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시요약(5) - 특징 종목(코스닥)

입력 : 2025.01.21 17:07:29
제목 : 증시요약(5) - 특징 종목(코스닥)
특징종목이슈요약
와이팜
(332570)
4,170원
(
+29.91%)
글로벌 기업에 '자율주행 핵심' FEM 본격 납품 예정 소식에 상한가
▷일부 언론에 따르면, 동사는 기존 벤더사를 통해 올해 말부터 해당 글로벌 기업에 텔레메틱스(차량 내 무선인터넷) 통신모듈의 핵심 부품인 무선주파수(RF) 파워프론트 모듈(이하 FEM)을 본격 납품한다고 전해짐. FEM은 여러 RF 기능을 하나의 모듈로 통합한 것으로, 동사는 현재 파워앰프모듈(PAM·고성능 전력증폭기)이 내재된 FEM을 생산 중에 있는 것으로 알려짐.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2026년 상반기 출시로 예정하고 있는 차세대 모델 내 장착이 확정됐다"며, "퀄컴, 코보, 스카이웍스 등 글로벌 기업들과의 비딩(입찰) 경쟁에서 우수한 기술력과 가격 경쟁력을 인정받아 최종 선정된 것"이라고 설명. 이어 "최근 완성차 업체들이 자율주행 고도화를 위해 텔레메틱스 기능을 강화하는 추세"라며, "따라서 기존 LTE 대신 마진률이 높은 5G 기반의 통신모듈을 채용하는 방향으로 변화가 일어나고 있어 큰 폭의 이익 개선에 따른 본사의 수혜가 기대되는 상황"이라고 밝힘.
더블유에스아이
(299170)
1,908원
(
+10.03%)
자회사 이지메디봇, 로봇 자궁 거상기 '유봇(U-BOT)' 미국 특허출원 완료 소식에 급등
▷동사는 언론을 통해 자회사 이지메디봇이 세계 최초로 개발한 로봇 자궁 거상기 '유봇(U-BOT)'의 미국 특허를 출원했다고 밝힘. 이번에 출원한 특허는 자궁 거상기, 이를 포함하는 자궁 거상기 로봇 및 이를 포함하는 자궁 거상기 시스템에 대한 기술임.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이지메디봇은 식품의약품안전처(KFDA) 제품허가 및 품질관리 인증을 진행 중"이라며, "빠르면 올해 말 허가를 받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언급. 이어 "국내 부인과 및 종양학과 대상으로 제품홍보에 나서고 있으며 메디카(독일), 아랍헬스(두바이) 등 해외전시회에도 적극 참가할 예정"이라며, "제품허가가 완료되면 본격적인 내수판매 및 수출에 나설 것"이라고 밝힘.
엑스페릭스
(317770)
2,990원
(
+9.32%)
윤상철 대표, 美 트럼프 대통령 취임식 참석 소식 속 미국 진출 기대감 등에 급등
▷동사는 언론을 통해 윤상철 대표이사는 지난 20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에서 도널드 트럼프 2기 취임식 행사에 참석하는 등 대미 프로젝트 가동을 시작했다고 밝힘. 이번 취임식에서 윤 대표는 홍사광 한미친선협회장을 면담하고 트럼프2기 1호 행정명령인 불법이민자 추방정책에 관해 의견을 교환했으며, 미국 마약단속국(DEA) 연방후원회장인 리처드 크록(Richard Crock)을 면담해 미국 전역에서의 사회적 문제인 약물 오남용을 방지하는데 동사의 제품이 큰 효과를 발휘할 것임을 강조했다고 전해짐.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이번 취임식 참석을 바탕으로 윤 대표는 현지 정재계 인사들과 교류하면서 대미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향후 동사와 계열사들의 미국 진출 및 사업 다각화를 위한 프로젝트를 가동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힘.
와이엠텍
(273640)
12,050원
(
+7.59%)
캑터스 PE, 동사 인수 계획 소식에 강세
▷일부 언론에 따르면, 국내 사모펀드(PEF) 운용사 캑터스 프라이빗에쿼티(PE)가 동사의 최대주주인 김홍기 대표이사가 보유한 지분 40.60%와 김종오 부사장의 지분 7.35%를 포함해 약 48% 지분을 인수할 계획이라고 전해짐. 지난해부터 캑터스 PE가 동사 최대주주 등과 지분 매입건을 논의해왔고, 연초 인수건을 마무리 지은 것으로 알려졌다며, 이차전지 시장이 위축돼 있어 오히려 인수합병 적기라는 판단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고 전해짐.
▷동사의 밸류에이션은 지난해 M&A 협상 당시 약 2,000억원으로 평가됐다며, 전일 종가 기준 시가총액 1,200억원대 수준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두 배 정도로 평가된 것이라고 전해짐.
