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시요약(5) - 특징 종목(코스닥)
특징종목 | 이슈요약 |
DS단석 (017860) 85,800원 (+30.00%) | 1.02조원(최근 매출액대비 95.4%) 규모 공급계약 체결에 상한가 |
▷Phillips 66 International Pte. Ltd.와 1.02조원(최근 매출액대비 95.4%) 규모 공급계약(바이오 항공유 (SAF) 목적의 전처리(Pre-treatment)된 제품 공급 등) 체결(계약기간:2024-12-01~2027-11-30) 공시. | |
디모아 (016670) 4,600원 (+29.94%) | 마이크로소프트의 'AIㆍ머신러닝 전문기업' 공식 인증 획득 소식에 상한가 |
▷동사는 언론을 통해 마이크로소프트의 '어드밴스드 스페셜라이제이션(Advanced Specialization)' 인증을 획득했다고 밝힘. 이번 인증으로 동사는 마이크로소프트의 애저(Azure) 플랫폼 기반 AI 및 머신러닝 애플리케이션 구축·운영 분야에서 보다 전문화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됐음. ▷이와 관련, 이혁수 동사 대표는 "마이크로소프트의 공식 인증은 AI 및 머신러닝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하고 운영할 수 있음을 증명하는 중요한 자격"이라며, "앞으로도 기업의 애저 기반 업무환경 구축을 돕고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해 고객 비즈니스에 기여하겠다"고 밝힘. | |
디어유 (376300) 29,800원 (+25.21%) | 텐센트와 전략적 제휴 및 서비스 계약 체결 소식에 급등 |
▷동사는 언론을 통해 최근 중국 최대의 음악 플랫폼 기업인 텐센트뮤직엔터테인먼트그룹(이하 TME)과 전략적 제휴 및 서비스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힘. TME 공식 웨이보 페이지에 따르면, 그룹 내 최대 음악 스트리밍 플랫폼인 QQ뮤직 내에 동사의 '버블'을 오픈하여 중국 사용자들이 직접 K팝 뿐 아니라 현지 인기 스타들과 소통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고 전해짐. 또한, 향후 TME는 향후 그룹 내 다른 음악 플랫폼인 쿠거우뮤직(KuGou Music), 쿠우뮤직(Kuwo Music) 및 기타 서비스에서 더 많은 협력을 수행할 예정이라고 언급.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TME와의 협업으로 중국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텐센트의 'My App' 앱 마켓에서 버블 서비스가 제공되면, 중국 내 안드로이드 사용자의 유입으로 버블 구독자 수도 급격히 증가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힘. | |
스튜디오미르 (408900) 5,030원 (+20.77%) | 넷플릭스와 장기계약 체결 부각 속 IP 사업 성과 기대감 등에 급등 |
▷일부 언론에 따르면, 국내에서 유일하게 넷플릭스와 장기계약을 맺은 애니메이션 제작사인 동사가 올해 IP 사업에 진출하며 수익성 강화에 나선다고 전해짐. IP에 대한 성과는 내년부터 가시화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동사는 지난달 네이버웹툰 영 상 제작 자회사 스튜디오N, 일본 애니메이션 기업 토에이와 영상 콘텐츠 공동 기획·개발을 위한 업무협악(MOU)를 체결한 바 있어 세 회사는 네이버웹툰 '고수'를 애니메이션으로 만들어 글로벌 시장에 선보일 계획이라고 언급. ▷이와 관련, 유재명 동사 대표는 "IP사업에 나선다는 건 그간 OEM 제작을 하는 동안 기획 능력을 인정받았다는 의미"라며, "2030년 영업이익률 30%를 달성하는 게 목표"라고 밝힘. | |
