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생, 토스·카뱅·국민은행 앱 많이 사용…월 52만원 소비"
에브리타임 운영사 비누랩스 '금융생활 리포트' 1천명 조사
임성호
입력 : 2023.03.21 15:23:46
입력 : 2023.03.21 15:23:46

지난달 28일 오전 서울 서대문구 연세대학교 신촌캠퍼스에서 4년 만에 대면으로 열린 2023학년도 입학식에서 신입생이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임성호 기자 = 대학생들은 은행 애플리케이션(앱) 가운데 '토스'를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 앱 에브리타임 운영사 비누랩스는 21일 이런 조사 결과가 담긴 'Z세대 트렌드 리포트: 금융 생활 편'을 발표했다.
응답자 1천 명(남녀 각 500명)의 주거래 은행(중복응답)은 국민은행(21%), 카카오뱅크[323410](19%), 농협은행(18%), 토스뱅크(17%), 신한은행(8%) 순으로 조사됐다.
반면 이들이 주로 사용하는 은행 앱은 토스(24%), 카카오뱅크(22%), 국민은행(18%), 농협은행(14%), 신한은행(7%) 순으로 나타나 주거래 은행과는 순위가 다소 달랐다.
시중은행 앱보다는 인터넷 전문은행 앱을 많이 쓴 것이다.
응답자들은 시중은행 앱의 불만족 요소로 '송금이 불편'(48%)과 '거래·반응 속도가 느림'(31%) 등을 그 이유로 들었다.

[비누랩스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주 이용 결제 수단은 오프라인과 온라인에서 큰 차이를 보였다.
오프라인에서는 체크·신용카드가 69%, 삼성페이 24%, 간편결제 5%였으나 온라인은 간편결제가 53%, 체크·신용카드 33%, 계좌이체 및 무통장 입금 10%, 삼성페이 2%로 나타났다.
이날 국내 출시된 애플페이도 삼성페이처럼 주로 휴대전화 단말기를 통해 사용되는 만큼 오프라인에서 더 많이 활용될 것이라는 예상이 나오는 지점이다.
'금융 슈퍼앱'으로 흔히 묶이는 토스, 카카오뱅크, 카카오페이[377300] 세 앱의 만족도 조사(5점 만점)에서는 토스가 4.09점으로 1위를 차지했다.
카카오뱅크는 3.95점, 카카오페이는 3.62점이었다.
이들 앱에서 가장 선호하는 콘텐츠로는 만보기(토스), 세이프박스·저금통(카카오뱅크), 멤버십 관리(카카오페이)가 꼽혔다.
대학생들의 '앱테크'(앱+재테크)에 대한 높은 관심이 드러났다고 비누랩스는 설명했다.

[비누랩스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대학생들은 저축, 투자, 주거비 등 고정비를 제외하고 한 달 평균 52만원을 쓰는 것으로 나타났다.
30∼60만원이 52%, 61만원 이상이 26%, 30만원 미만이 22%다.
응답자 약 28%가 현재 투자를 하고 있으며, 이들 가운데 56%는 100만원 이하의 소액 투자를 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대부분 국내외 주식 등 주식 상품에 투자 중이며, 여성보다는 남성이, 고학년일수록 투자하고 있다는 응답이 많았다.
이번 조사는 에브리타임을 통해 지난달 2월 17∼22일 진행됐다.
sh@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터치 한번, 셀카 한장…춘천시 '참여형 관광정책' 시동
-
2
“여기도 이제 자리 맡기 힘들겠네”...더 밝게 빛나는 별, 스타벅스의 대변신
-
3
버핏 "연말에 은퇴할것…시장에 겁먹지 말아야"
-
4
‘외국인 건보 부정수급’ 1등은 중국인...작년 한해 얼마나 타갔나 보니
-
5
SKT "유심보호서비스 가입 2천만명 넘길 전망…교체 95만여명"
-
6
“외국여성들 ‘한국산’에 흠뻑 빠졌어요”...인기 꺾이지 않는 K뷰티 ‘승승장구’
-
7
"미일 관세협상에 반도체 협력 포함…공급망 강화 의도"
-
8
[연합뉴스 이 시각 헤드라인] - 10:30
-
9
SKT "유심보호서비스 가입 2천만명 넘길 전망…교체 95만여명"(종합)
-
10
서초구, 어르신 대상 '찾아가는 무료 일대일 세무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