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분기 의약품 공급 중단·부족 개선…"약가 우대 정책 등 기여"

공급 중단·부족 보고 품목 100건→56건"의약품 제조 수익성 저하는 미해결 과제" 지적도
유한주

입력 : 2025.04.13 06:00:03


의약품 공장
[연합뉴스TV 제공]

(서울=연합뉴스) 유한주 기자 = 올해 1분기 들어 의약품 공급이 중단되거나 부족한 상황이 크게 개선된 것으로 확인됐다.

13일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올해 1∼3월 공급이 중단됐거나 부족하다고 보고된 의약품 수는 56개다.

지난해 같은 기간 100개가 보고된 데 비해 44% 줄어든 수준이다.

2023년 동기(81개)와 비교하면 31% 감소했다.

공급 중단·부족을 나눠서 보면 중단 건수는 1년 새 59개에서 34개로, 부족 건수는 41개에서 22개로 줄었다.

그간 정부는 약가 우대를 통해 원료 수급 불안정 등 의약품 공급 중단·부족의 주요 원인을 해결하기 위해 노력해왔다.

녹십자[006280]의 경우 지난해 면역글로불린제제 '아이비글로불린에스엔주10%'의 공급 부족을 보고하며 "국내 원료 혈장 감소 및 수입 혈장 가격 급상승으로 혈장 수급에 많은 애로사항이 있다"고 설명했다.

이에 정부는 바이오헬스혁신위원회 논의 등을 거쳐 국산 원료를 사용한 국가필수의약품에 대한 약가 우대 정책 등을 시행하고 있다.

국가필수의약품은 보건 의료상 필수적이지만 시장 기능만으로는 안정적 공급이 어려워 정부가 별도 지정하는 의약품이다.

의약품 공급 중단·부족이 품절 사태로 이어지는 것을 막기 위한 대책도 마련되고 있다.

제약사의 완제의약품 공급 중단 보고 시점을 기존 60일 전에서 180일 전으로 앞당기도록 한 것이 대표적이다.

보고 시점을 앞당겨 이에 대응할 시간을 충분히 확보해 소비자가 의약품을 사용하지 못하는 기간을 최소화하겠다는 취지다.

해당 내용은 식약처가 지난달 행정 예고한 '생산·수입·공급 중단 보고 대상 의약품 보고 규정' 개정안에 포함됐다.

다만 현재 시행되는 약가 우대 정책이 채산성 악화 등 문제를 해결하기에는 부족하다는 점 등은 한계로 지목된다.

앞서 유한양행[000100]은 결핵 등 치료제 '리팜핀캡슐150밀리그램' 공급을 중단하며 "제조 수익성 저하 등 어려움이 있다"고 보고했다.

약가 우대는 국민건강보험 재정과 환자의 경제적 부담으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이와 관련한 사회적 논의가 더 필요할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hanju@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04.13 20:14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