더블유씨피 (393890) 17,880원 (+15.28%) | 내년부터 실적 개선 기대감 등에 급등 |
▷KB증권은 동사에 대해 2025년에는 주요 고객 가동률 회복에 따른 실적 개선이 기대된다고 밝힘. 동사의 2025년 연간 실적은 매출액 4,200억원 (+6% YoY), 영업이익 342억원 (+187%, 영업이익률 8.1%)을 달성할 것으로 추정. 특히, 동사 매출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삼성SDI의 업황 개선이 기대되므로 동사의 가동률 개선도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힘. ▷이와 관련, 2025년부터 강화되는 EU의 CO₂ 배출 규제 영향으로 유럽 OEM들의 EV용 전지 재고 축적 수요가 예상되며, 24년 연말부터 미국 삼성SDI-스텔란티스 JV 공장 가동이 시작됨에 따라 북미향 수요가 크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 이어 주가가 가파르게 하락한 결과 12M Fwd P/B가 0.51배 수준까지 내려가 Valuation 부담이 완화된 점도 긍정적이라고 분석.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27,000원[유지] | |
휴림로봇 (090710) 1,219원 (+13.50%) | 이큐셀 인수 계약 체결에 급등 |
▷이큐셀, 지난 25일 장 마감 후 최대주주 (주)이아이디 외 1인이 동사에 보유주식 6,000,000주를 73.80억원에 양도하는 최대주주 변경 수반 주식양수도 계약 체결(변경 예정일자:2024-11-12) 공시. 이에 따라 이큐셀은 상장적격성 실질심사 사유 추가 관련 절차 미진행. ▷이 같은 소식 속 동사의 자회사인 휴림에이텍, 휴림네트웍스도 상승세를 기록. | |
제이오 (418550) 19,790원 (+12.57%) | 탄소나노튜브 신규 고객사 유치에 따른 11월 공급 개시 소식에 급등 |
▷동사는 일부 언론을 통해 이달 23일부터 25일까지 서울시 서초구 aT센터에서 개최된 ‘카본 코리아 2024’서 자세한 고객사명을 밝힐 수는 없으나 신규 고객사를 유치해 사업 규모를 키워 나가고 있다고 밝힘. 동사가 한국 배터리 기업 SK온과 중국 배터리 기업 CATL을 고객사로 두고 있다는 사실은 이미 널리 알려져 있다며, 이 같은 레퍼런스와 함께 꾸준히 R&D를 진행해온 덕택에 오는 11월 새로운 고객사에 탄소나노튜브를 공급할 예정이라고 언급. | |
비보존 제약 (082800) 5,510원 (+12.45%) | 관절강용 생체재료 ‘트루피엔’ 출시 소식 등에 급등 |
▷동사는 언론을 통해 무릎 관절강에 주사해 관절 부위의 물리적 마찰을 줄여 통증을 조절하는 조직수복용 생체재료 ‘트루피엔(Tru-PN)’을 출시했다고 밝힘. ▷트루피엔은 폴리뉴클레오티드(Polynucleotide)을 주성분으로 한 고분자 디앤에이(DNA) 종합체이며, 무릎 골관절염 환자의 관절강에 주입 시 높은 점도와 탄성을 가진 고분자물질이 연골 결손 부위에서 완충제 역할을 해 관절의 물리적 마찰을 줄이고 통증을 조절하며 움직임을 돕고 있음. 또한, 중증도 이하(K-L grade I, II, III)의 슬관절 골관절염 환자를 대상으로 6개월 내 최대 5회까지 건강보험 급여가 적용되어 환자의 경제적 부담을 덜어주는 것으로 알려짐. ▷한편, 동사는 지난해 비마약성 진통제 어나프라주(성분명 오피란제린)에 대해 식품의약품안전처에 품목허가를 신청했으며, 어나프라주의 적응증은 수술 후 통증을 포함한 중등도 및 중증의 급성통증임.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동사는 어나프라 주 외에도 다양한 중추신경계 파이프라인을 보유하고 있으며 지속적인 연구 개발을 통해 사업 확장을 본격화할 계획"이라고 밝힘. | |
와토스코리아 (079000) 5,670원 (+11.61%) | 20.00억원 규모 자사주 취득 신탁계약 체결 결정에 급등 |
