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 구제역 전방위 확산하나…1주간 10건, 1천200여마리 살처분
백신접종 제대로 했으면 항체율 97% 돼야…확진 농장 한 곳은 24% 불과"보관·주사 방법 문제 가능성…50두 이상 농장 자가면역 맡긴 것도 문제"
전창해
입력 : 2023.05.17 09:50:56 I 수정 : 2023.05.17 10:39:52
입력 : 2023.05.17 09:50:56 I 수정 : 2023.05.17 10:39:52
(청주=연합뉴스) 전창해 기자 = 충북 청주시와 증평군 내 구제역 발생 농장이 일주일 새 10곳으로 늘었다.
구제역 바이러스가 이미 전방위로 퍼진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일부에선 지난 4년 4개월 동안 구제역이 발생하지 않으면서 농가 등의 방역 의식이 느슨해진 결과라는 진단도 제기된다.
방역 당국은 추가 확산을 막기 위해 차단 방역과 함께 백신 접종 대상을 확대하는 등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구제역 발생한 청주 한우 농장
[연합뉴스 자료사진]
◇ 한우·염소 1천200여마리 살처분…피해 눈덩이 17일 충북도에 따르면 지난 10일 청주 소재 한우농장에서 2019년 1월 31일 이후 국내 첫 구제역 발생이 확인된 데 이어 전날까지 누적 확진 농장이 10곳으로 늘었다.
구제역 발생 농장은 청주시 8곳과 인접한 증평군 2곳이다.
축종별로는 9곳이 한우, 나머지 1곳은 염소다.
방역 당국은 확진 농장에서 사육 중인 소와 염소를 긴급행동지침(SOP) 등에 따라 살처분하고 있는데, 그 수가 1천200여마리에 이른다.
청주는 최초 확진 농장의 반경 3㎞ 방역대 내에서 추가 발생이 확인되고 있다.
하지만 이곳과 12.7㎞나 떨어진 증평에서 확진 농장이 나온 만큼 이들 지역에 구제역 바이러스가 퍼진 상태에서 동시다발적으로 확진이 잇따랐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피해가 눈덩이처럼 커질 수 있다는 얘기다.
청주시 방역대에는 소·돼지·염소 등 우제류를 키우는 농장이 231곳, 증평군 방역대에는 179개 농장이 몰려 있다.

구제역 발생 농장 소독
[연합뉴스 자료사진]
◇ 62%, 76%, 24% 항체율 제각각…방심했나 단기간 내 구제역 확진 농장이 잇따르면서 느슨해진 방역 의식을 지적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우제류 농장들은 매년 4월과 10월 두 차례 정기적으로 백신을 접종하는데, 구제역이 4년 넘게 발생하지 않은 탓에 이 접종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을 가능성이 있다.
사육두수가 50마리 이하의 소규모 농장은 지자체에서 무료로 백신을 놔주지만, 그 이상이 되면 농장 스스로 자가접종하는 게 원칙이다.
확진 농장들은 모두 자가접종을 했는데, 이 과정에서 백신 보관이나 접종 방법에 문제가 있었을 수 있다.
실제 청주의 최초 확진 농장에서 소 29마리를 표본조사한 결과, 항체 형성률이 62%에 그쳤다.
세 번째 확진 농장도 76.5%로 파악됐고, 세 번째 확진 농장은 고작 24%에 불과했다.
일부를 조사한 결과이지만 구제역 바이러스에 대항할 항체가 없는 소가 적지 않았다는 뜻이다.
방역 당국 관계자는 "백신 접종이 제대로 이뤄졌다면 평균 97% 정도의 항체 형성률을 보이는데, 항체 형성이 덜 된 것은 보관을 잘못한 백신을 접종했거나 부위를 잘못해 주사를 놓았을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구제역 백신 접종
[연합뉴스 자료사진]
◇ 긴급 백신접종으로 집단면역 형성 '올인' 현재까지의 역학조사에서 확진 농장 간 명확한 연결고리는 확인되지 않고 있다.
단정할 수는 없지만 수평전파보다는 구제역 바이러스가 전방위로 퍼졌을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방역 당국이 긴급 백신 접종에 집중하는 이유다.
코로나19 바이러스처럼 다수 개체가 백신을 맞으면 집단 면역을 형성할 수 있다는 게 방역 당국의 설명이다.
방역 당국은 청주와 증평에서 발생한 구제역 바이러스가 2019∼2020년 캄보디아, 라오스, 베트남 등 동남아 지역에서 발생한 바이러스와 유사하며, 현재 국내에서 사용 중인 백신으로 방어가 가능하다고 분석했다.
이에 따라 청주 인근 5개 시·군에서 도내 11개 모든 시·군으로 대상을 확대해 오는 19일까지 긴급 백신 접종을 완료할 방침이다.
아울러 방역대 내 농장은 물론 사료나 분뇨 운반 차량 등이 겹치는 역학관련 농장 전체를 대상으로 임상검사를 시행 중이다.
충북도 관계자는 "우제류 농장은 빠짐없이 접종하고, 상시 소독체제로 전환하는 등 구제역이 종식될 때까지 빈틈없는 방역체계를 유지해 달라"고 당부했다.

