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228670) 소폭 상승세 +4.30%
입력 : 2023.05.15 09:06:20
제목 : 레이(228670) 소폭 상승세 +4.30%
기업개요
치과용 디지털 엑스레이 영상진단을 기반으로 디지털 치료솔루션을 개발하여 상품화에 성공한 기술 중심의 디지털 덴탈 솔루션 전문업체. 주요 사업은 디지털 치료솔루션 사업(디지털 토탈 솔루션, 3D 프린팅 솔루션 등)과 디지털 진단시스템 사업(2D, 3D, 구강내 촬영 등), 치과용 의료기기 및 재료 상품 판매사업 등으로 구분. 최대주주는 레이홀딩스 외(32.00%) Update : 2023.03.17 |
▶하루에 두번 필요한 정보만 쏙쏙 골라주는 인포스탁 모바일 주식신문
개인/외국인/기관 일별 순매매동향(수량기준, 전일까지 5거래일)
일자 | 종가(등락률) | 거래량 | 개인 | 외국인 | 기관계 | 기타 |
05-12 | 33,750 ( -0.88 % ) | 151,956 | +20,880 | -5,755 | -8,114 | -7,011 |
05-11 | 34,050 ( -2.44 % ) | 182,104 | +44,788 | -64,165 | +10,405 | +8,972 |
05-10 | 34,900 ( +6.56 % ) | 364,507 | -25,865 | +24,069 | +22,361 | -20,565 |
05-09 | 32,750 ( 0.00 % ) | 282,972 | -17,838 | +55,779 | -39,880 | +1,939 |
05-08 | 32,750 ( -5.21 % ) | 233,215 | +46,783 | -37,612 | -6,942 | -2,229 |
공매도 정보(수량 기준, 전일까지 5거래일)
일자 | 공매도 거래량 | 업틱룰 적용 | 업틱룰 예외 | 잔고수량 | 매매비중 |
05-12 | 6 | 0 | 6 | - | 0.00% |
05-11 | 0 | 0 | 0 | - | 0.00% |
05-10 | 17 | 0 | 17 | 0 | 0.00% |
05-09 | 12 | 0 | 12 | 0 | 0.00% |
05-08 | 17 | 0 | 17 | 0 | 0.01% |
* 업틱룰예외는 해지거래, 차익거래 등 업틱룰의 적용이 면제된 거래를 의미.
* 공매도잔고는 보고의무에 따라 당일 기준으로 2일전 내역까지 확인가능.
* 매매비중 = 공매도 거래량 / 총 거래량
* 출처 : KRX 정보데이터시스템
종목히스토리
▶ 종목이슈
☞ 2023-04-03 신한투자증권 중소형주 추천종목 ☞ 2023-03-22 올해 실적 호조 전망 및 신제품 시장성 기대감 등에 소폭 상승 ☞ 2023-03-15 급등 - 中 임플란트 성장 수혜 기대감 지속 등에 치아 치료(임플란트 등) 테마 상승 속 급등 |
관련테마
※ 테마와 관련된 상세한 설명과 자료는 증권사 HTS나 인포스탁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증권사 투자의견
평균목표가 : 42,000
일자 | 증권사 | 투자의견 | 목표주가 | 이전 투자의견 | 이전 목표주가 |
2023-05-15 | 미래에셋 | 매수 | 45,000 | 매수 | 41,000 |
2023-03-22 | 다올투자 | BUY | 39,000 | BUY | 35,000 |
Copyright ⓒ True&Live 증시뉴스 점유율1위, 인포스탁(www.infostock.co.kr)
기사 관련 종목
07.03 15:30
레이 | 7,610 | 250 | +3.40% |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백악관 조선 사무국 인력 2명으로 축소…조선 재건 차질 가능성
-
2
[뉴욕증시-1보] 관세 우려에도 끄떡없는 고용…동반 강세 마감
-
3
애플 아이폰 中 판매, 2년만에 '증가'…할인·보상판매 주효
-
4
뉴욕증시, 고용 호조에 상승…S&P500·나스닥 최고치 마감
-
5
뉴욕증시, 관세 우려에도 끄떡없는 고용…동반 강세 마감
-
6
달러-원, 美 고용 호조에 상승폭 확대…1,365.50원 마감
-
7
뉴욕증시, 고용 호조에 상승…S&P500·나스닥 최고치 마감(종합)
-
8
NASA, 태양계 통과 성간 혜성 발견…"지구엔 위협 없어"
-
9
[속보] 美재무 "상호관세, 약 100개국에 최저치인 10% 부과될 것"
-
10
美재무 "합의 미루는 나라들엔 원래 정한 상호관세율 적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