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시요약(5) - 특징 종목(코스닥)
입력 : 2023.01.25 17:09:49
제목 : 증시요약(5) - 특징 종목(코스닥)
특징종목 | 이슈요약 |
우리기술투자 (041190) 5,630원 (+19.53%) | 증권형 토큰 허용에 따른 수혜 기대감 등에 급등 |
▷지난 19일 금융위원회가 그동안 법적으로 허용되지 않았던 증권형 토큰(STO, Security Token Offering) 발행을 전면적으로 추진한다고 밝힌 가운데, 동사의 수혜 기대감이 부각되는 모습. ▷유진투자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금융 기관들의 올해 신년사 키워드는 #STO라며, 이를 토대로 2023년 자본시장의 가장 큰 변화 중 하나가 될 것으로 전망. 금융위, 금투협 등 금융 당국의 시각과 올해 중점 추진 사업들을 간접적으로 알 수 있는 신년사에는 ‘STO’, ‘증권형 토큰’이 직접적으로 언급됐고, 5대 금융지주 신년사 또한 공통적으로 “블록체인”을 통한 신사업 발굴 강조를 언급했다고 밝힘. 이와 관련 동사에 대해 STO 플랫폼 사업을 추진중인 람다 256, 조각투자 플랫폼을 추진중인 펀블 등에 투자중이라고 밝힘. ▷아울러 FTX 운영 재개 기대감 속 가상화폐 가격 상승세가 지속되고 있는 점도 주가에 긍정적으로 작용. | |
루멘스 (038060) 1,208원 (+15.05%) | 'RGB 원칩' 모노리식 마이크로 LED 개발 소식 속 급등 |
▷전일 동사는 일부 언론을 통해 마이크로 LED용 모노리식(Monolithic) 적녹청(RGB) 에피웨이퍼를 개발했다고 밝힘. 에피웨이퍼는 빛을 내는 발광층이 형성된 기판으로, 동사 기술은 RGB를 한 장의 웨이퍼 상에 쌓아 올린 것이 특징임. 동사 측은 마이크로 LED 에피웨이퍼가 마이크로 LED TV와 확장현실(XR) 기기 구현에 유용할 것으로 보고 상용화를 추진할 계획이라고 언급.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기존에는 픽셀 하나를 만들기 위해서 세 번의 전사 과정이 필요했으나, 한 칩에서 R·G·B를 내기 때문에 한 번이면 된다"며, "웨이퍼도 한 장으로 줄여 생산 단가 인하, 공정 시간 단축 효과를 누릴 수 있다"고 밝힘. | |
넥슨게임즈 (225570) 15,270원 (+14.38%) | '블루 아카이브' 日 앱스토어 매출 1위 달성에 급등 |
▷언론에 따르면, 동사가 개발한 서브컬처 모바일게임 ‘블루아카이브’가 일본 애플 앱스토어 매출 1위를 달성한 것으로 전해짐. 지난 22일 매출 순위 95위에서 사흘만에 급반등을 이뤄낸 것으로, 일본 서비스 2주년을 앞두고 진행한 특별 생방송과 24일 적용한 업데이트 효과로 풀이되고 있음. ▷한편, ‘블루아카이브‘는 국내 서브컬처 게임 전문 개발자로 유명한 김용하 MX스튜디오 총괄 PD가 주도한 모바일게임이며, 미소녀 캐릭터와 학원 소재의 이야기, 각종 교감 요소 등이 특징임. 지난해 일본 애플 앱스토어 매출 2위를 기록하며 흥행을 이끌었으며, 국내에서도 지난 2021년11월 출시 이후 초반 구글 플레이 매출 5위에 오르며 흥행했고 충성 고객층 형성에 성공한 바 있음. | |
네오위즈 (095660) 45,000원 (+13.64%) | 큰 폭의 외형성장 기대감 등에 급등 |
