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증권 "7월 FOMC 이후 파월 흔들기 거세질 듯…美 금리에 부담"
임은진
입력 : 2025.07.21 08:15:35
입력 : 2025.07.21 08:15:35

[연합뉴스TV 제공]
(서울=연합뉴스) 임은진 기자 = iM증권은 7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 이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연준·Fed) 의장에 대한 사임 압박이 더 거세질 것이라면서 이는 미국 국채 금리에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21일 진단했다.
박상현 연구원은 "양호한 경제 지표와 관세 불확실성에서 자유롭지 못한 물가 상황을 고려할 때 7월 FOMC 회의에서도 금리 동결은 확실하다"며 "따라서 금리 동결 결정 이후 트럼프 대통령의 파월 의장 해임 목소리 혹은 사임 압박은 더욱 거세질 것"이라고 예상했다.
더욱이 "이번 7월 FOMC 회의에서는 금리 동결에 반대하는 이탈표가 나올 수 있다"며 "크리스토퍼 월러 연준 이사는 7월 FOMC 회의에서 금리를 인하해야 한다고 공개적으로 밝히고 있어 이번 회의에서 또 다른 금리 동결 반대표가 나올 여지가 크다"고 추정했다.
그는 "만약 금리 동결을 반대하는 위원 수가 2∼3명에 이를 경우 트럼프 대통령의 파월 의장 흔들기는 더욱 힘을 얻을 수 있는 동시에 미국 통화 정책의 불확실성도 커질 수 있다"면서 "역설적으로 7월 FOMC 회의에서 금리 동결 반대표가 2∼3명에 이른다면 9월 금리 인하 분위기는 한층 확산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러면서 "이러한 상황을 고려할 때 7월 FOMC 회의 내용이 중요해졌다"며 "금리 동결은 확실하지만, 몇 명의 위원이 금리 동결에 반대표를 던질지가 파월 의장의 입지 및 금융 시장 내 잠재해 있는 통화 정책 불확실성 리스크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이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일각에서 제기됐던 차기 연준 의장 조기 지명을 통한 '그림자 연준 의장' 시나리오가 현실화한다면 통화 정책을 둘러싼 불확실성이 확대될 여지가 있다"며 트럼프 대통령의 파월 의장 흔들기가 "미국 국채 금리에는 부담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짚었다.
engine@yna.co.kr(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