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정거장 우주비행사 구조용 빈 우주선 투입 검토
냉각수 유출 소유스 캡슐 유인비행 부적합 판정 나면 내년 2월 발사
엄남석
입력 : 2022.12.23 15:32:29
입력 : 2022.12.23 15:32:29
![](https://stock.mk.co.kr/photos/20221223/AKR20221223102300009_01_i_P4.jpg)
[NASA 제공/ AFP 연합뉴스]
(서울=연합뉴스) 엄남석 기자 = 국제우주정거장(ISS)에 정박 중인 러시아 유인 캡슐 '소유스 MS-22'의 냉각수 누출 사고로 이를 타고 간 우주비행사를 지구로 안전하게 데려오기 위해 빈 우주선을 발사하는 방안이 공식적으로 제기됐다.
22일 외신에 따르면 러시아 연방우주공사(로스코스모스)의 유인 우주프로그램 책임자인 세르게이 크리칼레프는 미국 항공우주국(NASA)이 주선한 기자 브리핑을 통해 소유스 MS-22가 우주비행사를 태우고 안전하게 귀환할 수 있을지 점검하는 중이라면서 유인 비행에 부적합한 것으로 판정 나면 구조용으로 빈 우주선을 보낼 것이라고 밝혔다.
사고 직후 러시아 언론을 통해 소유스 MS-23 조기 투입이 검토되고 있다는 보도가 전해지기는 했으나 로스코스모스 고위 관계자가 이를 직접 언급한 것은 처음이다.
ISS에는 지난해 9월 21일 소유스 MS-22를 타고 도착한 세르게이 프로코피예프 등 3명을 비롯해 모두 7명의 우주비행사가 체류 중이다.
프로코피예프 등은 내년 3월 6개월의 우주정거장 체류 임무를 마친 뒤 MS-22를 타고 귀환할 예정이었다.
하지만 지난 14일 '라스벳'(새벽) 모듈에 도킹해 있던 MS-22 캡슐 외부의 냉각관에 구멍이 생기면서 냉각수가 거의 다 빠져나가 캡슐의 비행 안전을 장담할 수 없는 상황이다.
현재는 우주정거장과 연결된 해치를 열어놓아 공기가 유입되며 적정 온도가 유지되고 있으나 해치를 닫고 비행할 때 빠르게 온도가 오르며 우주비행사의 생명을 위협할 수도 있는 것으로 지적됐다.
당장 ISS에서 탈출해야 하는 비상 상황이 생기면 프로코피에프 등 우주비행사 3명은 안전한 탈출 방법이 없는 셈이다.
다른 네 명의 우주비행사를 태우고 간 스페이스X의 크루-5 캡슐은 구명선으로 우주정거장에 그대로 정박해 있다.
![](https://stock.mk.co.kr/photos/20221223/AKR20221223102300009_02_i_P4.jpg)
[NASA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photo@yna.co.kr
로스코스모스가 빈 우주선을 투입할지 아니면 MS-22를 그대로 이용할지는 아직 최종 결정되지 않은 상태이나, 냉각수가 선실 온도를 오르지 않게 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만큼 이를 수리하지 않고 그대로 이용할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전망됐다.
NASA ISS 프로그램 매니저인 조엘 몬탈바노는 로스코스모스가 구조용 빈 우주선 투입을 결정하면 우주비행사들이 원래 계획했던 것보다 2~3주 일찍 귀환하게 될 것이라고 했다.
로스코스모스는 원래 예정된 우주비행사 임무 교대를 위해 내년 3월 발사를 목표로 소유스 MS-23을 준비해 왔다.
소유스 캡슐 대신 크루 드래건을 투입하는 방안은 거론되지 않았다.
한편 외부 냉각관에 구멍을 낸 것이 애초 미소 유성체일 것으로 지목됐지만 최근의 쌍둥이자리 유성우는 피격 각도로 볼 때 관련이 없는 것으로 제시됐다.
몬탈바노와 크리칼레프는 냉각장치 자체 결함이나 다른 우주 잔해 등에 피격됐을 가능성을 열어놓았다.
eomns@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뉴욕증시, 트럼프 2차 관세 실탄 여파·파월 '입' 주시…보합 출발
-
2
美, 우크라이나전쟁 '휴전외교' 앞두고 대러시아 제재 발표
-
3
美연준 파월 "美 경제 강해…금리 인하 서두를 필요 없어"
-
4
트럼프 '호주 관세면제 고려'에 철강 수출국들 對美협상 각축전?
-
5
BBC "AI챗봇, 뉴스기사 질문에 절반은 왜곡 답변"
-
6
美재무, 조만간 우크라 방문…'지원 대신 희토류 확보'방안 논의
-
7
멕시코 "美 철강관세 정당치 않아…우리가 미국산 더 많이 수입"
-
8
포드CEO "캐나다·멕시코 관세 시행시 美 車업계 전례없는 타격"
-
9
EU수장, 美부통령에 "협력 기대"…철강관세 협상 의지(종합2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