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케이티(290550) 소폭 상승세 +3.12%
입력 : 2024.07.19 09:07:24
제목 : 디케이티(290550) 소폭 상승세 +3.12%
기업개요
스마트폰용 플래그십(FLAGSHIP) 모델에 채용되는 FPCA(연성회로조립) 모듈 생산업체. SMT(Surface Mount Technology)을 통해 FPCB에 MLCC, IC-Chip 등 각종 부품을 실장하여 FPCA를 주로 생산. 종속회사 DKT VINA는 국내 본사에서 1차 개발 완료한 제품을 삼성디스플레이 베트남 현지 법인과 최종 개발을 완료하여 양산품을 생산중. 최대주주는 비에이치 외(53.47%) Update : 2024.07.04 |
▶당신의 투자 주치의! 인포스탁 모바일 주식신문
개인/외국인/기관 일별 순매매동향(수량기준, 전일까지 5거래일)
일자 | 종가(등락률) | 거래량 | 개인 | 외국인 | 기관계 | 기타 |
07-18 | 12,810 ( -1.84 % ) | 627,277 | +75,673 | -65,683 | -18,832 | +8,842 |
07-17 | 13,050 ( 0.00 % ) | 1,751,825 | -76,051 | +17,619 | +64,693 | -6,261 |
07-16 | 13,050 ( +9.30 % ) | 2,789,628 | -229,242 | +180,784 | +47,760 | +698 |
07-15 | 11,940 ( +5.57 % ) | 263,233 | -19,525 | +18,743 | -7,638 | +8,420 |
07-12 | 11,310 ( -3.99 % ) | 203,668 | +36,765 | -28,729 | -1,648 | -6,388 |
공매도 정보(수량 기준, 전일까지 5거래일)
일자 | 공매도 거래량 | 업틱룰 적용 | 업틱룰 예외 | 잔고수량 | 매매비중 |
07-18 | 0 | 0 | 0 | - | 0.00% |
07-17 | 1 | 0 | 1 | - | 0.00% |
07-16 | 0 | 0 | 0 | 0 | 0.00% |
07-15 | 7 | 0 | 7 | 0 | 0.00% |
07-12 | 3 | 0 | 3 | 0 | 0.00% |
* 업틱룰예외는 해지거래, 차익거래 등 업틱룰의 적용이 면제된 거래를 의미.
* 공매도잔고는 보고의무에 따라 당일 기준으로 2일전 내역까지 확인가능.
* 매매비중 = 공매도 거래량 / 총 거래량
* 출처 : KRX 정보데이터시스템
종목히스토리
▶ 종목이슈
☞ 2024-07-16 급등 - 사업 다각화에 따른 실적 성장 기대감 등에 급등 ☞ 2024-07-16 사업 다각화에 따른 실적 성장 기대감 등에 급등 ☞ 2024-06-03 전장 다변화 및 북미업체 폴더블 수혜 전망 등에 상승 ☞ 2024-05-23 올 해 역대 최대 실적 달성 전망 등에 소폭 상승 |
이슈&테마 스케줄
2024-07-23 美) 테슬라 실적발표(현지시간) 2024-07-24 삼성전자, 갤럭시Z 폴더블폰 출시 2024-07-31 美) 퀄컴 실적발표(현지시간) 2024-07-31 삼성전자 실적발표 2024-08-01 美) 애플 실적발표(현지시간) |
관련테마
※ 테마와 관련된 상세한 설명과 자료는 증권사 HTS나 인포스탁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Copyright ⓒ True&Live 증시뉴스 점유율1위, 인포스탁(www.infostock.co.kr)
기사 관련 종목
08.01 15:30
디케이티 | 6,620 | 390 | -5.56% |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세계 최대 구리업체' 칠레광산서 붕괴사고…5명 매몰·1명 사망
-
2
달러-원, 美 고용 충격에 1,400원 단번에 하회…1,388.30원 마감
-
3
미국 7월 소비심리 2개월째 개선…증시 강세 영향
-
4
미 '고용충격'에 월가, 금리인하 기대 커져…9월 '빅컷' 관측도
-
5
현대차·기아 7월 美 판매 두자릿수 성장…각각 15%·12%↑
-
6
트럼프, 고용쇼크에 "바이든 정무직이 통계조작"…담당국장 해고
-
7
美 '고용충격'에 월가, 금리인하 기대 커져…9월 '빅컷' 관측도(종합)
-
8
[뉴욕유가] OPEC+ 증산폭 확대 가능성에 급락…WTI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