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경기전망 38개월 연속 부정적…美관세에 제조·수출 직격탄

홍규빈

입력 : 2025.04.23 06:00:01


25% 관세 인상에 알루미늄 업계 비상
(화성=연합뉴스) 임화영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예고한 철강·알루미늄 25% 관세 부과가 시행되는 12일 경기 화성시의 한 알루미늄 제품 제조업체 공장에 알루미늄 제품들이 놓여있다.2025.3.12 hwayoung7@yna.co.kr

(서울=연합뉴스) 홍규빈 기자 = 국내 기업들의 경기 전망이 3년 2개월 연속 부정적인 가운데 제조업·수출 부문에서 기업 심리 악화가 두드러졌다.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는 매출액 기준 600대 기업을 대상으로 5월 기업경기실사지수(BSI) 전망치를 조사한 결과 85.0으로 집계됐다고 23일 밝혔다.

BSI가 기준치인 100보다 높으면 전월 대비 경기 전망이 긍정적이고 100보다 낮으면 부정적인 것을 의미한다.

BSI 전망치는 2022년 4월(99.1) 이래 매달 기준치를 밑돌며 역대 최장 부진 기록을 경신 중이다.

올해 들어 1월 84.6, 2월 87.0, 3월 90.8로 반등하는 듯했으나 4월(88.0) 이래 두 달 연속 하락했다.

업종별로 제조업 79.2, 비제조업 90.8을 기록했다.

제조업은 2020년 8월(74.9) 이후 4년 9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석유화학, 철강 등 주력 산업 경영 악화가 장기화하는 가운데 미국 관세 등으로 글로벌 통상 리스크가 확대되면서 제조업 심리가 위축됐다고 한경협은 분석했다.

쌓여 있는 컨테이너
(평택=연합뉴스) 홍기원 기자 = 미국의 상호관세가 발효된 9일 경기도 평택항에 컨테이너가 쌓여 있다.미국 정부는 지난 5일 10%의 기본 상호관세에 이이 이날 0시1분(현지시간)부터 한국을 비롯해 80여개 국가에 대해 최소 11%에서 최고 50%의 국가별 상호관세를 부과하기 시작했다.이에 따라 한국에서 미국으로 수출되는 모든 물품에는 일단 25%의 관세가 붙게 돼 수출 중심 경제체제로 미국시장의 비중이 큰 한국은 대미 수출에 비상이 걸렸다.2025.4.9 xanadu@yna.co.kr

제조업 세부 업종별로 의약품(125.0), 식음료·담배(107.1)를 제외한 8개 부문이 부진할 것으로 전망됐다.

섬유·의복·가죽·신발(57.1), 비금속 소재·제품(69.2), 석유정제·화학(72.4), 목재·가구·종이(75.0), 금속·금속가공제품(75.9), 일반·정밀기계·장비(76.2), 자동차·기타운송장비(78.8), 전자·통신장비(94.4) 순으로 낮았다.

비제조업은 5월 연휴 특수가 예상되는 여가·숙박·외식(142.9), 운수·창고(107.7)를 제외한 5개 업종이 부정적으로 전망됐다.

건설(72.7), 전기·가스·수도(73.7), 정보통신(87.5), 도소매(90.4), 전문·과학·기술·사업지원서비스(92.3) 순이었다.

조사 부문별 BSI는 내수(87.2), 투자(87.2), 수출(89.1), 고용(89.1), 채산성(89.9), 자금 사정(90.7), 재고(103.3) 등 모든 부문에서 부정적이었다.

재고는 기준선 100을 넘으면 과잉으로 부정적이라는 의미다.

특히 수출은 글로벌 불확실성 확대로 90 아래로 떨어졌는데 이는 2020년 9월(88.5) 이후 처음이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미국발 관세 정책과 주요국의 맞대응으로 국제교역 불확실성이 크게 확대되고 있다"며 "반도체, 석유화학, 자동차, 철강 등 수출 주력 업종에 대한 투자 촉진과 세제 지원 등을 통해 기업 심리를 안정시킬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그래픽] 미국의 국가·품목 관세 부과 현황
(서울=연합뉴스) 김영은 기자 = 미국 관세국경보호국(CBP)은 11일(현지시간) 스마트폰과 노트북 컴퓨터,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컴퓨터 프로세서, 메모리칩, 반도체 제조 장비 등을 상호관세 대상에서 제외하는 '특정 물품의 상호관세 제외 안내'를 공지했다.중국에 부과한 125%, 그 외 국가에 대한 10%의 상호관세를 이들 품목에는 일단 적용 유예하겠다는 결정이다.0eun@yna.co.kr X(트위터) @yonhap_graphics 페이스북 tuney.kr/LeYN1

bingo@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07.10 16:29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