▷지난 25일 장 마감 후 20.00억원 규모 자사주 취득 신탁계약 체결 결정(기간:2024-10-25~2025-04-24, 삼성증권(Samsung securities)) 공시. | |
바이오솔루션 (086820) 17,000원 (+8.35%) | ACCO서 골관절염 치료제 카티라이프 등 소개 소식에 강세 |
▷동사는 언론을 통해 지난 24일부터 25일까지 이틀간 진행된 아시안 연골 및 골관절염 컨퍼런스(ACCO 24)에 참가해 골관절염 치료제 개발사 중 유일하게 구두 발표했다고 밝힘. ACCO는 미국과 중국을 포함한 전세계 저명한 연구자, 의료 전문가들이 모여 연골재생과 골관절염 분야의 연구성과에 대해 공유하고 토론하는 국제학회이며, 동사는 ‘카티라이프’, ‘카티로이드’, ‘카티큐어셀’ 등 자사의 우수한 파이프라인 기술과 최신 임상 현황을 중점적으로 소개했음. 특히, 대부분 대학병원, 연구소, 전문 의료인들이 발표자들로 구성됐는데, 일반 기업으로는 동사가 유일하게 초청됐다고 설명. ▷이와 관련 이정선 대표는 “거부반응 없이 관절재생효과까지 확인된 동사의 제품들에 대해 컨퍼런스 참가자들이 깊은 관심을 보였다. 앞으로 미국의 2상 결과, 한국의 정식 품목허가, 카티로이드 임상 IND 신청 등 굵직한 이벤트들이 차질없이 진행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힘. | |
펌텍코리아 (251970) 36,350원 (+7.86%) | 3분기 실적 컨센서스 상회 전망 등에 강세 |
▷하나증권은 동사에 대해 3분기 실적은 연결 매출 843억원(YoY+19%), 영업이익 122억원(YoY+31%, 영업이익률 14%)으로 시장 컨센서스를 상회할 것으로 전망. 특히, 별도(펌프)부문의 매출이 분기 최대 실적을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고 밝힘. 동사가 보유한 다양한 라인업과 트랜디한 제품 개발 능력, 그리고 활동적인 영업력으로 다채로운 고객군을 확보할 수 있었고 이것이 동사의 지속 성장 요인이라고 분석. ▷아울러 동사의 기능적/미관적 부분을 감안한 개발 능력으로 글로벌 브랜드 까지도 수주 증가 추세라고 언급. 이어 동사의 증설 계획은 내년 7월 완공을 목표로 4공장 준비 중(별도)이며, 이번 달 알루미늄 튜브 공장(부국)이 준공 예정이라고 밝힘. 증설된 공장의 본격적인 생산 시점은 2025년으로 동사의 2025년 실적은 연결 매출 3.7천억원(YoY+12%), 영업이익 552억원(YoY+17%) 전망한다고 밝힘. | |
세경하이테크 (148150) 7,320원 (+7.49%) | 내년 실적 성장 전망 등에 강세 |
▷메리츠증권은 올해 하반기는 세트 수요 둔화의 영향이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되나, 25년에는 다양한 모멘텀을 바탕으로 차별화된 실적 성장을 전망한다고 밝힘. 이와 관련, 광학 필름 고성장(폴더블 시장 반등 + 북미 업체 시장 참여), 데코 필름 고객사 확대 기대감, 자회사 세스맷 고객사 승인 임박이 25년의 추가적인 업사이드 요소로 작용될 전망이라고 분석. 또한, 국내 고객사향 OCA 필름 공급망 합류도 25년의 새로운 기회요인이라고 밝힘. ▷아울러 25년 PER 6.7배인 현 주가는 밸류에이션 매력 또한 높다고 판단된다고 언급.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12,000원[유지] | |
LK삼양 (225190) 2,700원 (+6.09%) | 국내 3대 파이낸스 센터에 전기차 화재 조기 감지 솔루션 구축 소식에 강세 |