▷신한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IP의 영향력이 모바일보다 더 강력한 PC/콘솔 시장에서 신규 IP 개발을 통해 지속가능한 성장을 도모하고 있으며, 수면 위로 드러나고 있는 거대한 ‘서브컬처’ 시장도 이미 준비하고 있었다고 밝힘. 이와 관련, 자체 개발한 SRPG <브라운더스트>와 작년에 퍼블리싱한 <아이돌리 프라이드>를 보더라도 서브컬처의 부상을 관찰하고 대비한 것을 알 수 있다고 밝힘. ▷아울러 3년간 다수의 프로젝트를 동시에 준비했고, 올해부터 연달아 나올 대형작들로 큰 폭의 외형 성장이 기대된다고 밝힘. 동시에 웹보드 게임사라는 이미지에서 탈피할 것으로 보인다며, 캐주얼/인디 게임을 저렴하게 조달해 퍼블리싱하던 동사의 색깔이 경영진의 교체로 크게 달라졌다고 밝힘. 을 비롯해 일본 애니메이션 IP 신작, 루트슈터 장르 등 향후 보여줄 동사의 신작들은 그 형태가 과거와 다를 것이라고 밝힘. | |
한국정보인증/키움증권 | 토큰 증권 사업 협력을 위한 MOU 체결 소식 속 급등 |
▷키움증권은 언론을 통해 한국정보인증, 페어스퀘어랩과 토큰 증권 사업 협력을 위한 MOU를 체결했다고 밝힘. 이번 MOU 체결을 통해 키움증권, 한국정보인증, 페어스퀘어랩은 향후 토큰 증권 발행, 유통 플랫폼 구축 등에 협업할 것으로 전해짐. 페어스퀘어랩은 지난해 하반기부터 키움증권 외에도 다수의 증권사들과 토큰 증권 분야에서 협력하며 해당 분야에서 혁신을 주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짐. ▷한편, 토큰 증권은 증권성이 있는 권리를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해 토큰 형태로 발행한 것으로 지난 19일 금융위원회는 토큰 증권 발행 및 유통 규율 체계에 대해 의결하며 자본시장 제도권 내 증권형 토큰(STO)의 발행을 전면 허용한 바 있음. [종목]: 한국정보인증, 키움증권 | |
에스앤에스텍/에프에스티 | EUV 펠리클 양산 기대감 등에 급등 |
▷전일 일부 언론에 따르면, 삼성전자가 TSMC를 따라잡기 위해 '극자외선 펠리클(EUV·Extreme Ultraviolet Pellicle)' 자체 수급에 사활을 걸고 있는 가운데, 국내 상장사인 에프에스티와 에스앤에스텍이 양산 막바지 단계에 접어든 것으로 알려짐. ▷이와 관련, EUV 펠리클의 국내 양산은 이르면 연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으며, 삼성전자로부터 각각 430억원, 658억원을 투자받은 에프에스티와 에스앤에스텍의 EUV 펠리클투과율이 상용화를 논할 정도로 높아졌고 삼성전자도 자체 기술을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음. ▷특히, 에프에스티가 준비 중인 실리콘 카바이드(SiC) 기반 EUV 펠리클은 고내열성까지 갖춰 ASML의 차세대 장비인 'High NA EUV'에서 더 큰 효과를 볼 것으로 기대되고 있으며, 에스앤에스텍 역시 이르면 올 상반기부터 투과율 90%가 넘는 EUV 펠리클 양산에 돌입할 가능성이 점쳐지고 있음. [종목]: 에스앤에스텍, 에프에스티 | |
아이오케이 (078860) 499원 (+10.64%) | 영화 '정이' 넷플릭스 영화부문 전 세계 1위 소식 속 배우 김현주 소속사로 부각되며 급등 |
▷언론에 따르면, 연상호 감독의 SF 영화 '정이'가 넷플릭스 비영어권 영화 부문에서 시청시간 1위를 기록한 것으로 전해짐. 넷플릭스 공식 사이트 '넷플릭스 톱(TOP) 10'에서 '정이'는 공개 3일 만에 1천930만 시간을 기록하며 지난주(16∼22일) 비영어권 영화 시청시간 정상을 차지했으며, '정이'가 톱 10에 오른 국가는 한국을 비롯해 대만, 독일, 스페인, 싱가포르 등 80개국임. '정이'는 온라인 콘텐츠 서비스 순위 집계 사이트 플릭스 패트롤에서도 공개 바로 다음 날인 21일부터 4일 연속 넷플릭스 영화 부문 글로벌 1위를 기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짐. ▷이 같은 소식 속 정이를 연기한 김현주 배우의 소속사인 동사가 시장에서 부각. | |
