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서 안전문제로 리콜된 제품 버젓이 국내유통…1천336건 적발

소비자원 "매년 증가세…알리·테무서 거래 급증해 국내로 유통"
전성훈

입력 : 2025.02.25 06:00:06
(서울=연합뉴스) 전성훈 기자 = 해외에서 안전성 문제로 리콜된 제품이 국내에서 유통·판매되는 사례가 해마다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소비자원은 지난해 해외에서 리콜된 제품의 국내 유통 현황을 점검해 1천336건을 차단했다고 25일 밝혔다.

577건은 최초 적발된 것이고, 759건은 재유통되다 시정 조처된 사례다.

처음 적발된 577건을 품목별로 보면 음식료품이 155건(26.9%)으로 가장 많고 가전·전자·통신기기 149건(25.8%), 아동·유아용품 84건(14.6%) 등의 순이었다.



'중국 알테쉬' 무차별 초저가 공세에 전 세계 견제나서 (CG)
[연합뉴스TV 제공]

품목별 리콜 사유는 음식료품의 경우 유해 물질 및 알레르기 유발 성분 함유가 89건(57.4%)으로 가장 많았고 이물질 함유가 28건(18.1%), 부패·변질이 25건(16.1%) 등이었다.

가전·전자·통신기기는 전기적 요인(40건·26.8%)이 주류를 이뤘고, 아동·유아용품은 부품 탈락, 삼킴, 질식 위험에 따른 리콜(32건·38.1%)이 다수를 차지했다.

577건 중에서 제조국 정보가 확인된 305건을 제조국별로 보면 중국산 제품이 191건(62.6%)으로 가장 많았고 미국산이 33건(10.8%)으로 그 뒤를 이었다.

중국산은 가전·전자·통신기기 리콜 건수가 85건(44.5%)으로 전체의 절반에 육박했다.

아동·유아용품 46건(24.1%), 생활·자동차용품 28건(14.7%)도 큰 비중을 차지했다.

미국산은 생활화학제품(10건), 가전·전자·통신기기(6건), 음식료품(5건) 등의 순이었다.


[한국소비자원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해외 리콜 제품의 국내 유통 차단 건수는 2022년 807건, 2023년 986건 등으로 해마다 증가하는 추세다.

지난해 건수는 2023년보다 35.5% 증가했다.

대부분은 오픈마켓의 구매 대행이나 전문 구매대행 사이트를 통해 유입됐다.

특히 지난해에는 중국계 알리익스프레스나 테무 등 해외 직접구매(직구) 플랫폼에서의 거래가 급증하면서 해외 리콜 제품이 국내에서 유통 또는 재유통되는 경로도 다양해졌다고 소비자원은 지적했다.

이에 따라 소비자원은 해외직구 플랫폼을 집중 모니터링 대상에 포함하고 '해외 위해물품 관리 실무협의체'에 참여하는 정부 유관기관과 협업해 시장 감시를 강화할 계획이다.

아울러 소비자에겐 해외직구나 구매대행 등을 통해 제품을 구매할 때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www.ciss.go.kr)이나 소비자24(www.consumer.go.kr)에서 리콜된 제품인지 여부를 반드시 확인해달라고 당부했다.

lucho@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02.25 09:55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