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공공기관·기업 전방위 주의령에 딥시크 앱 사용 급감
지난달 28일 신규설치 17만건→행안부 유의공문 4일엔 2만건 일간 사용자 열흘새 60% 감소
김경희
입력 : 2025.02.09 07:31:02
입력 : 2025.02.09 07:31:02
![](https://stock.mk.co.kr/photos/20250209/PAP20250128115201009_P4.jpg)
[AP 연합뉴스 자료 사진.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김경희 기자 = 정부를 비롯해 공공기관과 기업까지 중국의 인공지능(AI) 애플리케이션 딥시크 차단이 전방위로 확산하는 가운데 국내에서 딥시크 사용이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9일 아이지에이웍스 모바일인덱스에 따르면 딥시크 앱 일간 사용자수는 지난달 28일 19만1천556명으로 정점을 찍은 뒤 29일 13만2천781명, 30일 9만6천751명 등으로 절반 수준으로 떨어졌다.
차단 움직임이 본격화하기 시작한 지난 4일의 경우 일간 사용자는 7만4천688명에 불과했다.
딥시크 공개 직후 챗GPT를 중국의 스타트업이 저비용으로 능가했다는 호기심이 더해져 폭발적으로 증가했던 수요가 보안 우려가 확산하며 확연히 꺾인 것으로 볼 수 있다.
특히 정부 차원에서 공개적으로 딥시크 경계령을 내린 만큼 이 같은 추세는 한층 뚜렷해질 전망이다.
무엇보다 신규 설치 건수에서 이 같은 추이는 한층 극적으로 부각됐다.
딥시크 신규 설치는 설 연휴 기간이었던 지난달 28일 17만1천257건으로 최다를 기록한 뒤 29일에는 6만7천664건으로 3분의 1 수준까지 하락했다.
이달 들어서는 1일 3만3천976건, 2일 2만5천606건, 3일 2만3천208건, 4일 2만452건 등으로 저조한 상황이다.
행안부 자제 권고가 나온 4일의 경우 28일과 비교해 8분의 1 수준까지 떨어진 셈이다.
반면 오픈AI의 챗GPT 일간 사용자수는 지난달 28일 60만5천574명에서 지난 4일 73만9천957명으로 꾸준한 상승세를 보였다 신규 설치 건수는 지난달 28일 딥시크(17만1천257건)가 챗GPT(3만971건)를 훌쩍 넘어섰지만, 지난 4일에는 챗GPT(2만6천985건)가 딥시크(2만452건)를 다시 앞섰다.
앱·리테일 분석 서비스 와이즈앱·리테일에 따르면 딥시크의 지난달 4주차 주간 사용자수는 121만명으로 챗GPT에 이어 2위를 차지하며 약진한 바 있다.
그러나 행정안전부가 지난 4일 중앙부처와 17개 광역자치단체에 딥시크 등 생성형 AI 사용에 유의를 요청하는 공문을 보내고, 이후 외교·안보·국방을 비롯해 전 부처에서 딥시크 접속을 차단하며 보안 우려가 일파만파 확산하는 상황이다.
주요 기업과 공공기관 역시 딥시크 접속을 차단하고 개인용 단말기에서도 업무 목적 사용 자제를 권고하는 등 보안 강화에 비상이 걸렸다.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7일 별도 브리핑을 통해 딥시크의 서비스 이용과정에서 보안상 우려가 지속 제기되고 있다면서 신중한 이용을 당부하기도 했다.
kyunghee@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트럼프가 용납할까”...계엄에 묶였던 ‘이 법’ 패스트트랙 검토한다는데
-
2
KT, 3~5년 주기로 협력사 재구성…"투명한 거래 강화"
-
3
창원 농수특산물 통합브랜드 '창에그린' 유통망 확대한다
-
4
수돗물 혜택 못보는 광주 자연마을 11곳 한파에 지하수도 얼어
-
5
화성시, 동탄역 인근에 복합 컨벤션센터 건립 추진
-
6
연금계좌 혜택 축소 논란? 한화운용 ‘PLUS 고배당주’는 ‘과세 무풍지대’
-
7
롯데웰푸드, 인도 푸네 신공장 준공…신동빈 회장 "중요 이정표"
-
8
中 대신 韓으로…獨선사, 한화오션과 1조7천억 건조계약 '만지작'
-
9
갤럭시 S25 사전예약 5명 중 1명 AI 구독클럽 가입
-
10
제22서경호 실종자 7명 중 1명 의식 불명 상태로 발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