케이아이엔엑스 (093320) 65,500원 (+9.35%) | AI 적용처 확대에 따른 데이터센터 수요 증가 수혜 기대감 등에 급등 |
▷지난 20일 KB증권은 동사에 대해 AI 적용처가 확대되면서 IDC 사업부 매출 성장이 가속화될 것으로 전망. 동사의 IDC 매출은 임대 공간, 데이터 사용략 확대에 연동된다며, 기업의 AI 적용 확대는 데이터센터에 대한 수요를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기존 고객사의 데이터 사용량을 증가시키는 요소라고 분석. 특히, 동사는 글로벌 클라우드 업체를 고객사로 두고 있어 글로벌 클라우드 기업의 AI 서비스 확대에 수혜를 받을 수 있을 것으로 전망. ▷아울러 2024년 운영이 시작될 과천 데이터 센터가 계단식 성장을 이끌 것으로 예상된다며, 과천 데이터센터 완공 시 동사의 생산가능능력은 140% 증가한다고 밝힘. 또한, 최근 급증한 데이터센터 수요로 완공 시 가동률 및 네트워크 매출 또한 빠르게 증가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 | |
브리지텍 (064480) 5,620원 (+6.84%) | 지난해 실적 호조에 강세 |
▷22년 실적발표. 개별기준 매출액 589.36억원(전년대비 +8.4%), 영업이익 39.20억원(전년대비 +25.0%), 순이익 33.19억원(전년대비 +17.7%). | |
넥스틴 (348210) 52,700원 (+5.72%) | 65.42억원 규모 공급계약 체결에 상승 |
▷PXW Semiconductor Manufactory Co.,Ltd와 65.42억원(최근 매출액대비 11.46%) 규모 공급계약(Wafer Inspection System) 체결(계약기간:2023-01-25~2023-05-31) 공시. | |
모아데이타 (288980) 2,925원 (+5.41%) | 건강데이터 분석 전문기업 메디에이지 인수 결정에 상승 |
▷사업영역 확대 및 양사간 사업 시너지 창출 목적으로 (주)메디에이지 주식 7,167,463주를 35.83억원에 신규로 취득하기로 결정(취득후지분율:41.01%, 취득예정일:2023-01-26) 공시. ▷이와 관련, 동사는 언론을 통해 이번 지분 인수 결정으로 AI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디지털 헬스케어 사업분야의 기술적인 완성과 고객 확대를 추진하여 계열사간 시너지를 극대화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힘. ▷한상진 대표이사는 "이번 메디에이지 인수를 통해 동사가 그동안 준비해온 인공지능 이상탐지 헬스케어 기술분야에서 메디에이지가 보유하고 있는 기술과 고객을 활용해 매출 확대를 이어 나갈 것"이라며, "이번 인수를 기점으로 양사가 가지고 있는 장점들을 활용하여 매출 및 사업확장이 극대화될 수 있도록 양사 구성원 모두가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힘. | |
덴티스 (261200) 9,170원 (+4.44%) | 임플란트 공장 증설을 위한 부지 매입 소식에 상승 |
