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엔에프(092070) 소폭 상승세 +3.17%
입력 : 2023.07.28 09:31:04
제목 : 디엔에프(092070) 소폭 상승세 +3.17%
기업개요
반도체 소자 형성용 박막 재료 전문업체. 미세패턴 구현을 위한 패터닝용 희생막 재료인 DPT(Double Patterning Technology) & QPT(Quadruple Patterning Technology) 재료, Capacitor 유전막 및 Metal Gate 절연막으로 사용되는 High-k 재료, 저온 공정용 SiO/SiN 재료, 웨이퍼 패터닝 시 PR 보조역할을 하는 Hardmask용 ACL(Amorphous Carbon Layer) 재료, 메탈과 절연층과의 산화반응을 막아주는 확산 방지막 재료, 메탈의 원활한 증착을 돕는 Seed layer 재료 등을 주요 제품으로 생산. 최대주주는 김명운 외(19.70%), 주요주주는 삼성전자(7%) Update : 2023.06.22 |
▶마약주식신문! 둘러보기 신청하기
개인/외국인/기관 일별 순매매동향(수량기준, 전일까지 5거래일)
일자 | 종가(등락률) | 거래량 | 개인 | 외국인 | 기관계 | 기타 |
07-27 | 23,650 ( +6.77 % ) | 279,859 | +20,507 | -36,085 | +9,184 | +6,394 |
07-26 | 22,150 ( -4.73 % ) | 335,522 | -69,964 | +64,420 | +11,578 | -6,034 |
07-25 | 23,250 ( -4.32 % ) | 281,972 | +40,319 | -37,201 | +616 | -3,734 |
07-24 | 24,300 ( +9.46 % ) | 927,670 | -62,949 | +50,629 | -13,032 | +25,352 |
07-21 | 22,200 ( -0.22 % ) | 245,723 | +46,483 | -50,672 | +296 | +3,893 |
공매도 정보(수량 기준, 전일까지 5거래일)
일자 | 공매도 거래량 | 업틱룰 적용 | 업틱룰 예외 | 잔고수량 | 매매비중 |
07-27 | 0 | 0 | 0 | - | 0.00% |
07-26 | 0 | 0 | 0 | - | 0.00% |
07-25 | 0 | 0 | 0 | 11,128 | 0.00% |
07-24 | 0 | 0 | 0 | 9,360 | 0.00% |
07-21 | 0 | 0 | 0 | 9,678 | 0.00% |
* 업틱룰예외는 해지거래, 차익거래 등 업틱룰의 적용이 면제된 거래를 의미.
* 공매도잔고는 보고의무에 따라 당일 기준으로 2일전 내역까지 확인가능.
* 매매비중 = 공매도 거래량 / 총 거래량
* 출처 : KRX 정보데이터시스템
종목히스토리
▶ 종목이슈
☞ 2023-07-24 52주 신고가 |
이슈&테마 스케줄
2023-08-03 시지트로닉스 신규상장 2023-08-09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올라프 슐츠 독일 총리 회동 2023-08-18 한·미·일 정상회의(현지시간) 2023-10-25 반도체대전 |
※ 테마와 관련된 상세한 설명과 자료는 증권사 HTS나 인포스탁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Copyright ⓒ True&Live 증시뉴스 점유율1위, 인포스탁(www.infostock.co.kr)
기사 관련 종목
05.09 15:30
디엔에프 | 10,800 | 470 | -4.17% |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NYT·로이터·쉬브스테드…전 세계 뉴스룸의 AI 실험
-
2
車관세 여파 가시화에 완성차업체 대응 분주…현대차그룹 전략은
-
3
강원도, 미래 축종으로 염소 육성…"5년간 250억원 소득 창출"
-
4
을지로 한복판 '호텔 더 보타닉 세운 명동' 분양 나선다
-
5
[인천소식] 인천항만공사, 미국서 냉동·냉장 화물 유치 마케팅
-
6
금은방 주인이 3억원대 명품시계 매매 사기…징역 2년
-
7
남양주시 "연 5억3천만원 마석∼상봉 셔틀 운행비 LH와 분담"
-
8
삼성전자, 세계 최초 500㎐ 'OLED 게이밍 모니터' 출시
-
9
대한항공, 지방공항 국제선 운항편 50% 가까이 줄여
-
10
AI와 함께 그리는 저널리즘의 미래…"여전히 기자가 중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