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전장★테마동향
입력 : 2023.01.03 11:13:36
제목 : 오전장★테마동향
테마 동향 | 주 요 테 마 |
강세 테마 | 웹툰, 여행, 수산, 엔터테인먼트, 영상콘텐츠, 음원/음반, NFT(대체불가토큰) 등... |
약세 테마 | 요소수 관련주, 정유, 렌터카, 국내 상장 중국기업, CCTV&DVR, 마켓컬리 관련주, 밥솥, 화폐/금융자동화기기(디지털화폐 등), 조선기자재, 조선, 피팅(관이음쇠)/밸브, 생명보험, 일자리(취업), 마리화나(대마), 해저터널(지하화/지하도로 등), 항공기부품, 바이오시밀러(복제 바이오의약품), 시멘트/레미콘 등... |
특징 테마 | 이 슈 요 약 |
여행 | 1월 여행 예약률 폭증 및 하반기 中 리오프닝 기대감 등에 상승 |
▷하나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하나투어/모두투어 양사 모두 12월 대비 1월에 발표한 예약률이 폭증했다며, 대부분 단거리 노선인 일본향 여행 수요 재개로 추정된다고 밝힘. 1월 하나투어/모두투어의 패키지 송객 수는 각각 7.5만명/5.5만명 내외가 예상되며 2월까지 성장도 확정적이라고 언급. ▷아울러 하반기로 예상한 중국 리오프닝도 예상 대비 더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어 긍정적이라며, 조정 시마다 비중확대가 유효하다고 밝힘. ▷한편, 야놀자가 자사 플랫폼과 함께 인터파크의 데이터를 분석해본 결과, 지난해 해외 패키지 예약자 수가 전년대비 2,064% 폭증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힘. ▷이 같은 소식에 모두투어, 참좋은여행, 롯데관광개발, 노랑풍선 등 여행 테마가 상승. | |
영상콘텐츠 | 넷플릭스 드라마 '더 글로리' 글로벌 흥행 소식에 상승 |
▷온라인 스트리밍 집계 사이트 플릭스패트롤(FlixPatrol)에 따르면, 넷플릭스 드라마 '더 글로리'가 금일 기준 넷플릭스 TV쇼 부문 6위에 올라섰으며, 우리나라는 물론 홍콩,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사우디아라비아, 싱가포르, 대만, 태국, 베트남 등에선 1위를 기록중인 것으로 전해짐. ▷한편, '더 글로리'는 톱배우인 송혜교와 '도깨비' '미스터 션샤인'을 집필한 김은숙 작가가 지난 2016년 방영된 KBS '태양의 후예' 이후 처음으로 만나 공개 전부터 화제가 된 바 있음. ▷이 같은 소식에 '더 글로리' 제작사인 화앤담픽쳐스가 자회사인 스튜디오드래곤을 비롯해 삼화네트웍스, 코퍼스코리아, 키이스트, 에이스토리 등 영상콘텐츠 테마가 상승. | |
엔터테인먼트/ 음원/음반 | 주요 엔터사, 1분기 라인업 기대감 등에 일부 관련주 상승 |
▷유안타증권은 전일 보고서를 통해 주요 엔터사들이 예년과 다른 화려한 1분기 라인업을 보유하고 있다고 밝힘. 1월 주요 컴백 일정으로 뉴진스(지난 2일), 갓더비트(16일), 르세라핌(25일/일본), TXT(27일), NCT127(30일/리패키지), 트레저(30일/일본), 트와이스(날짜미정/영어 싱글 선공개)라고 밝힘. ▷특히, 하이브는 BTS의 RM과 뉴진스의 Ditto가 흥행을 이어가고 있으며, JYP Ent.는 트와이스가 1월 영어 싱글 선공개 및 3월 미니 12집 컴백이 확정된 가운데, 스키즈가 2~3월 아시아 투어 진행과 일본 정규1집 2월 발매가 확정됐다고 밝힘. 이어 에스엠은 슈퍼주니어의 올해 2월 남미투어, 샤이니·엑소·슈퍼엠 2023년 완전체 컴백이 확정됐으며, YG엔터는 블랙핑크 올해 일본 돔 투어, 베이비몬스터 지난 1일 데뷔 티저 공개, 빅뱅 GD의 솔로 앨범 등이 계획되어 있다고 설명. ▷한편, 하이브의 종속회사 어도어에 따르면, 뉴진스가 전일 발매한 'OMG'는 당일 한터차트 음반 일간 차트 정상에 올랐으며, 와이지엔터테인먼트 소속 걸그룹 블랙핑크의 두 번째 정규 앨범 타이틀곡 ‘셧 다운’(Shut Down)과 블랙핑크의 멤버 리사의 솔로곡 ‘머니’(MONEY)가 나란히 억대뷰 기록을 달성한 것으로 전해짐. ▷아울러 최근 한중 정부가 문화 교류의 중요성을 강조한 가운데, 中 한한령 해제 기대감이 지속되고 있는 점도 긍정적으로 작용. ▷이 같은 소식 속 하이브, 큐브엔터, 와이지엔터테인먼트 등 일부 엔터테인먼트/음원/음반 테마가 상승. | |
2차전지/ 전기차 | 테슬라 4분기 인도량 시장예상치 하회 소식 등에 하락 |
▷언론에 따르면, 테슬라의 지난해 4분기 인도량은 40만5,278대로 분기 기준 최다 실적을 기록했지만, 월가 예상치(42만~43만대)를 밑돈 것으로 알려짐. 지난해 인도 대수는 131만대 를 기록해 전년 대비 40% 증가했으나 당초 테슬라가 제시했던 인도 대수 증가율 50%에는 미치지 못하면서 목표 달성에 실패했다고 전해짐. 이와 관련,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전기차 수요 감소, 코로나19와 관련한 중국 공장의 생산 차질 등을 그 원인으로 지목. 지난해 테슬라의 생산량은 137만대로 전년 대비 40% 증가한 것으로 전해짐. ▷이 같은 소식에 SK아이이테크놀로지, SK이노베이션, LG에너지솔루션, 로스웰, 보성파워텍 등 2차전지/전기차 테마가 하락. | |
건설 대표주/ 건설 중소형 | 올해 아파트 신규분양 축소 소식에 하락 |
▷신한투자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부동산114에 따르면 2023년 전국 아파트 신규분양 계획은 약 26만8,954세대로 전년대비 28.6% 낮은 것으로 집계됐다고 밝힘. 이는 2012년 이래로 가장 낮은 수준으로 최근 5년 평균 물량의 76%에 불과한 것으로 전해짐. ▷특히, 현대건설, GS건설, 대우건설, DL이앤씨 합산 기준 2023년 예상 신규분양은 7.5만 세대로 전년대비 7.5% 낮을 것으로 전망. 이와 관련, 2022년 하반기부터 주택경기 둔화로 건설사 주택 신규수주는 축소됐으나 도시정비사업 위주로 분양 규모를 2022년 수준으로 유지한다는 계획이지만, 2022년 연간 공급실적이 연초 계획을 26% 미달한 점을 고려하면 아쉬운 수치라고 밝힘. ▷이 같은 소식에 HDC현대산업개발, GS건설, DL이앤씨, 대우건설, 현대건설, 남화토건 등 건설 대표주/건설 중소형 테마가 하락. |
[인포스탁 테마분류를 통해서 상세한 기업개요 및 테마개요/관련종목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Copyright ⓒ True&Live 증시뉴스 점유율1위, 인포스탁(www.infostock.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