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O, 그 후] [넥스틸] ③'어닝쇼크' 속 성과급 확대

입력 : 2023.12.07 16:28:28
제목 : [IPO, 그 후] [넥스틸] ③'어닝쇼크' 속 성과급 확대
3분기에 20억 상여, 상반기는 5억…일반급여도 50% 증가

[톱데일리] 넥스틸이 올 3분기 수익성이 악화된 가장 큰 이유는 매출급감에 있다. 하지만 영업손실로까지 이어진 것엔 다른 배경이 있다. 평시보다 인건비가 40% 가량 급증한 탓이다. 그리고 인건비의 상당수는 '상여금' 이었다. 상여금은 정기적으로 지불하는 통상임금이 아니다. 특별한 성과나 공로가 있을 때 지불하는 포상금이다. 넥스틸은 왜 '어닝쇼크'를 낸 시기에 상여를 늘렸을까.

넥스틸은 올 3분기 연결기준 매출 667억원에 영업손실 31억원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에 비해 매출(1635억원)이 3분의 1수준(59.2%)으로 줄어들면서 영업이익(534억원)도 적자전환하게 됐다.

매출급감이 적자전환의 가장 큰 이유는 맞다. 매출총이익(매출-매출원가)이 같은 기간 615억원에서 54억원으로 쪼그라들었다. 여기서 올 3분기 판관비(판매비와관리비)로 85억원을 더 써 적자 영업을 하게 됐다.



다만 의아한 점이 있다. 매출이 크게 줄면 그만큼 비용도 줄게 마련이다. 넥스틸은 비용이 덜 줄었는데 괴리가 상당하다. 손익계산서상 비용은 크게 생산과정에선 '매출원가'로 판매과정(영업)에선 판관비로 나뉜다.

올 3분기 매출원가(613억원)는 전년 동기(1019억원) 대비 39.9% 줄어 같은 기간 매출감소율(59.2%)을 20%포인트 가량 하회했다. 판관비는 올 3분기(85억원)에 전년 동기(81억원)보다 되레 4.7% 늘었다. 비용통제가 제대로 되지 않은 것인데 핵심 이유가 인건비에 있다. 인건비는 매출원가와 판관비 모두에 녹아있다.



재무제표주석 '비용의 성격별 분류'에 따르면 가장 많이 늘어난 항목은 잡비용을 한데 묶은 '기타비용'이다. 올 3분기 88억원으로 전년 동기(13억원)보다 88억원(664%) 증가했다. 그리고 다음으로 가 장 많이 늘어난 항목이 인건비다. 인건비는 급여와 상여금, 퇴직급여를 합산한 금액이다.

인건비는 올 3분기 80억원으로 전년 동기(54억원) 대비 25억원(46.7%) 늘었다. 인건비는 직원수가 늘어나면 증가할 수 있다. 실제 임직원수는 올 3분기말 기준 380명으로 상장 전인 1분기말(344명)대비 36명 늘긴 했다. 인건비가 일부 증가할 소지는 있었다.



주목되는 것은 인건비 중에서도 비정기적으로 지급되는 상여금이다. 올 3분기 상여금이 20억이었다. 올 상반기까지 누적상여금이 4억5000만원이었음을 감안하면 이례적인 확대다. 지난해 3분기에도 상여금이 15억원이었는데 이 때는 초호황기로 사상 최대 분기실적을 갱신하고 있을 때다. 적절한 상여금을 지급할 만 하다. 반면 올 3분기는 매출이 급락한 시기다.

이 탓에 올 3분기 전체 인건비(80억원)는 올 상반기(88억원)와 비슷한 수준이 됐다. 어닝쇼크 시기 상여금을 평시보다 높게 지급한 것에 대해 넥스틸측은 특별한 입장을 밝히지 않았다.

한편 올 3분기누적으로 사내이사 3인이 받은 보수는 총 6억7200만원이다. 1인당 평균보수는 2억2400만원이다. 사내이사는 창업주인 박효정 회장과 홍성만 대표, 김이용 부사장 등이다.


톱데일리
이경주 기자

해당 기사는 톱데일리(www.topdaily.kr)에서 제공한 것이며 저작권은 제공 매체에 있습니다. 기사 내용 관련 문의는 해당 언론사에 하시기 바랍니다.
Copyright ⓒ True&Live 증시뉴스 점유율1위, 인포스탁(www.infostock.co.kr)

기사 관련 종목

04.21 15:30
넥스틸 14,290 270 -1.85%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04.22 07:44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