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금 부자' 글로벌 명품업체, 뉴욕 5번가 부동산 쇼핑 확산
"뉴욕의 천문학적 임대료 내느니 차라리 건물 매입해 영업"
고일환
입력 : 2024.02.07 00:35:37
입력 : 2024.02.07 00:35:37

[UPI 연합뉴스 자료사진]
(뉴욕=연합뉴스) 고일환 특파원 = 글로벌 명품 업체들이 미국 뉴욕의 부동산 쇼핑에 나섰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6일(현지시간) 명품 업체들이 쇼핑지구로 유명한 뉴욕 맨해튼 5번가의 건물들을 사들이고 있다고 보도했다.
막대한 현금을 앞세워 점포가 들어선 건물뿐 아니라 인근 건물까지 매입하는 경우도 있다.
이탈리아의 명품 브랜드 프라다는 최근 뉴욕 5번가 매장의 건물주로부터 건물을 인수했다.
동시에 옆 건물까지 사들였다.
프라다가 건물 2채에 지불한 돈은 모두 8억 달러(약 1조640억 원)에 달한다.
또한 구찌 모회사인 프랑스의 케링은 최근 뉴욕 5번가의 대형 건물을 매입하면서 10억 달러(약 1조3천300억 원)에 가까운 거금을 지불했다.
이와 함께 프랑스 명품 그룹인 루이뷔통모에헤네시(LVMH)는 뉴욕의 고급 백화점 버그도프 굿맨의 남성복 매장이 들어선 5번가의 건물을 매입하기 위해 협상을 진행 중이다.
전문가들은 명품 업체들이 뉴욕 5번가의 건물 매입에 나선 이유로 비싼 임대료를 꼽고 있다.
세계적인 명품 브랜드의 매장들이 늘어선 뉴욕 5번가의 월평균 임대료는 지난해 1제곱피트당 2천 달러(약 266만 원)로 조사됐다.
미터로 환산하면 1㎡당 2천800만 원이 넘는 액수로, 세계 최고 수준이다.
뉴욕의 부동산 전문 변호사 에릭 멘케스는 "명품 업체들이 뉴욕 5번가에서 지불하는 임대료는 천문학적이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자금이 풍부한 업체 입장에서는 임대료를 내는 것보다 건물을 사는 것이 합리적인 선택이라는 것이다.
실제로 명품 업체들은 최근 막대한 매출과 수익을 올리면서 어느 때보다도 현금이 풍부한 상황이다.
루이뷔통과 함께 디오르를 소유한 LVMH는 지난해 940억 달러(약 125조 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뉴욕의 부동산 중개업체 리테일 바이 모나의 에릭 르고프 부회장은 "명품업체들은 현금이 넘쳐나고 있다"며 "현금 일부를 주요 영업지역인 뉴욕의 부동산에 투자하는 것이 좋은 선택"이라고 말했다.
koman@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스마트레이더시스템, 7.97억원 규모 공급계약(지능형교통시스템(ITS)용 레이다 모듈) 체결
-
2
신한투자증권, 삼성전자 투자하는 공모 ELB 3571호 모집
-
3
한화에어로스페이스(012450) 소폭 상승세 +3.30%
-
4
[MK 골든크로스 돌파종목 : 선익시스템(171090) & 펨트론(168360)]
-
5
오전장★테마동향
-
6
한국투자UBP캠벨스마트알파 펀드 출시...“시장 변동에도 절대 수익”
-
7
[MK시그널] 비올, 중국을 중심으로 한 수출 성장 기대감에 따른 주가 상승세…MK시그널 추천 후 상승률 10.3% 기록
-
8
노바텍(285490) 소폭 상승세 +3.07%
-
9
코스닥지수 : ▼4.02P(-0.56%), 717.84P
-
10
오전장 특징주★(코스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