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동성 커진 국장 … 현금 늘려야"
김정석 기자(jsk@mk.co.kr)
입력 : 2024.12.08 17:06:20 I 수정 : 2024.12.08 17:22:09
입력 : 2024.12.08 17:06:20 I 수정 : 2024.12.08 17:22:09
美물가·韓선물옵션 만기 주목

정치 리스크가 증시를 뒤덮은 상황에서 이번주에는 선물·옵션 동시 만기일이 다가오며 변동성이 더욱 확대될 예정이다. 미국에서는 11월 경제지표가 발표되면서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의 추가 금리 인하 여부를 가늠할 수 있다.
8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오는 12일 주가지수 선물과 옵션, 개별주식 선물과 옵션 등 파생상품이 동시에 만기가 되는 선물·옵션 동시 만기일을 맞는다. 선물·옵션 만기일에는 외국인과 기관 등의 프로그램 매매 매물이 쏟아질 가능성이 커 현물 시장 변동성까지 덩달아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13일에는 코스피200과 코스닥150 등의 정기변경도 예정돼 있다.
미국에서는 11월 소비자물가지수(CPI)와 생산자물가지수(PPI)가 11일과 12일에 연달아 발표된다. 예상치를 크게 벗어나지 않으면 17~18일 진행되는 올해 마지막 FOMC에서 추가 금리 인하를 기대할 수 있다.
매일경제와 크래프트테크놀로지스가 공동 개발한 인공지능(AI) 기반 주식 위험관리지수 '붐&쇼크지수' 국내판 위험 수치는 이번주 52로 지난주(33)보다 커졌다. 현금 비중 확대가 권장되는 위험도다. 미국판은 위험도 0을 이어갔다. 붐&쇼크지수가 0~10이면 현금 비중 축소, 11~50은 중립, 51~100은 확대를 뜻한다.
[김정석 기자]

정치 리스크가 증시를 뒤덮은 상황에서 이번주에는 선물·옵션 동시 만기일이 다가오며 변동성이 더욱 확대될 예정이다. 미국에서는 11월 경제지표가 발표되면서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의 추가 금리 인하 여부를 가늠할 수 있다.
8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오는 12일 주가지수 선물과 옵션, 개별주식 선물과 옵션 등 파생상품이 동시에 만기가 되는 선물·옵션 동시 만기일을 맞는다. 선물·옵션 만기일에는 외국인과 기관 등의 프로그램 매매 매물이 쏟아질 가능성이 커 현물 시장 변동성까지 덩달아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13일에는 코스피200과 코스닥150 등의 정기변경도 예정돼 있다.
미국에서는 11월 소비자물가지수(CPI)와 생산자물가지수(PPI)가 11일과 12일에 연달아 발표된다. 예상치를 크게 벗어나지 않으면 17~18일 진행되는 올해 마지막 FOMC에서 추가 금리 인하를 기대할 수 있다.
매일경제와 크래프트테크놀로지스가 공동 개발한 인공지능(AI) 기반 주식 위험관리지수 '붐&쇼크지수' 국내판 위험 수치는 이번주 52로 지난주(33)보다 커졌다. 현금 비중 확대가 권장되는 위험도다. 미국판은 위험도 0을 이어갔다. 붐&쇼크지수가 0~10이면 현금 비중 축소, 11~50은 중립, 51~100은 확대를 뜻한다.
[김정석 기자]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정치 혼란 해소된 덕?”…원·달러 환율 1300원대 돌아온 이유
-
2
“7월은 주식 투자하기 좋은 달”...올해도 서머랠리 올까
-
3
[샷!] 외국인이 한국 오면 꼭 하는 이것
-
4
"종이 회의자료 없앤다"…경북도, 사무직 직원 태블릿PC 지급
-
5
[전국레이더] "바가지 없고, 즐길거리 풍성"…피서객 유치 총력전
-
6
올들어 서울에 빌라 입주 1천800가구뿐…4년전 6분의 1 토막
-
7
대형마트들 3천원대 치킨전쟁…배달치킨보다 싸 완판행렬
-
8
정부, '사상최대' 폴란드 K2전차 수출 금융지원 나선다
-
9
“대출 6억 규제 효과 강력하네”...주담대 신청액 절반 이상 ‘뚝’
-
10
카카오, 사내 'AI 마일리지'로 개발 혁신 시동…하반기 확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