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대전화로 감귤 농사짓는다…120농가 스마트 관수시스템 도입

제주남원농협 컨소시엄, 데이터 기반 스마트 농업 지원 사업 선정
김호천

입력 : 2025.02.15 09:00:06


스마트 관수시스템 장비와 설치 농가 모습
[맘꽃가든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제주=연합뉴스) 김호천 기자 = 휴대전화로 감귤 하우스의 토양 수분을 관리하는 시스템을 도입하는 농가가 많이 늘어난다.

제주남원농협, 제주ICT협동조합과 스마트팜 개발업체인 맘꽃가든 컨소시엄은 농림축산식품부와 한국농업기술진흥원이 지원하는 2025년 데이터 기반 스마트 농업 2단계 주산지 확산 지원 사업에 선정됐다고 14일 밝혔다.

이 사업은 실시간으로 농장 환경을 모니터링하고, 다중 스케줄 관수 기능을 갖춘 관수시스템을 하는 사업이다.

이를 통해 감귤원 물 주기에 들어가는 노동력을 절감하고, 클라우드 기반의 데이터 분석 기능을 추가해 향후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한 최적의 생육관리모텔 개발하게 된다.

제주남원농협 감귤류 재배 조합원 120농가는 오늘 3월부터 10월까지 시설 현황 모니터링과 다중 스케줄 관리가 가능한 관수시스템을 갖춘다.

관수시스템은 토양 수분·온도 센서, 하우스 내 온도 센서, 8채널 관수 제어기, 전자밸브, 유량계, 서수위센서, 인터넷망 등으로 구성된다.

관수시스템 설치가 완료되면 휴대전화로 언제든지 하우스 내 상황을 파악해 적절히 대응할 수 있고,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알림 서비스도 받을 수 있다.

농가당 지원되는 하우스 면적은 3천300㎡로, 참여 농가의 전체 하우스 면적은 39만6천㎡에 이른다.

고일학 조합장은 "스마트 관수시스템으로 기후변화에 대응하고, 농가별로 데이터 기반의 품질 좋은 감귤재배 기술을 갖출 수 있게 된다"며 "농가 운영 결과를 바탕으로 기술 보완을 거쳐 재배 신기술을 확대 보급하겠다"고 말했다.

제주에서는 지난해 제주ICT협동조합 조합원을 중심으로 43농가가 1단계 사업 지원으로 이 같은 스마트 관수시스템을 설치해 운영하며 굉장히 만족한 결과를 얻은 것으로 파악됐다.

이들 가운데 서귀포시 지역에 있는 감귤 하우스를 물려받은 제주시에 사는 몇몇 청년농업인들이 농장에 직접 가지 않고 휴대전화로 농장을 관리하며 시간과 경비를 많이 절감할 수 있었다고 한다.

제주ICT협동조합은 이번 2단계 사업에서 자신들이 축적한 노하우를 교육한다.

khc@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02.19 13:08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