▷103.00억원 규모(자산총액대비 8.88%) 유형자산(대구특구 의료R&D지구 산업용지(토지)) 취득 결정(취득예정일:2023-02-06) 공시. ▷이와 관련, 동사는 언론을 통해 임플란트 신공장 증설을 위해 1만4,761㎡(약 4,465평) 규모의 부지를 확보했다며, 이번에 매입한 부지에 임플란트 가공 및 후처리 설비 증설을 목적으로 신공장(제3공장) 건립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힘. ▷이번 증설로 인해 추가 생산량을 더하면 임플란트 제품군 생산능력은 연간 1,000만 세트로 예상돼 생산력이 약 3.7배 증가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음. 또한, 신공장은 내년 1분기 내 가동을 목표로, 이와 더불어 올해 출시 예정인 치과 유니트체어(Unit Chair) 양산과 수술실 솔루션 관련 신사업을 위한 공간 확보 차원에서 기존 공장의 생산라인도 함께 정비할 예정. | |
에코프로 (086520) 117,400원 (+3.99%) | 양극재 업스트림 밸류체인 수직계열화에 따른 성장 성 가속화 전망 등에 상승 |
▷하이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양극재 업스트림 밸류체인 수직계열화로 성장성 가속화가 기대된다고 밝힘. 동사는 주요 자회사(에코프로이노베이션, 에코프로머티리얼즈, 에코프로에이피, 에코프로비엠, 에크포르이엠, 에코프로씨엔지)를 통해 양극재 제조의 수직계열화를 이루었다고 밝힘. 전기차 시장이 성장하는 환경하에서 중국 의존도를 낮추면서도 안정적인 원료 공급망을 확보하기 위한 수요가 확대되고 있다며 동사의 양극재 업스트림 밸류체인 수직계열화 등이 자체 뿐만 아니라 대외적으로도 생태계를 활성화 시켜 성장성 등이 가속화될 것으로 전망. ▷아울러, 자회사 에코프로이노베이션의 경우 초고순도 탄산리튬과 수산화리튬의 분쇄/건조/가공, 전극첨가제인 리튬니켈산화물을 제조 공급하고 있다며 수산화리튬 매출 본격화로 수익성 개선이 가속화될 것으로 전망. | |
셀루메드 (049180) 5,210원 (+3.78%) | 금오공대 출원 '2차전지 안전성 특허' 추가 취득 소식에 상승 |
▷동사는 언론을 통해 금오공대가 출원한 퍼스널 모빌리티 배터리 안전성 향상을 골자로 하는 핵심 특허 기술을 추가로 취득했다고 밝힘. 이번에 취득한 특허는 여러 대의 퍼스널 모빌리티 배터리 상태 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해 안전 기준에 미달하는 배터리를 대상으로 제어명령을 선택 전송 및 안전성을 향상할 수 있는 배터리 시스템과 관련한 내용임. ▷이와 관련 강용주 부사장은 "세계 최고의 기업인 BYD와 업무협약에 이어 세부적인 추진사업과 역할을 명시한 본계약도 준비하고 있다"며 "전기차 및 이차전지 사업의 후발주자지만 국내와 유럽에서 교체형 배터리 시장이 활성화되고 있어 사업 성공은 물론 교체형 배터리 분야 글로벌 기업으로 도약해 나갈 것"이라고 밝힘. | |
블레이드 Ent (044480) 1,616원 (+3.59%) | 자회사 블루베리옥션, '증권형 코인 법제화' 수혜 기대감에 상승 |
▷동사는 언론을 통해 최근 정부의 '증권형 코인 법제화' 방침에 따라 자회사 블루베리옥션의 NFT 옥션 사이트 및 갤러리사업이 탄력을 받을 전망이라고 밝힘. ▷블루베리옥션은 MZ세대의 열광적 호응을 이끌고 있는 이머징 아티스트들을 다수 보유한 ACNY 갤러리스탠과 예술품 NFT옥션 싸이트인 'STAN by B', 실물 갤러리 등을 운영 중에 있으며, 동사는 이번 STO 발행·유통 등 관련 법률 개정에 따라 자회사를 통해 관련 사업을 본격적으로 확장할 방침임. ▷동사 관계자는 "이번 증권형토큰 법제화로 이미 진행하고 있는 NFT 옥션 사이트 및 갤러리 사업이 더욱 탄력 받을 것으로 예상 된다"며, "증권형 토큰 관련 법률 개정에 맞춰사업을 확장해 업계의 선두주자가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힘. | |
