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산에너빌리티 회계부정 의혹 역대 최대 200억대 과징금 추진
최희석 기자(achilleus@mk.co.kr)
입력 : 2024.02.06 20:19:23 I 수정 : 2024.02.07 09:07:28
입력 : 2024.02.06 20:19:23 I 수정 : 2024.02.07 09:07:28
7일 증선위서 제재 수위 결정
회계 부정 의혹을 받는 두산에너빌리티에 금융당국이 200억원대 과징금 부과를 추진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향후 금액이 확정될 경우 회계 부정 관련 과징금으로는 역대 최대 규모가 될 전망이다.
6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7일 예정된 증권선물위원회에서 두산에너빌리티와 회계 부정 당시 감사법인인 삼정회계법인에 대한 제재 수위가 결정된다. 금융당국이 추진 중인 두산에너빌리티에 대한 과징금 액수는 200억원대인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최종적으로 과징금을 부과할지는 향후 금융위원회에서 결정될 예정이다.
앞서 지난해 11월 열린 감리위원회에서는 두산에너빌리티의 회계 처리가 회계 부정에 해당한다는 점을 확정했다. 회계 부정에 대해서는 이견이 없지만 '고의'냐, '중과실'이냐를 두고 격론을 벌였다는 게 관계자의 전언이다. 따라서 7일 증선위에서는 회계 부정이 중과실에 의한 것인지, 고의에 따른 것인지를 핵심적으로 따질 예정이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고의냐, 중과실이냐에 따라 과징금 액수가 달라지지만 복잡한 계산을 거쳐 200억원이 넘는 금액으로 결정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200억원대 과징금은 앞서 대우조선해양 분식회계 사건 때 내려진 역대 최대 과징금인 45억4500만원을 4배 이상 뛰어넘는 금액이다.
두산에너빌리티는 앞서 인도 자회사인 두산파워시스템스인디아(DPSI)가 2016년 수주한 '자와하르푸르 및 오브라-C 화력발전소' 공사와 관련한 손실을 제때 파악하지 않았다는 의혹을 받았다. 두산에너빌리티 측은 원가 상승을 이유로 3000억원이 넘는 손실을 2020년에 알았다고 주장한다. 반면에 금융감독원은 두산에너빌리티가 수주 초기부터 손실을 알고 있었지만, 고의로 늦췄다고 봤다.
한편 금융당국은 7일 증선위에서 두산에너빌리티와 삼정회계법인에 대한 다른 제재 내용도 확정할 예정이다.
[최희석 기자]
회계 부정 의혹을 받는 두산에너빌리티에 금융당국이 200억원대 과징금 부과를 추진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향후 금액이 확정될 경우 회계 부정 관련 과징금으로는 역대 최대 규모가 될 전망이다.
6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7일 예정된 증권선물위원회에서 두산에너빌리티와 회계 부정 당시 감사법인인 삼정회계법인에 대한 제재 수위가 결정된다. 금융당국이 추진 중인 두산에너빌리티에 대한 과징금 액수는 200억원대인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최종적으로 과징금을 부과할지는 향후 금융위원회에서 결정될 예정이다.
앞서 지난해 11월 열린 감리위원회에서는 두산에너빌리티의 회계 처리가 회계 부정에 해당한다는 점을 확정했다. 회계 부정에 대해서는 이견이 없지만 '고의'냐, '중과실'이냐를 두고 격론을 벌였다는 게 관계자의 전언이다. 따라서 7일 증선위에서는 회계 부정이 중과실에 의한 것인지, 고의에 따른 것인지를 핵심적으로 따질 예정이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고의냐, 중과실이냐에 따라 과징금 액수가 달라지지만 복잡한 계산을 거쳐 200억원이 넘는 금액으로 결정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200억원대 과징금은 앞서 대우조선해양 분식회계 사건 때 내려진 역대 최대 과징금인 45억4500만원을 4배 이상 뛰어넘는 금액이다.
두산에너빌리티는 앞서 인도 자회사인 두산파워시스템스인디아(DPSI)가 2016년 수주한 '자와하르푸르 및 오브라-C 화력발전소' 공사와 관련한 손실을 제때 파악하지 않았다는 의혹을 받았다. 두산에너빌리티 측은 원가 상승을 이유로 3000억원이 넘는 손실을 2020년에 알았다고 주장한다. 반면에 금융감독원은 두산에너빌리티가 수주 초기부터 손실을 알고 있었지만, 고의로 늦췄다고 봤다.
한편 금융당국은 7일 증선위에서 두산에너빌리티와 삼정회계법인에 대한 다른 제재 내용도 확정할 예정이다.
[최희석 기자]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삼성전자, 최대주주등 소유주식수 307,291주 감소
-
2
에이비엘바이오, 주식등의 대량보유자 소유주식수 변동
-
3
사상최고 수익에도…국민연금 운용본부 성과급↓
-
4
"은행대출보단 회사채"…상반기 역대급 75조 발행
-
5
모르면 손해, 여름 휴가철 해외여행 ‘공항라운지’는 필수
-
6
중국인 무비자에 카지노주 '껑충'
-
7
역대 美 감세안은 증시 랠리 불렀는데…이번에도 통할까
-
8
박찬호·BTS슈가, MLB구단 주주된다
-
9
젠스타메이트, 에비슨영과 계약 종료…독자 브랜드로 글로벌 무대 본격 진출
-
10
‘차량 보안’ 아우토크립트, 청약 증거금 5.4조원 모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