청주 구제역 방역 비상
[연합뉴스 촬영.재판매 및 DB 금지]
jeonch@yna.co.kr(끝)
구제역 바이러스가 이미 전방위로 퍼진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일부에선 지난 4년 4개월 동안 구제역이 발생하지 않으면서 농가 등의 방역 의식이 느슨해진 결과라는 진단도 제기된다.
방역 당국은 추가 확산을 막기 위해 차단 방역과 함께 백신 접종 대상을 확대하는 등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연합뉴스 자료사진]
◇ 한우·염소 1천200여마리 살처분…피해 눈덩이 17일 충북도에 따르면 지난 10일 청주 소재 한우농장에서 2019년 1월 31일 이후 국내 첫 구제역 발생이 확인된 데 이어 전날까지 누적 확진 농장이 10곳으로 늘었다.
구제역 발생 농장은 청주시 8곳과 인접한 증평군 2곳이다.
축종별로는 9곳이 한우, 나머지 1곳은 염소다.
방역 당국은 확진 농장에서 사육 중인 소와 염소를 긴급행동지침(SOP) 등에 따라 살처분하고 있는데, 그 수가 1천200여마리에 이른다.
청주는 최초 확진 농장의 반경 3㎞ 방역대 내에서 추가 발생이 확인되고 있다.
하지만 이곳과 12.7㎞나 떨어진 증평에서 확진 농장이 나온 만큼 이들 지역에 구제역 바이러스가 퍼진 상태에서 동시다발적으로 확진이 잇따랐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피해가 눈덩이처럼 커질 수 있다는 얘기다.
청주시 방역대에는 소·돼지·염소 등 우제류를 키우는 농장이 231곳, 증평군 방역대에는 179개 농장이 몰려 있다.

[연합뉴스 자료사진]
◇ 62%, 76%, 24% 항체율 제각각…방심했나 단기간 내 구제역 확진 농장이 잇따르면서 느슨해진 방역 의식을 지적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우제류 농장들은 매년 4월과 10월 두 차례 정기적으로 백신을 접종하는데, 구제역이 4년 넘게 발생하지 않은 탓에 이 접종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을 가능성이 있다.
사육두수가 50마리 이하의 소규모 농장은 지자체에서 무료로 백신을 놔주지만, 그 이상이 되면 농장 스스로 자가접종하는 게 원칙이다.
확진 농장들은 모두 자가접종을 했는데, 이 과정에서 백신 보관이나 접종 방법에 문제가 있었을 수 있다.
실제 청주의 최초 확진 농장에서 소 29마리를 표본조사한 결과, 항체 형성률이 62%에 그쳤다.
세 번째 확진 농장도 76.5%로 파악됐고, 세 번째 확진 농장은 고작 24%에 불과했다.
일부를 조사한 결과이지만 구제역 바이러스에 대항할 항체가 없는 소가 적지 않았다는 뜻이다.
방역 당국 관계자는 "백신 접종이 제대로 이뤄졌다면 평균 97% 정도의 항체 형성률을 보이는데, 항체 형성이 덜 된 것은 보관을 잘못한 백신을 접종했거나 부위를 잘못해 주사를 놓았을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연합뉴스 자료사진]
◇ 긴급 백신접종으로 집단면역 형성 '올인' 현재까지의 역학조사에서 확진 농장 간 명확한 연결고리는 확인되지 않고 있다.
단정할 수는 없지만 수평전파보다는 구제역 바이러스가 전방위로 퍼졌을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방역 당국이 긴급 백신 접종에 집중하는 이유다.
코로나19 바이러스처럼 다수 개체가 백신을 맞으면 집단 면역을 형성할 수 있다는 게 방역 당국의 설명이다.
방역 당국은 청주와 증평에서 발생한 구제역 바이러스가 2019∼2020년 캄보디아, 라오스, 베트남 등 동남아 지역에서 발생한 바이러스와 유사하며, 현재 국내에서 사용 중인 백신으로 방어가 가능하다고 분석했다.
이에 따라 청주 인근 5개 시·군에서 도내 11개 모든 시·군으로 대상을 확대해 오는 19일까지 긴급 백신 접종을 완료할 방침이다.
아울러 방역대 내 농장은 물론 사료나 분뇨 운반 차량 등이 겹치는 역학관련 농장 전체를 대상으로 임상검사를 시행 중이다.
충북도 관계자는 "우제류 농장은 빠짐없이 접종하고, 상시 소독체제로 전환하는 등 구제역이 종식될 때까지 빈틈없는 방역체계를 유지해 달라"고 당부했다.

[연합뉴스 촬영.재판매 및 DB 금지]
jeonch@yna.co.kr(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