리노공업
(058470)
218,500원
(
+7.11%)
4분기 실적 컨센서스 상회 전망 등에 강세
▷메리츠증권은 동사에 대해 4Q24 실적은 매출액 805억원(+39% 이하 YoY), 영업이익 356억원(+18%, OPM 44.2%)으로 컨센서스를 상회할 것으로 전망. 통상 비수기로 물량이 급감하는 12월 수출량이 급증했다며, 이는 3Q24까지 이어진 주력 고객사의 모바일용 소켓 재고 조정이 마무리되며 수요 회복이 감지된 영향으로 추정된다고 분석. 또한, 양산용 모바일 application 외 신규 응용처 R&D 목적의 소켓 출하도 견조한 상황이라며, 수익성은 고마진 R&D용 소켓의 견조한 수요 및 물량 증가 효과로 44%의 견조한 영업이익률을 기록할 것으로 분석.
▷아울러 Auto, 웨어러블, AI 등 신규 응용처 R&D 소켓 내 동사의 경쟁력은 견조하다며, 그 동안 발목 잡았던 양산용 소켓 출하 부진은 해소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고 설명. 6G 기반 기술 전환 및 신규 응용처 수요 대응을 위한 증설 투자는 ‘26E 마무리될 예정이라고 밝힘.
▷투자의견 : 매수[ 유지], 목표주가 : 210,000원 -> 246,000원[상향]
루닛
(328130)
66,300원
(
+6.25%)
3년 연속 '다보스포럼' 참가 소식 속 강세
▷동사는 언론을 통해 20일부터 24일까지 스위스 다보스에서 열리는 세계경제포럼(World Economic Forum, 이하 WEF)에 글로벌 의료AI 기업으로는 최초로 3년 연속 참석했다고 밝힘. 다보스포럼으로도 알려진 WEF는 글로벌리더들이 한 데 모여 국제 현안을 논의하는 연례 행사로, 각국 정부와 주요 인사들이 대거 참석한 가운데 AI 분야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가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전해짐.
▷이와 관련, 서범석 동사 대표는 "이번 WEF가 AI를 아젠다로 선정한 것은 AI가 인류 사회의 혁신을 이끄는 핵심 동력으로 이미 자리 잡았음을 의미하는 것"이라며, "3년 연속 참가와 준회원사 지위 획득은 동사의 경쟁력을 입증하는 성과로, 글로벌 선도 의료AI 기업으로서 업계의 혁신을 계속 이끌어 가겠다"고 밝힘.
오킨스전자
(080580)
5,600원
(
+5.86%)
삼성전자와 66.50억원 규모 공급계약 체결에 상승
▷삼성전자주식회사와 66.50억원(최근 매출액대비 11.70%) 규모 공급계약(반도체 테스트소켓) 체결(계약기간:2025-01-20~2025-03-31) 공시.
블랙야크아이앤씨
(478560)
5,520원
(
+5.75%)
스팩합병 상장 첫날 상승
▷미래에셋비전스팩1호와의 스팩소멸합병으로 이날 코스닥시장에 신규 상장한 동사의 주가는 급등세를 보이기도 했으나, 상승폭을 축소하며 마감.
▷동사는 산업용 안전화 및 의류 판매업체로, 주요 제품으로는 안전화(고어텍스 안전화, 고전압 절연화, 논슬립 안전화 등), 안전용품(방한귀마개, 보온장갑, 패딩장갑, 메쉬햇, 쿨토시, 넥쿨러, 안전벨트 등), 안전복(워크패딩자켓, 발열조끼, 동내의세트, 냉감조끼, 워크쿨링티셔츠, 에어베스트(조끼), 세이프베스트(조끼) 등) 등이 있음.
HLB파나진
(046210)
3,145원
(
+5.54%)
자회사 바이오스퀘어, 의료기기 3종 FDA 제품 등록 완료 소식에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자회사 바이오스퀘어가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시설 등록(Establishment Registration)과 의료기기 3개 품목에 대한 제품 등록(Device Listing)을 완료했다고 밝힘. 이 번 등록된 제품은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RSV) 감염 진단 제품인 '퀀텀팩 이지 RSV(QuantumPACK™ Easy RSV Ag)'와 전용 분석기기인 'QDITS 베이직(QDITS™ Basic)', 'QDITS 미니(QDITS™ Mini)'임. 이번 등록은 호흡기 질환 제품군의 미국 시장 진출을 위한 첫 발을 내딛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으며, 해당 제품의 FDA 등록을 기점으로 본격적인 미국 시장 진출을 추진한다는 계획인 것으로 알려짐.