토비스 (051360) 10,240원 (+2.40%) | 견조한 본업 속 신사업 성장 기대감 등에 소폭 상승 |
▷NH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엔데믹 전환에 따른 카지노 업황 회복이 지속되며 올해에도 산업용 모니터 매출은 지난해에 이어 최대 실적을 경신할 것으로 전망. 또한, 매출 확대에 따른 영업레버리지 효과와 더불어 지난해 동사 수익성에 악영향을 끼쳤던 대외환경(환율, 패널 가격, 운임) 또한 개선되며 이익 성장은 더욱 가파를 것으로 전망. ▷아울러 지난해 본격적으로 시작한 전장 디스플레이 모듈 사업은 차량용 반도체 수급난으로 인한 신차 출시, 출고 지연 등으로 가동률이 당초 예상수준에 미치지 못하였으나, 반도체 수급 불균형이 점차 해소되며 개선되는 추세에 있다고 분석. 이에 증설 중인 서천 공장은 상반기 내 완공이 기대되어 2분기 말부터 가동이 시작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전반적인 매출 확대에 따라 매 분기 전장 사업 적차 축소가 지속되어 하반기에는 분기 실적 흑자전환이 가능할 것으로 분석. | |
알테오젠 (196170) 34,650원 (+1.91%) | 피하주사 플랫폼 기술 사업화 기대감 등에 소폭 상승 |
▷한화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성공 확률이 높은 바이오 플랫폼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고 밝힘. 동사는 3가지의 의약품 플랫폼 기술을 바탕으로 바이오의약품을 개발하고 있다며 그중 정맥주사(IV)를 피하주사(SC)형태로 전환하는 ALT-B4의 사업화로 튼튼한 성장이 기대된다고 밝힘. ▷동사는 지난 2019년12월을 시작으로 지난해 12월까지 총 6.6조원 규모로 4건의 SC제형 변경 기술수출 계약을 체결했다며, 동사의 계약 특징은 동일 항원에 대한 다수의 계약이 가능한 비독점적 권리와 ALT-B4원료 공급권을 보유하는 것으로 상업화와 성공가능성을 높였다고 밝힘. ALT-BB4는 임상시험을 마치고 국내 1분기 허가신청예정으로 기존 동물유래 히알루로니다제 시장을 대체할 것으로 전망. | |
아프리카TV (067160) 76,900원 (+1.59%) | 콘텐츠 및 유저 다양화에 따른 수혜 기대감 등에 소폭 상승 |
▷신한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트위치TV의 화질 제한, VOD 중단 등으로 인해 스트리머들이 대거 동사로 이적한 가운데, 이전에 볼 수 없었던 다양한 콘텐츠와 유저들이 유입되어 색깔이 바뀌고 있다고 언급. 이와 관련, 주로 유튜브와 트위치TV에서 볼 수 있었던 마인크래프트는 최근 동사의 메인 콘텐츠가 되어, 이적한 스트리머들 뿐만 아니라 기존 대형 BJ(ex. 단아냥, 김민교, 킴성태 등)들까지 어울려 거대한 커뮤니티를 형성하고 있다고 언급. 또한 3~4년 전에 비해 자극적인 콘텐츠들이 크게 줄었고, 유해한 채팅과 콘텐츠를 적극적으로 단속하고 중계방 폐지, 콘텐츠 개발 지원을 통해 더 다양한 연령층과 성향의 스트리머 및 유저들을 받아들이고 있다고 덧붙임. ▷한편, 4Q22 영업수익은 816억원(YoY +8.2%, QoQ -0.3%), 영업이익은 156억원(YoY -36.6%, QoQ -24.5%, OPM 19.1%)으로 컨센서스 영업이익 180억원을 하회할 것으로 전망. 이는 월드컵 중계권과 BJ대상 시상식 관련 비용 발생 때문이라고 설명.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100,000원[유지] | |
