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수 피해 곤포 사일리지도 보상해야"…세종시, 지침 개정 건의
전국적으로 4천500여t 침수 피해…자연재난 피해보상 지침에 지원기준 없어
이은파
입력 : 2023.08.04 07:00:01
입력 : 2023.08.04 07:00:01

[세종시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세종=연합뉴스) 이은파 기자 = 세종시가 집중호우로 침수 피해를 본 소먹이용 곤포 사일리지에 대한 정부 차원의 보상을 요청하기로 했다.
시는 4일 "지난달 13∼15일 충청권에 쏟아진 집중호우로 곤포 사일리지가 큰 침수 피해를 봤지만, 자연 재난 피해보상 지침에 지원 기준이 없어 축산농가가 시름에 잠겨 있다"며 "이에 대한 실질적인 보상이 이뤄질 수 있도록 농림축산식품부 등 관련 정부 부처에 지침 개정을 건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곤포 사일리지는 벼 등 농작물 수확 후 볏짚 등을 비닐로 밀봉해 창고에 보관하는 대표적인 소먹이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지난달 집중호우로 침수되거나 유실된 곤포 사일리지가 전국적으로 4천500여t(10억원 상당)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세종에서도 600여t(1억원)이 침수 피해를 봤다.
소 사육 농가는 창고에 비축해 놓은 곤포 사일리지가 폭우로 침수되자 비닐 랩을 제거하고 햇볕에 건조하고 있지만 사료로서의 가치가 떨어져 울상을 짓고 있다.
세종시 연서면에서 한우를 사육하는 A씨는 "소들이 빗물에 젖은 볏짚을 잘 먹지 않을 뿐 아니라 먹는다 하더라도 설사하는 경우가 많다"며 "때문에 빗물에 잠겼던 곤포 사일리지 대부분을 폐기 처분하고 있다"고 말했다.

[세종시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게다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로 건초 수입이 불안정하고 옥수수 등의 침수 유실도 적지 않아 소 사료 수급에 차질을 빚고 있는 실정이다.
문제는 재난 발생 시 농가 피해를 산정하고 지원에 기준이 되는 농림축산식품부의 '자연 재난 조사 및 복구계획 수립 편람'에 곤포 사일리지에 대한 지원기준이 없어 현재로서는 지원이 불가능하다는 점이다.
김용준 시 동물위생박역과장은 "기후변화로 갑작스러운 폭우 발생이 빈발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정부는 이번에 피해복구 지원 지침을 개정해 침수 유실된 곤포 사일리지에 대한 피해 보상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세종시의회 산업건설위원회도 호우 피해 축산농가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는 지원 방안 마련에 힘을 모으기로 했다.
김동빈 시의원은 "이번에 수해를 본 축산농가를 방문하면서 조사료 수급 문제가 심각하다는 것을 확인했다"며 "축산농가의 안정을 위해 시에 관련 조례 개정을 요구하고 농식품부에 피해 복구 지원 지침 개정을 건의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sw21@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배당소득 분리과세, 실망이야”...금융·배당주 주가 주르륵 ETF도 덩달아 약세
-
2
아마존, 2분기 매출·주당 순이익 시장 예상치 상회
-
3
공매도 비중 상위 종목
-
4
뉴욕증시, MS 시총 4조달러 돌파에 차익실현…약세 마감
-
5
관세, 금리, 물가 악재에 뉴욕증시 약세...MS 시총 4조달러 터치 [월가월부]
-
6
“소득세 절반 계속 깎아드려요”...국내복귀 AI인재 세감면 3년 연장
-
7
내달 결정 앞둔 고정밀 지도 반출…정부 '안보' 무게둘까
-
8
애플, 2분기 매출 2021년 이후 최대 9.6%↑…시간외 주가 2%↑(종합)
-
9
美상호관세 발효 초읽기…트럼프 "오늘 몇 개 나라와 무역합의"(종합)
-
10
[코스피·코스닥 전 거래일(31일) 주요공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