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지 사이언스] 사이버범죄·마약 등 문제해결용 기술개발에 6년간 555억 지원

과기부, 4월부터 경찰청·관세청과 각각 폴리스랩3.0·커스텀즈랩2.0 사업 시행
최현석

입력 : 2025.02.15 10:00:05


치안현장 맞춤형 연구개발(2025~2030)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자료 캡처]

(서울=연합뉴스) 최현석 기자 = 정부가 사이버 범죄, 마약 밀수 등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치안·관세행정 현장맞춤형 기술개발을 지원하는 새 중장기 연구개발(R&D) 사업을 오는 4월부터 시행한다.

15일 연합뉴스 취재를 종합하면 과기정통부와 경찰청은 '치안 현장맞춤형 연구개발(폴리스랩3.0)'과 '관세행정 현장맞춤형 기술개발(커스텀즈랩2.0)' 사업에 6년간 555억원을 투자한다.

'폴리스랩 3.0'은 치안 현장 문제의 다원적 해결 방안 강구와 신속한 현장 적용을 통해 국민·경찰의 안전 확보와 치안 업무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사업이다.

오는 4월부터 2030년 12월까지 359억원을 투입해 추진된다.

폴리스랩 3.0은 사전검증연구와 현장적용 R&D, 실증지원팀 등으로 구성된다.

2021년부터 5년간 진행된 폴리스랩2.0의 선기획 연구가 주제 간 경쟁 탓에 본 연구로 이어지지 않는 경우가 발생한 점을 고려해 전년도 수요조사를 거쳐 선정된 동일한 주제에 대해 기관 간 경쟁형 사전검증연구를 진행함으로써 사전 준비가 철저한 우수한 기관이 연구를 하도록 개선된다.

현장적용 R&D는 제품·서비스 개발 규모, 솔루션 확보 방식 등에 따라 현안대응형·신속시범형·국제협력형 3가지 유형으로 구분된다.

기존 기술과 성과물 등에 대한 추가 개발·개량과 광역 단위 기술 실증을 통한 신속한 현장 적용을 추진하는 신속시범 유형과 3곳 이상 관서에서 수요자 중심 실증 체계를 마련하는 실증지원 전담조직 등이 신설된다.

이를 통해 선행 사업에서 3~4년이던 과제당 연구 기간이 1.5~3.5년으로 단축될 전망이다.

마약, 사이버범죄 등 초 국경 범죄를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국제협력형은 해외연구기관과 공동 연구·개발, 실증 인프라·데이터 공유 등을 추진해 해외 치안 시장을 발굴함으로써 국내 치안 산업 생태계 확장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사업 기간 중 본 연구인 현장적용 R&D 25개를 포함해 59개 과제를 수행한다.

이를 통해 2029년부터 3년간 우수 연구성과물 14건이 혁신·우수제품으로 지정되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앞서 과기정통부가 2018년부터 4년간 진행한 폴리스랩 1.0은 7건의 연구과제를 지원해 2건이 과기정통부 혁신제품으로, 1건이 조달청 혁신시제품으로 지정되는 성과를 냈다.

이 중 휴대용 지문스캐너를 활용해 1분 내 신원불상자 신원 확인이 가능한 모바일 지문식별시스템은 작년 2월 순찰차당 1대씩 보급이 완료됐다.

폴리스랩 2.0의 연구과제는 선기획 74건, 본연구 23건이었으며 3건이 경찰청 혁신제품으로 지정됐다.

내·외판 이중구조로 내충격성이 강화되고 경량화된 신형 중형 방패는 작년 7월까지 지역경찰, 기동순찰대 등 4천681개 치안 현장에 보급됐다.

'커스텀즈랩2.0'은 관세행정을 첨단화하고 관세 국경관리 효율성을 높여 국민을 위해 상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기술개발이 목적이다.

2028년 12월까지 과기정통부와 관세청이 196억원을 투자한다.

R&D 과제는 인공지능(AI)을 활용해 컨테이너 구조공간 은닉 물품을 적발하는 기술 개발과 인체 접촉 가능성이 차단된 패치형 동시다종 마약 신속 검사키트 국산화, 체계적인 X-Ray 영상데이터 수집·관리·활용을 위한 표준화 기술 개발, 국경 반입단계 불법 마약류 탐지를 위한 후각지능 기술·시스템 구축 등이다.

2021년부터 4년간 진행된 커스텀즈랩1.0 사업은 소형화물 검색용 복합 X-Ray 장비와 X-Ray 판독 트레이닝 시스템, 3차원 방사선 복합 탐지 장비, 컨테이너 화물 검사용 탐사로봇, 생체신호·표정 기반 검사대상 여행자 선별 기술 등을 개발하는 성과를 냈다.

과기정통부는 커스텀즈랩2.0을 통해 관세행정에 첨단 기술을 적용함으로써 세관 직원의 업무 효율성이 극대화되고 국민의 건강과 안전을 위협하는 마약류 등의 위험 물품을 효율적으로 차단, 사회문제 해결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커스텀즈랩2.0 연구개발 사업 내용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자료 캡처]

harrison@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02.19 13:24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