합)
-
8
트럼프, 임기초 역성장에 바이든 책임론…"관세 무관…인내하라"
-
9
“5조 대어도 발 뺐다”…찬바람 부는 공모시장, 이 회사도 상장 철회
-
10
미 ADP 발표 4월 민간 고용 6만2천명↑…전망 크게 밑돌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