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증권 데일리] Morning Meeting Notes
입력 : 2025.03.27 08:49:19
제목 : [현대차증권 데일리] Morning Meeting Notes

What's Inside
제약/바이오 산업(OVERWEIGHT) - 모두가 아밀린을 이뻐한다. 25년 1분기 비만치료제 시장 동향 [크레딧] Credit Monthly - Liberation Day 경계감
주식시장
국내 증시는 반도체와 이차전지 대형주 강세에 힘입어 상승 마감. 양시장 외국인과 기관 동반 순매수 유입. 실적 개선 기대 속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모두 2%대 상승. 구광모 LG그룹 회장의 배터리 산업 육성 의지 표명과 미 주택용 ESS 공급 계획 소식에 LG에너지솔루션은 7%대 급등
미국 증시는 하락 마감.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 불확실성이 지속되며 시장은 위험 회피 모드 돌입. 특히, 4월 2일부터 시행될 자동차 관세 부과 계획 밝힘에 따라 불확실성 상승. 주요 기술주들은 일제히 하락했으며, 엔비디아와 테슬라가 큰 폭으로 하락. 반면, 필수소비재와 유틸리티 업종은 강세 양상을 보임
금리&환율
국고채 금리는 상승 마감. 이재명 대표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 항소심 무죄가 선고되며 추경 편성 등 재정 확대 가능성에 장기물 위주 상승. 대통령 탄핵 심판 관련 정치 이벤트 경계 또한 이어지는 양상
미국채 금리는 상승 마감. 이는 유럽 거래에서 시작된 장기물 금리 상승세가 뉴욕 시장으로 이어졌으며,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 불확실성이 지속되면서 인플레이션 우려 확대로 국채 금리 상승
원/달러 환율은 전장 대비 2.90원 하락한 1,466.30원에 마감. 전일 미국 CB 소비자신뢰지수 부진에 의한 달러 약세로 환율은 소폭 하락했으나 국내 정치적 불확실성 지속에 낙폭 제한
달러인덱스는 104.54로 상승. 파운드의 약세와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 불확실성이 상승 요인으로 작용. 특히, 오후 들어 트럼프 대통령의 자동차 관세 발표 소식이 전해지자 달러인덱스의 상승 폭 확대
Trump watch
트럼프, 외국산 자동차에 25% 관세 부과
트럼프 대통령은 외국산 자동차에 25%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하며, 이는 다음달 2일부터 발효
관세 부과 목적은 미국 내 자동차 제조 증가와 연간 1000억 달러 이상의 관세 수익 창출로, 미국산 자동차 구입 시만 소득세 공제 혜택을 제공할 계획
New Publications
[경제] 트럼프의 국부론 - The Wealth of 'My' Nation(2025-03-25)
[금융지주/은행] 모범생이 그리워질 때(2025-03-21)
[ESG] ESG Report - 탄소배출권 그리고 주요 기업분석(2025-03-21)
[게임] GAME START(2025-03-17)
[중국주식] 2025 중국 경제/증시 전망: Part.2 시진핑 4연임을 위한 전환점(2025-03-14)
[전기전자] 유리 기판, 다가올 미래에 준비하자(2025-03-13)
[반도체] MWC 2025 방문 후기 및 투자 활용법(2025-03-11)
* 본 자료는 해당 증권사와 당사간의 업무제휴로 배포되는 것이며, 저작권은 제공한 증권사에게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Copyright ⓒ True&Live 증시뉴스 점유율1위, 인포스탁(www.infostock.co.kr)
기사 관련 종목
07.03 15:30
현대차증권 | 8,350 | 280 | +3.47% |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백악관 조선 사무국 인력 2명으로 축소…조선 재건 차질 가능성
-
2
[뉴욕증시-1보] 관세 우려에도 끄떡없는 고용…동반 강세 마감
-
3
애플 아이폰 中 판매, 2년만에 '증가'…할인·보상판매 주효
-
4
뉴욕증시, 고용 호조에 상승…S&P500·나스닥 최고치 마감
-
5
뉴욕증시, 관세 우려에도 끄떡없는 고용…동반 강세 마감
-
6
달러-원, 美 고용 호조에 상승폭 확대…1,365.50원 마감
-
7
뉴욕증시, 고용 호조에 상승…S&P500·나스닥 최고치 마감(종합)
-
8
NASA, 태양계 통과 성간 혜성 발견…"지구엔 위협 없어"
-
9
美재무 "합의 미루는 나라들엔 원래 정한 상호관세율 적용"
-
10
[속보] 美재무 "상호관세, 약 100개국에 최저치인 10% 부과될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