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온스글로벌(084110) 소폭 상승세 +3.61%
입력 : 2025.05.29 10:42:25
제목 : 휴온스글로벌(084110) 소폭 상승세 +3.61%
기업개요
기존 휴온스가 의약품 제조사업을 인적 분할함에 따라 변경상장된 휴온스그룹의 지주회사. 21년4월 바이오 사업부문과 투자 및 브랜드 사업 부분을 물적분할하여 순수 지주회사로 전환. 코스닥상장사 휴온스, 휴메딕스를 비롯해 휴온스메디텍, 휴엠앤씨, 휴온스바이오파마 등을 연결대상 종속회사로 보유. 최대주주는 윤성태 외(57.25%) 상호변경:휴온스 -> 휴온스글로벌(16년6월) Update : 2025.03.21 |
▶당신의 투자 주치의! 인포스탁 모바일 주식신문
개인/외국인/기관 일별 순매매동향(수량기준, 전일까지 5거래일)
일자 | 종가(등락률) | 거래량 | 개인 | 외국인 | 기관계 | 기타 |
05-28 | 44,200 ( -4.33 % ) | 58,511 | +12,939 | -1,454 | -4,643 | -6,842 |
05-27 | 46,200 ( 0.00 % ) | 17,138 | +2,392 | -2,469 | -171 | +248 |
05-26 | 46,200 ( +0.43 % ) | 36,393 | +4,783 | -4,394 | +456 | -845 |
05-23 | 46,000 ( -0.54 % ) | 30,634 | +2,616 | -3,021 | +155 | +250 |
05-22 | 46,250 ( -3.85 % ) | 29,750 | +10,218 | -9,558 | -710 | +50 |
공매도 정보(수량 기준, 전일까지 5거래일)
일자 | 공매도 거래량 | 업틱룰 적용 | 업틱룰 예외 | 잔고수량 | 매매비중 |
05-28 | 1,500 | 1,443 | 57 | - | 1.74% |
05-27 | 530 | 278 | 252 | - | 2.33% |
05-26 | 1,011 | 912 | 99 | 11,740 | 2.06% |
05-23 | 1,661 | 1,629 | 32 | 11,539 | 4.16% |
05-22 | 2,913 | 1,991 | 922 | 11,534 | 7.31% |
* 업틱룰예외는 해지거래, 차익거래 등 업틱룰의 적용이 면제된 거래를 의미.
* 공매도잔고는 보고의무에 따라 당일 기준으로 2일전 내역까지 확인가능.
* 매매비중 = 공매도 거래량 / 총 거래량
* 출처 : KRX 정보데이터시스템
종목히스토리
▶ 종목이슈
☞ 2025-04-16 급등 - 올해 의료미용기기 업황 상저하고 흐름 전망 등에 미용기기 테마 상승 속 급등 |
▶ 종목공시
☞ 2025-04-28 공매도 과열종목 연장 ☞ 2025-04-25 공매도 과열종목 연장 ☞ 2025-04-24 공매도 과열종목 지정 ☞ 2025-04-22 공매도 과열종목 지정 ☞ 2025-04-07 공매도 과열종목 지정 |
관련테마
※ 테마와 관련된 상세한 설명과 자료는 증권사 HTS나 인포스탁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Copyright ⓒ True&Live 증시뉴스 점유율1위, 인포스탁(www.infostock.co.kr)
기사 관련 종목
07.31 15:30
휴온스글로벌 | 43,650 | 750 | +1.75% |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백악관에 650명 수용 대형연회장 건설…트럼프 임기내 완료"
-
2
[관세타결] 美전문가 "韓, 'FTA 대우' 못받았으나 민감영역 방어"(종합)
-
3
[뉴욕증시-1보] MS 시총 4조달러 돌파에 차익실현…약세 마감
-
4
'트럼프 눈독' 파나마 항만 홍콩업체 전방위 압박에 '사면초가'
-
5
美엔비디아, 중국 H20 보안 우려에 "우리 칩엔 백도어 없다"
-
6
[사이테크+] "감자는 900만년 전 남미 토마토로부터 진화했다"
-
7
“배당소득 분리과세, 실망이야”...금융·배당주 주가 주르륵 ETF도 덩달아 약세
-
8
아마존, 2분기 매출·주당 순이익 시장 예상치 상회
-
9
“소득세 절반 계속 깎아드려요”...국내복귀 AI인재 세감면 3년 연장
-
10
관세, 금리, 물가 악재에 뉴욕증시 약세...MS 시총 4조달러 터치 [월가월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