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연 "전기로 운전대·바퀴 제어하는 '바이와이어' 곧 상용화"
'완결을 향해 가는 바이 와이어로의 진화' 보고서
김보경
입력 : 2022.12.26 06:00:01
입력 : 2022.12.26 06:00:01
(서울=연합뉴스) 김보경 기자 = 자동차의 전동화·자율주행 흐름에 맞춰 과거 기계식으로 작동했던 조향과 제동 분야가 전자식 제어방식, 이른바 '바이 와이어'(by-Wire) 시스템으로 곧 상용화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상용화를 앞둔 SbW 및 BbW 시스템
[한국자동차연구원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한국자동차연구원은 26일 발표한 에서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과거 자동차에서 큰 힘이 요구되는 부분은 기계적 연결과 유압장치가 활용됐지만 최근 반도체와 통신 기술 발달에 따라 전기의 도움을 받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 변화의 핵심은 기계적 연결을 전기 요소로 대체한 바이 와이어 시스템으로, 이는 정교한 제어가 가능하고, 경량화·소형화에 유리하다는 특징이 있다.
변속 레버와 변속기를 전기신호로 연결한 것이 바이 와이어가 적용된 대표적 사례로, 넓은 범주에서는 서스펜션의 전자식 댐퍼도 이에 포함된다.
보고서는 과거 전자식 전환이 어려울 것으로 전망됐던 조향과 제동 분야에서도 최근 바이 와이어의 상용화가 임박했다고 전했다.
특히 스티어링 휠과 랙 사이 기계적 연결을 제거한 '스티어-바이-와이어'(SbW), 제동에서 유압을 완전히 배제한 '브레이크-바이-와이어'(BbW)는 상용화가 가장 유력한 분야다.
일본 도요타와 렉서스가 전기차인 BZ4X와 렉서스 RZ에 SbW의 탑재를 확정했고.
테슬라도 조만간 SbW를 적용한다는 관측이 나온다.
아울러 만도와 현대모비스[012330], 보쉬, 콘티넨탈, 히타치 등 글로벌 부품기업들이 SbW나 BbW의 양산을 추진 중이다.
SbW는 불필요한 기계식 연결을 없애 전기차의 실내거주성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될 전망이다.
BbW는 전반적 설계에서 이질적인 유압 장치를 제거해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다.

기아의 PBV 관련 로드맵
[기아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두 시스템은 전기차의 스케이트보드 플랫폼에도 활용될 수 있다고 보고서는 설명했다.
스케이트보드 플랫폼은 주행 관련 서브 시스템을 모듈화해 차체 하부(또는 차대)에 통합한 것이다.
따라서 유압 장치 등을 제거해 구조를 단순화해야 하고, 플랫폼 위로 운전과 관련되는 부품을 자유롭게 배치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런 면에서 바이 와이어 시스템이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얘기다.
보고서는 "두 시스템은 기능 안전·소비자 수용성 측면의 보완점이 남아 있으나 맞춤형 제조 방식을 지향하는 완성차 기업의 의지로 수년 내 보편화될 것"이라며 "현대차[005380] 등의 로드맵을 고려할 때 2025년 전후로 양산 차량에 적용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vivid@yna.co.kr(끝)

[한국자동차연구원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한국자동차연구원은 26일 발표한 에서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과거 자동차에서 큰 힘이 요구되는 부분은 기계적 연결과 유압장치가 활용됐지만 최근 반도체와 통신 기술 발달에 따라 전기의 도움을 받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 변화의 핵심은 기계적 연결을 전기 요소로 대체한 바이 와이어 시스템으로, 이는 정교한 제어가 가능하고, 경량화·소형화에 유리하다는 특징이 있다.
변속 레버와 변속기를 전기신호로 연결한 것이 바이 와이어가 적용된 대표적 사례로, 넓은 범주에서는 서스펜션의 전자식 댐퍼도 이에 포함된다.
보고서는 과거 전자식 전환이 어려울 것으로 전망됐던 조향과 제동 분야에서도 최근 바이 와이어의 상용화가 임박했다고 전했다.
특히 스티어링 휠과 랙 사이 기계적 연결을 제거한 '스티어-바이-와이어'(SbW), 제동에서 유압을 완전히 배제한 '브레이크-바이-와이어'(BbW)는 상용화가 가장 유력한 분야다.
일본 도요타와 렉서스가 전기차인 BZ4X와 렉서스 RZ에 SbW의 탑재를 확정했고.
테슬라도 조만간 SbW를 적용한다는 관측이 나온다.
아울러 만도와 현대모비스[012330], 보쉬, 콘티넨탈, 히타치 등 글로벌 부품기업들이 SbW나 BbW의 양산을 추진 중이다.
SbW는 불필요한 기계식 연결을 없애 전기차의 실내거주성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될 전망이다.
BbW는 전반적 설계에서 이질적인 유압 장치를 제거해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다.

[기아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두 시스템은 전기차의 스케이트보드 플랫폼에도 활용될 수 있다고 보고서는 설명했다.
스케이트보드 플랫폼은 주행 관련 서브 시스템을 모듈화해 차체 하부(또는 차대)에 통합한 것이다.
따라서 유압 장치 등을 제거해 구조를 단순화해야 하고, 플랫폼 위로 운전과 관련되는 부품을 자유롭게 배치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런 면에서 바이 와이어 시스템이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얘기다.
보고서는 "두 시스템은 기능 안전·소비자 수용성 측면의 보완점이 남아 있으나 맞춤형 제조 방식을 지향하는 완성차 기업의 의지로 수년 내 보편화될 것"이라며 "현대차[005380] 등의 로드맵을 고려할 때 2025년 전후로 양산 차량에 적용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vivid@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SK하이닉스(000660) 상승 출발 +3.78%
-
2
NAVER(035420) 상승 출발 +0.48%
-
3
비비안(002070) 상승폭 확대 +16.23%
-
4
간밤에 불어온 ‘엔비디아 훈풍’ 타고...SK하이닉스 3%대 급등
-
5
자이글(234920) 상승폭 확대 +13.54%
-
6
엑스페릭스, 초슬림 지문스캐너 ‘Real Scan SG10’ FBI Apeendix F인증 취득
-
7
한투운용 혼합자산형 ACE ETF 4종, 순자산액 8000억원 돌파
-
8
코미코(183300) 소폭 상승세 +3.92%
-
9
“일주일 전에 샀으면 돈 버는 거였는데”…47%나 올랐다는 이더리움 [매일코인]
-
10
KODEX 200타겟위클리커버드콜 누적 개인순매수 3천억 돌파
05.14 10:45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