비투엔 (307870) 2,220원 (+1.14%) | 국내 데이터 산업 및 빅데이터 시장 성장에 따른 수혜 기대감 등에 소폭 상승 |
▷리딩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국내 데이터 산업 및 빅데이터 시장 성장에 따른 수혜가 기대된다고 밝힘. 데이터 시장은 클라우드, AI, 메타버스 등으로 데이트 생산량이 급증하고 있다며 데이터 컨설팅, 데이터 솔루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동사의 수혜가 기대된다고 밝힘. 아울러, 동사는 디지털 헬스케어와 메타버스를 결합해 메타버스 플랫폼 사업으로 진출할 예정이라고 밝힘. 현실반응형 AI 메타버스 플랫폼은 올해 4월부터 런칭할 예정이라며, 현실반응형 메타버스 플랫폼에 요양시설 전체를 구현하여 다양한 Digital 서비스를 제공하고 환자 개인별 데이터를 AI 및 마이데이터를 통해 분석할 것이라고 밝힘. 또한, 추가적으로 반려동물 AI 질병진단 서비스까지도 개발해 상용할 것이라고 밝힘. | |
교보10호스팩 (355150) 2,370원 (+1.07%) | 코스텍시스, 전기차 SiC 전력반도체용 고방열 스페이서 개발 소식에 소폭 상승 |
▷동사와 스팩합병 상장을 추진하고 있는 차세대 전력반도체 및 통신 분야의 저열팽창 고방열 소재 전문기업 주식회사 코스텍시스는 언론을 통해 차세대 차량용 SiC 전력반도체 고방열 스페이서를 개발해 국내외 기업에 시제품 납품 중이라고 밝힘. 이와 관련, 코스텍시스는 기존 차량용 전력반도체인 실리콘 반도체를 대체할 수 있는 차세대 차량용 전력반도체인 SiC(탄화규소)반도체와 GaN(갈륨나이트라이드) 반도체의 고방열 스페이스를 개발했으며, 현재 현대자동차와 LG마그나에 시제품을 납품하고 있다고 언급. ▷한규진 코스텍시스 대표는 "최근 SiC, GaN 반도체가 실리콘에 비해 뛰어난 장점들로 인해 차세대 전력 반도체로서 각광받고 있다"며, "코스텍시스는 일본 등 수입에 의존하던 SiC, GaN 반도체의 필수 재료인 저열팽창 고방열소 재 국산화에 성공해 글로벌 제품 경쟁력까지 확보했다"고 밝힘. | |
래몽래인 (200350) 22,700원 (-4.02%) | 지난해 적자전환에 하락 |
▷22년 실적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443.65억원(전년대비 +8.14%), 영업손실 60.12억원(전년대비 적자전환), 순손실 67.81억원(전년대비 적자전환). |
Copyright ⓒ True&Live 증시뉴스 점유율1위, 인포스탁(www.infostock.co.kr)
기사 관련 종목
04.30 15:30
에스앤에스텍 | 34,500 | 600 | -1.71% |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테슬라 이사회, 머스크에 최후 경고장…"후임 CEO 찾겠다"
-
2
“내가 왜 뒷자리야”…‘의전 불만’ 70대 농협조합장, 공무원 멱살 잡고 폭행
-
3
내일부터 사흘간 세종서 5월 동행축제 개막판매전…행사 '풍성'
-
4
근로장려금 맞벌이 가구 소득요건 완화…20만가구로 대상 확대
-
5
'가상자산 호황' 두나무 재계 36위로 껑충…빗썸도 대기업 입성
-
6
일본은행, 기준금리 2회 연속 동결…'0.5% 정도' 유지
-
7
'글로벌AI 100대 기업' 선정 국내 4개사, 모두 중기부 지원 받아
-
8
내달 거래소·비영리법인 가상자산 매도 가능…금융위 가이드라인 발표
-
9
다음달부터 비영리법인·거래소 가상자산 매도 가능해진다
-
10
카카오헬스케어, 맞춤형 체중 관리 서비스 '피노어트'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