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전주는 저점 찍고 반등?···뉴스케일파워·오클로 일제히 11% ‘쑥’

홍성용 기자(hsygd@mk.co.kr)

입력 : 2025.04.08 16:43:22
뉴스케일파워 소형모듈원자로 조감도.


도널드 트럼프 정부의 관세 전쟁 파고가 격해지는 가운데 뉴스케일파워(SMR)와 오클로(OKLO) 등 미국의 소형모듈원자로(SMR) 기업들이 11% 넘게 급등했다.

최근 고점 대비 반토막 수준까지 하락한 상황에서 저점 매수세가 들어오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7일(현지시간) 미국의 대표 원전주로 분류되는 뉴스케일파워는 11.9% 오르며 14달러선을 회복했다. 전장에서 10.89% 하락하며 12.6달러까지 하락한 뒤 다음날 곧바로 하락분을 만회한 것이다.

오클로도 이날 10.76% 오르면서 21.93달러로 마감했는데, 전 거래일에 9.55% 하락을 회복했다.

SMR과 관련한 대표 종목으로 꾸준히 이름을 올리고 있는 이들 회사의 올해 모멘텀은 마뜩잖다.

지난해 11월말 30달러를 터치했던 뉴스케일파워는 고점 대비 53% 하락했다. 올해 2월 55달러를 터치한 오클로는 고점 대비 60%나 주가가 추락했다.

트럼프의 관세 정책 등에 대한 시장 평가가 완료되지 않은 상황에서도 주가가 오르는 것을 두고, 과도한 매도세 이후 ‘바이 더 딥 전략’(저점매수)이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트럼프 정부의 관세 정책은 이들 SMR 기업에는 호재와 악재를 동시에 반영한다.

관세로 인해 화석연료의 수입이 제한될 경우 원자력에 대한 의존도가 증가하게 된다는 점은 호재다.

이번 관세 정책은 당초 화석연료 업체를 지원하겠다고 하던 ‘에너지 지배’ 어젠다와도 반대돼 화석연료 기업의 반감은 커지는 모습이다.

화석연료 업계 특성상 신규 투자를 시작한 뒤 설비 운영을 시작하기까지 수년이 필요해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이 커진 것 자체로 신규 투자도 위축될 가능성이 크다.

특히 중국에 대한 관세 부과 자체로 태양광 등 재생에너지 프로젝트 비용이 증가하는 점도 SMR 기업에의 광폭 지원으로 연결될 것이라는 분석도 더해진다.

다만 SMR 기업들이 SMR을 건설하는데 희토류를 사용해야하는 것은 악재로 꼽힌다. 미국은 희토류 수요의 74%를 중국에서 수입하는데, 중국에 대한 54% 관세가 부과되면 각종 SMR 건설과 관련한 비용이 증가할 수밖에 없다.

SMR 기업의 주가가 완벽히 회복세로 접어들지는 않은 상황에서 SMR 시장 성장률이 크다는 것은 장기 전망을 밝게한다.

세계경제포럼(WEF)에서는 2030년도 상용화를 목표로 개발 중인 SMR 시장이 2040년까지 연평균 30%씩 증가하면서 3000억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한다.

iM증권은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석탄화력발전소 대체용과 더불어 인공지능(AI) 기술 확대로 인해 안정적인 전력 공급을 위한 데이터 센터용 SMR 등이 향후 SMR 시장 성장을 주도적으로 이끌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망했다.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04.17 08:22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