▷동사는 언론을 통해 국내의 대표적 랜드마크 빌딩인 IFC(서울국제금융센터), SFC(서울파이낸스센터), GFC(강남파이낸스센터)에 지능형 열화상카메라 기반의 전기차 화재 조기 감지 솔루션을 성공적으로 구축했다고 밝힘. 이와 관련, 2023년12월 IFC 지하 5층에 신설한 전기차 충전 스테이션 42개면(휴맥스EV Turu CHARGER 38개면, Tesla Supercharger 4개면)에 17대의 지능형 열화상 카메라와 관제 솔루션을 구축한 것을 시작으로, 2024년6월에는 GFC(25개면 대상 9대 열화상 카메라), 2024년8월에는 SFC(13개면 대상 6대 열화상 카메라)에 솔루션을 구축했다고 설명. ▷동사 관계자는 “대형 피해로 이어질 수 있는 주차장 내 전기차 화재의 신속 대응을 위하여 전기차 충전 구역 및 일반 주차 구역을 모두 모니터링할 수 있는 지능형 열화상 솔루션 구축 방안을 제시해 고객에게 더욱 향상된 기술과 가치를 지속적으로 제공할 것”이라고 밝힘. 한편, 동사의 지능형 열화상 솔루션인 ‘SYMON’은 이상 온도, 연기, 화염, 불꽃을 모두 탐지할 수 있는 전기차 화재에 특화된 복합 열화상 카메라와전용 관제 및 분석 SW(SYMON-FDS)를 통하여 대형 화재로 이어질 수 있는 전기차 화재 징후를 빠르게 포착할 수 있음. | |
비에이치아이 (083650) 11,800원 (+5.83%) | 사상 최대 수주 실적 기대감 등에 상승 |
▷iM증권은 동사에 대해 원전 및 천연가스 발전 수요 증가로 올해 사상 최대 수주 실적이 기대된다고 밝힘. 인공지능(AI), 반도체, 전기차 등이 성장하면서 에너지 수요도 증가하고 있는데 특히 AI 등으로 인한 데이터센터 건설 등으로 전력 사용량 증대가 예상된다며, 탄소배출 감축 등 기후변화 대응을 넘어서 안정적 전력 공급원 측면에서 원전 및 천연가스 발전 수요 증가가 예상된다고 분석. ▷아울러 동사의 경우 주기기를 제외한 원전의 모든 부속설비(BOP) 중 스테인리스 스틸 라이너(SSLW), 격납건물 철판(CLP), 격납건물 포스트텐셔닝 시스템(CPTS), 복수기 및 부속설비, 급수가열기 및 탈기기, 배관 관통 부(CCP), 원자로 건물 여과 환기 시스템 등 7개에 달하는 다양한 제품 포트폴리오를 보유하고 있다며, 기존 수주 레퍼런스 등을 고려할 때 올해 4분기부터 내년에 걸쳐서 2,000억원 이상의 수주가 가시화될 것으로 전망. 또한, 다른 한편으로는 체코원전 수주 등 원전 수출 지역 확대 및 SMR 시장 성장 등도 동사 수혜가 기대된다고 밝힘. | |
디케이앤디 (263020) 3,655원 (+5.48%) | 19.75억원 규모 자사주 취득 결정에 상승 |
▷보통주 570,000주(19.75억원) 규모 자사주 취득 결정(기간:2024-10-29~2024-12-28) 공시. | |
선익시스 템 (171090) 44,900원 (+5.15%) | 中 기업과 Micro OLED 디스플레이 양산용 증착장비 공급계약 체결에 상승 |
▷Jiangsu Hantang International Trade Group Corp.,Ltd와 공급계약(Micro OLED 디스플레이 양산용 증착장비) 체결(계약기간:2024-10-28~2025-05-20) 공시. 유보사유는 계약상대방의 영업비밀 보호요청이며, 유보기한은 2025-05-20 까지임. | |
로보티즈 (108490) 17,990원 (+4.71%) | 카카오모빌리티와 로봇 서비스 '브링(BRING)'을 통한 실외배송 추진 관련 업무협약 체결 소식에 상승 |
▷동사와 카카오모빌리티가 금일 언론을 통해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카카오모빌리티 로봇 서비스 '브링(BRING)'을 통 한 실외배송 추진에 나선다고 밝힘. 이번 협약을 통해 카카오모빌리티는 로봇 플랫폼 브링온을 활용한 배송로봇 연동 서비스 모델을 구축하고, 동사는 실내 및 실외 배송 서비스 로봇을 개발하는 등의 역할을 맡음으로써 실내외 배송로봇 서비스 출시를 목표로 협력할 것으로 알려짐. ▷이와 관련, 김병수 동사 대표는 "동사의 자율주행로봇 기술과 카카오모빌리티의 플랫폼 서비스가 만나는 만큼 혁신적인 배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며, "국내 자율주행로봇을 활용한 배송 서비스가 하루 빨리 상용화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힘. | |
레뷰코퍼레이션 (443250) 9,690원 (+3.97%) | LG유플러스, 동사 인수 가능성 및 3분기 호실적 모멘텀 지속 등에 상승 |
