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스크의 화성우주선 스타십, 군사장비 수송 목표도 추진"
WSJ 보도…"전 세계 기지에 신속한 화물 운송 시도"
임미나
입력 : 2025.05.27 03:52:50
입력 : 2025.05.27 03:52:50

[로이터 연합뉴스 자료사진.재판매 및 DB 금지]
(로스앤젤레스=연합뉴스) 임미나 특파원 = 일론 머스크 스페이스X 최고경영자(CEO)가 화성 탐사용 우주선 스타십(Starship) 개발에 박차를 가하는 가운데 이 우주선을 군사 화물 수송 목적으로 이용하는 방안도 연구되고 있다고 미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이 26일(현지시간) 보도했다.
WSJ은 소식통을 인용해 최근 스페이스X 내부에서 스타십 관련 프로젝트 중 하나인 '스타폴'(Starfall)에 직원들이 추가 배치됐다고 전했다.
이 프로젝트는 스타십을 이용해 전 세계에 군사 장비를 신속히 수송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군사적인 활용 노력과 연계된 것으로 전해졌다.
군 관료들과 우주 기업들은 지난 수년간 로켓을 이용해 화물을 신속히 수송하는 방법을 연구해 왔다.
우주선이 발사 후 1시간 이내 비행으로 주요 군사 기지나 멀리 떨어진 지역에 대규모 물자를 수송하게 한다는 목표다.
스페이스X는 2017년 온라인에 게시한 애니메이션에서 뉴욕에서 스타십에 탑승한 사람들이 39분 만에 중국 상하이에 도착할 수 있게 한다는 개념을 보여줬지만, 최근에는 이런 지구적인 수송 목표에 대해 경영진이 거의 언급하지 않았다.
다만 회사 측은 지난해 발행한 공식 문서에서 미 공군을 위한 로켓 화물 임무를 수행한다는 목표를 밝혔다.
이 임무에서 스타십은 6만6천파운드(29.9t) 이상의 화물 운송을 시도할 예정이다.
또 스타십의 화물 운송 능력을 추가로 개발하는 데 약 1억4천900만달러(약 2천43억원)를 지원받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회사 측은 밝혔다.
스타십 발사체의 2단부인 우주선은 길이 52m, 직경 9m로 내부에 사람 100명과 화물 100t가량을 적재할 수 있도록 만들어졌다.
이 우주선을 쏘아 올리는 역대 최강 로켓 슈퍼헤비(길이 71m)와 합체한 발사체 전체가 스타십으로 지칭된다.
이 발사체의 총길이는 123m에 달한다.
스페이스X는 지난 3월 6일 시도한 8번째 스타십 지구궤도 시험비행에서 스타십 2단부 우주선이 발사 후 공중에서 폭발해 당국의 조사를 받은 뒤 약 2개월 반 만인 지난주에 9차 시험비행 발사를 위한 당국의 승인을 받았다.
스페이스X는 미 중부 시간으로 오는 27일 오후 6시 30분께 스타십의 9차 지구궤도 시험비행 발사를 시도할 예정이다.
전기차 업체 테슬라 CEO이기도 한 머스크는 지구에 위기가 닥쳤을 때 인류를 화성에 보내 거주하게 한다는 목표로 2002년 스페이스X를 먼저 설립하고 화성 탐사용 우주선 스타십과 로켓을 개발해 왔다.
스페이스X는 2023년 4월부터 스타십에 사람을 태우지 않은 무인 상태로 지구궤도 시험비행을 시도했다.
이 시험비행은 텍사스 남단 보카 치카 해변에서 발사된 스타십이 약 67분간 지구궤도 비행 후 인도양에 낙하하게 하고, 1단 로켓과 2단 우주선을 모두 온전히 회수해 재사용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mina@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인기검색 20종목
-
2
동아쏘시오홀딩스(000640) 소폭 상승세 +4.54%, 외국계 매수 유입
-
3
심플랫폼(444530) 소폭 상승세 +3.02%, 3거래일 연속 상승
-
4
대덕(008060) 소폭 상승세 +3.40%
-
5
SKAI(357880) 소폭 상승세 +4.80%
-
6
상신이디피(091580) 상승폭 확대 +9.37%
-
7
포바이포(389140) 급등세 기록중 +20.79%, 8거래일만에 반등
-
8
인성정보(033230) 소폭 상승세 +3.20%, 외국계 매수 유입
-
9
코오롱모빌리티그룹(450140) 상승폭 확대 +7.05%
-
10
LG화학(051910) 소폭 상승세 +4.59%, 외국계 매수 유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