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지펀드 대부' 달리오 경고…"관세혼란 진정되긴 이미 늦었다"
"통화질서·국제질서 붕괴 직전…세계 여러나라 美 우회할 위험 커져"
이지헌
입력 : 2025.04.30 03:51:31
입력 : 2025.04.30 03:51:31

[로이터 연합뉴스 자료사진.재판매 및 DB 금지]
(뉴욕=연합뉴스) 이지헌 특파원 = 세계 최대 헤지펀드 '브리지워터 어소시에이츠' 설립자인 레이 달리오는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정책이 촉발한 혼란이 진정되기엔 이미 너무 늦었다고 경고했다.
달리오는 트럼프 행정부 출범 100일을 하루 앞둔 28일(현지시간) 사회관계망서비스(SNS) 링크트인에 쓴 글에서 "어떤 이들은 협상이 이뤄지고, 관세가 합리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구조화하는 더 많은 아이디어들이 주어진다면 관세 혼란이 진정될 것이라 생각한다"면서 "그러나 이 이슈를 다뤄야 하는 이들 중 많은 이들은 너무 늦었다고 말하고 있고, 그 수는 점점 늘고 있다"라고 말했다.
그는 미국과 외국 간의 거래와 투자에 관련된 일을 하는 이들은 향후 무역 협상이 어떻게 진행되든 상관없이 대안을 세워야 하는 상황에 놓였다면서 "이들은 급격하게 이뤄진 미국과의 상호의존성 감소가 이제는 대비해야 할 현실임을 인식하고 있다"라고 설명했다.
달리오는 또 "세계 최대의 제조업 상품 소비자이면서 동시에 세계 최대의 부채자산(채권) 생산자인 미국의 역할이 지속 가능하지 않다는 인식은 점점 확산하고 있다"면서 "미국에 물건을 팔고 대출해준 뒤 향후 강한(가치가 절하되지 않은) 달러로 상환받을 수 있다고 가정하는 것은 순진한 생각이므로 이들은 다른 계획을 세워야 한다"라고 말했다.
그는 "우리는 현재 (달러 기반의) 통화질서와 (미국) 국내 정치질서, 국제질서가 붕괴하기 직전에 있는 것으로 보인다"라고 진단했다.
이어 세계 여러 나라들이 미국과의 분절에 적응하고 주변에 새로운 '시냅스'(신경세포간 연결지점)를 생성해 내면서 미국을 우회할 위험이 점점 커지고 있다고 우려했다.
앞서 달리오는 최근 방송 대담에 출연해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과 미국 부채 증가가 새로운 일방적 세계 질서를 초래하고 있다"면서 "현 상황을 제대로 다루지 않으면 경기 침체보다 더 나쁜 일이 벌어질 수 있을 것"이라고 경고한 바 있다.
그러면서 재정적자를 국내총생산(GDP)의 3% 수준으로 줄이는 정책적 전환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월가의 구루' 중 한 명으로 꼽히는 달리오는 1975년 브리지워터를 설립해 세계 최대 규모의 헤지펀드로 성장시킨 인물이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를 앞두고 위기를 예측해 명성을 높였다.
pan@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공매도 비중 상위 종목
-
2
‘시간당’ 27,703원 vs 18,404원...더 벌어진 정규직·비정규직의 임금 격차
-
3
10만전자 기대 무너진 삼성전자의 결단…OPI 이어 LTI도 자사주로
-
4
삼성전자, 임원 장기성과 인센티브도 자사주로 지급한다
-
5
존 펠란 미 해군성 장관 방한…HD현대重·한화오션 잇따라 방문
-
6
대체거래소(NXT) 애프터마켓 상승률 상위종목
-
7
美상무 "한 국가와 관세 협상 완료…상대국 총리 승인 대기중"(종합2보)
-
8
아모레퍼시픽홀딩스, 25년1분기 연결 영업이익 1,288.63억원
-
9
아모레퍼시픽홀딩스, 보통주 1,425주(0.31억원) 규모 자사주 처분 결정
-
10
아모레퍼시픽, 25년1분기 연결 영업이익 1,177.30억원, 컨센서스 추정치 상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