▷일부 언론에 따르면, LG유플러스와 다우기술의 동사에 대한 추가 투자 혹은 경영권 인수 여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고 전해짐. 동 사의 최대주주인 '글로벌커넥트플랫폼'의 지분 보호예수가 해제되면서 조만간 경영권 매각에 나설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며, 특히, LG유플러스는 최대주주가 부여한 우선매수제안권도 갖고 있어 펀드가 경영권 매각에 나설 경우 LG유플러스에 가장 먼저 경영권 인수를 제안해야 하는 상황이라고 알려짐. ▷아울러 3분기 호실적 모멘텀이 지속되고 있는 점도 긍정적으로 작용. 지난 23일 24년3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125.84억원(전년동기대비 +22.67%), 영업이익 22.48억원(전년동기대비 +79.40%). | |
플리토 (300080) 15,170원 (+3.83%) | 애플 생태계 컨퍼런스 ‘KWDC24’에 AI 통번역 솔루션 제공 소식에 상승 |
▷동사는 언론을 통해 지난 25일 열린 국내최대 애플 생태계 컨퍼런스 'KWDC24'에서 자사의 AI 통번역 서비스를 제공했다고 밝힘. 'KWDC'는 지난해 6월 애플이 개최한 '세계 개발자 회의(WWDC2023)'에 이어 시작된 한국 최대 규모의 iOS 기술 컨퍼런스로 동사는 이번 행사에서 자사의 AI 동시통역 솔루션 '라이브 트랜스레이션(Live Translation)'을 통해 24개 발표 세션에 실시간 통번역 서비스를 제공했음. 이와 관련, 이정수 대표는 "국내 최대 애플 생태계 컨퍼런스인 KWDC에서 우리의 AI 통번역 서비스를 통해 글로벌 소통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게 돼 매우 기쁘다"며 "앞으로도 언어 장벽을 허무는 혁신적인 솔루션을 지속적으로 개발해 나갈 것"이라고 밝힘. | |
드림시큐리티 (203650) 3,300원 (+3.77%) | 30.00억원 규모 자사주 취득 신탁계약 체결 결정에 상승 |
▷30.00억원 규모 자사주 취득 신탁계약 체결 결정(기간:2024-10-28~2025-04-27, 미래에셋증권(주)(MIRAE ASSET SECURITIES CO., LTD.)) 공시. | |
딥마인드 (223310) 2,020원 (-9.01%) | 78.46억원 규모 스마트카 영업정지에 급락 |
▷지난 25일 장 마감 후 78.46억원(최근 매출액대비 28.51%) 규모 스마트카 영업정지(영업정지일:2024-11-30) 공시. | |
클로봇 (466100) 10,070원 (-22.54%) | 신규 상장 첫날 급락 |
▷금일 코스닥시장에 신규 상장한 동사의 주가는 공모가 13,000원을 하회한 12,500원에 시초가를 형성한 뒤 급락세로 마감. ▷한편, 동사는 로봇 서비 스 및 소프트웨어 개발 업체로, 주요 제품으로는 범용 실내 자율주행 소프트웨어 ‘카멜레온’, 이기종 로봇 통합 관제 시스템 ‘크롬스’ 등이 있음. |
기사 관련 종목
DS단석 | 23,750 | 700 | +3.04% |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와이오엠(066430) 상승폭 확대 +14.41%, 3거래일 연속 상승
-
2
우정사업본부, 국내 부동산 코어 펀드 위탁운용사 숏리스트 ‘미래·코람코·하나대체운용’ 선정
-
3
코스닥 기관 순매수,도 상위20종목
-
4
로봇에 퇴직연금 맡겼더니 4년간 수익률이 무려 OO% ··· 1호 사업자 파운트 김영빈 대표
-
5
코스피 美관세 우려 덜며 2,450대 강세 마감…코스닥 700대 회복
-
6
코스피 외국인 순매수,도 상위20종목
-
7
이재명 ‘퓨리오사 AI’ 방문 소식에 AI 관련주 ‘들썩’
-
8
DSRV, 비트코인 스테이킹 서비스 국내 첫 출시
-
9
오비고, 주식회사 카랑 주식 취득 결정
-
10
코스피 기관 순매수,도 상위20종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