▷이와 관련, 장인근 동사 대표이사는 "이번 FDA 등록은 HLB그룹 편입 후 본격화된 글로벌 사업 확장의 일환으로, 앞으로 유럽 등 글로벌 시장 진출을 가속화할 계획"이라며 "차별화된 기술을 확보한 만큼 글로벌 체외진단 시장에 빠르게 침투해 의미 있는 성과를 낼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힘.
신테카바이오
(226330)
6,150원
(
+4.59%)
그린데이터센터 '코로케이션 서비스' 1호 계약 소식에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최근 ABSC(AI Bio SuperCom Center)를 활용한 비즈니스 모델인 '코로케이션(Co-Location)' 사업을 통해 본격적인 매출 확보에 나섰다고 밝힘. 모아데이타와 이미 올해 1월1일부터 1년 사용 계약을 마치고 이미 서비스가 되고 있는 상황이며, 오는 2월1일부터 추가 사용 계약을 함으로써 점차 사업이 안정화되고 있다고 언급. '코로케이션' 사업으로 단기간내 매출 확보 및 회사의 Cash-Cow 역할을 기대했던 회사의 바람대로 실제적인 매출이 발생하고 있으며, 금번 계약은 향후 동 사업에 대한 신뢰 확보와 안정적인 매출의 신호탄이 될 것으로 전망.
▷이와 관련, 정종선 동사 대표이사는 "AI 신약개발 플랫폼 사업확대와 더불어 최근 데이터센터 서비스의 필요성과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향후 추가로 2센터와 3센터 설립계획을 가지고 있다"며, "코로케이션 사업은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으며 이는 단순한 임대사업이 아닌AI기반 기업들과의 커뮤니티 형성과 공유의 장이 될 것이다"라고 밝힘.
HLB
(028300)
80,300원
(
+4.15%)
미세 채혈 도구 '랜싯' 美 FDA 판매 승인 획득 소식에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자사가 개발한 미세 채혈 도구 '랜싯'(lancet)이 미국 식품의약국(FDA)에서 의료기기 판매 승인을 획득했다고 밝힘. 랜싯은 플라스틱 케이스에 쌓인 짧고 작은 바늘로 당뇨병 환자가 혈당 측정을 위해 혈액을 채취하거나 각종 질환의 검진을 위한 채혈에 사용한다며, 기존 파트너인 글로벌 헬스케어 기업에 랜싯을 공급하면서 미국시장에 본격 진출할 계획이라고 설명. 이와 함께 14억5,000만 인구의 인도 시장 공략도 나선다며, 이를 위해 1분기 중 인도의 의료기기 규제 기관인 중앙약품표준관리국(CDSCO)에 랜싯의 의료기기 허가 신청서를 제출할 계획이라고 밝힘.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세계적인 고령화추세로 만성대사질환 치료에 대한 검진 및 치료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채혈 등을 위한 랜싯 제품 시장도 매년 크게 확대되고 있다"며 "글로벌 시장 개척의 교두보가 될 FDA 승인을 완료한 만큼 미국을 시작으로 인도와 유럽 등으로 시장을 확대해 글로벌 랜싯 특화기업이 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힘.
오로스테크놀로지
(322310)
23,150원
(
+4.04%)
지난해 4분기 호실적 전망 등에 상승
▷유진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지난해 4분기 실적은 매출 247억(YoY +31%, QoQ +48%), 영업이익 54억(YoY +31%, QoQ +48%)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신규 국내 고객사향 후공정 장비 매출 비중이 늘어나는 가운데 새로이 개발한 전공정 장비가 기존 고객사에 견조하게 납품되는 흐름 지속될 것으로 분석.
▷아울러 2025년 실적은 매출 692억원(YoY +21%), 영업이익 165억원(OPM 24%)으로 이전 추정치 대비 상향조정한다고 밝힘. 레거시 메모리향 투자가 올해 적극적이지 않아 전공정 장비 일부 모델 출하가 더딜 수 있으나 하이엔드 제품 제조에 쓰이는 장비 모델의 견조한 매출이 이를 상쇄할 것으로 분석. 뿐만 아니라 HBM 제조에 쓰이는 후공정 장비의 신규 고객사 확보 기대감이 확대될 것이라고 밝힘.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23,000원 -> 32,000원[상향]
얼라인드
(238120)
3,315원
(
+3.92%)
10억원 규모 자사주 취득 신탁계약 체결 결정에 상승
▷10.00억원 규모 자사주 취득 신탁계약 체결 결정(기간:2025-01-21~2025-07-20, 아이비케이투자증권주식회사(IBK SECURITIES CO., LTD.)) 공시.
아바코
(083930)
14,350원
(
+2.50%)
올해 호실적 전망 등에 소폭 상승
▷SK증권은 동사에 대해 수주잔고 기반 강력한 실적 포텐셜을 보유하고 있다며, 올해 매출액 3,947억원(YoY +31%), 영업이익 337억원(YoY +60%)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올해 예상 실적은 Visionox IT OLED 8.6G 수주를 고려하지 않은 수치로 추가 수주 시 업사이드가 확대될 것으로 전망.
▷또한, 선익시스템과 동행하는 바인딩 업체로 중국 Visionox IT OLED 8.6G SCM도 기대된다고 밝힘. 선익시스템이 이 수주에 진입 시 동사도 필수적으로 진입할 것으로 전망. 3~4월 SCM 구축 확정이 예상되는 가운데, 3~4월 PO시 이르면 4Q25 매출 인식 가능(BOE의 경우 6월 PO이후 4분기 매출 일부 인식)하다고 설명.
티앤알바이오팹
(246710)
4,165원
(
+2.21%)
유방 재건술용 3D프린팅 인공지지체 기술 특허 등록 완료 소식에 소폭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3D바이오프린팅 기술과 생체재료 기술을 결합한 유방 재건술용 하이브리드 인공지지체 기술에 대해 국내 특허 등록을 완료했다고 밝힘. 동사가 개발한 인공지지체는 3D바이오프린팅 기술과 탈세포화된 세포외기질(dECM) 기반 생체 재료 기술을 결합한 하이브리드 의료기기로, 유방 임플란트에 효과적으로 고정될 뿐만 아니라 강도 조절이 자유롭고 체내 삽입 시 부작용이 적으며 생체 적합성이 높아 안정적으로 생체와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특징임.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당사의 유방 재건술용 하이브리드 인공지지체 기술이 기존 유방 재건술의 한계와 문제점을 극복하는 혁신적 대안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독자적인 3D바이오프린팅 기술을 통해 기술력을 더욱 고도화하고 제품을 상용화하는 데 주력하겠다"고 밝힘.
바이오솔루션
(086820)
24,300원
(
+2.10%)
관절염치료제 美 임상 2상 결과 기대감 등에 소폭 상승
▷동사는 일부 언론을 무릎연골결손 치료제 ‘카티라이프’의 미국 임상 2상에서 긍정적인 결과를 기대하고 있다고 밝힘. 이정선 대표는 “카티라이프를 시술받은 미국 임상 환자 중 다수가 통증과 기능면에서 이전보다 개선됐다고 응답했습니다”라고 밝혔으며, 동사가 카티라이프의 미국 임상 2상 현황을 언급한 것은 이번이 처음인 것으로 전해짐.
▷임상시험의 성패를 판가름하기 위해 동사가 선택한 1차 평가지표는 통증과 기능에 대한 설문평가(KOOS)와 자기공명영상(MRI) 평가(MOCART)이며, 이 대표는 “아직 MRI 분석 결과 데이터는 나오지 않았지만 KOOS 설문 평가 결과는 충분히 긍정적”이라고 밝힘.
상보
(027580)
1,275원
(
-2.75%)
지난해 적자전환에 소폭 하락
▷전일 장 마감 후 24년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538.27억원(전년대비 -18.63%), 영업손실 80.30억원(전년대비 적자전환), 순손실 121.57억원(전년대비 적자전환).
아이패밀리에스씨
(114840)
24,350원
(
-4.70%)
4분기 영업이익 부진 전망 등에 하락
▷DB금융투자는 동사에 대해 4분기 연결기준 매출액은 492억원(+17.1%YoY), 영업이익은 85억원(+11.5%YoY)으로 시장 기대치(95억원)를 하회할 것이라고 밝힘(OPM 17.3%(-0.9%pYoY)). 이와 관련, 국내 매출은 연말 올리브영 행사 참가 효과로 전년동기와 전분기 대비 매출 성장했지만 전년동기 높은 기저로 YoY성장률은 다소 둔화되었을 것으로 전망.
▷다만, 25년도 실적 추정치를 상향 조정해 목표주가도 상향조정한다고 밝힘. 25년 동사의 실적 성장의 Key는 해외가 될 것으로 전망. 특히, 일본과 동남아 시장에서의 매출 성장, 신규 진출하는 서구권 시장에서의 브랜드 매출 안착이 중요하다고 밝힘.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30,000원 -> 32,000원[상향]
아이에이
(038880)
263원
(
-6.07%)
최대주주 변경 속 약세
▷전일 장 마감 후 최대주주가 (주)디씨이로 변경 공시. 변경후 최대주주 (주)디씨이의 소유비율은 18.33%임.
▷제3자배정 유상증자로 인한 최대주주 변경으로 최대주주변경을 수반하는 주식 담보제공 계약 해제 공시.
Copyright ⓒ True&Live 증시뉴스 점유율1위, 인포스탁(www.infostock.co.kr)

기사 관련 종목

08.01 15:30
PS일렉트로닉스 2,835 175 -5.81%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08.02 03:43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