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트업 특허·상표 출원하면 자금조달 가능성 최대 17.1배↑
지재위·특허청 '스타트업 자금조달과 특허·상표 중요성' 보고서"스타트업에 자금뿐 아니라 지식재산 전략도 지원해야"
조승한
입력 : 2025.07.21 12:00:05
입력 : 2025.07.21 12:00:05

[지재위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조승한 기자 = 스타트업이 특허와 상표 출원 활동을 선행하면 자금조달 가능성이 많게는 17.1배까지 늘어나고, 기업공개(IPO) 등 엑시트(투자금 회수) 가능성도 2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지식재산위원회와 특허청은 21일 한국지식재산연구원과 한국개발연구원에 의뢰해 수행한 '스타트업 자금조달과 특허·상표의 중요성' 연구보고서를 발표했다.
연구는 1999년부터 올해까지 2천615개 스타트업 투자 정보와 특허 및 상표 출원 데이터를 분석했다.
그 결과 스타트업이 특허나 상표 출원 활동을 선행하면 자금조달 가능성이 시드 단계에서는 1.7배, 초기단계(시리즈 A~B)는 3.1배, 후기단계(시리즈C 이상)는 6.3배까지 점차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재위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후기단계에서 특허나 상표 출원을 해외까지 확대하는 경우 자금 조달 가능성이 7.1배로 높아졌고, 특허나 상표를 20건 이상 출원하면 자금조달 가능성이 17.1배까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허나 상표 출원 활동을 선행하는 경우 IPO나 인수·합병(M&A) 가능성도 2배 이상 증가했고, 20건 이상 출원 시 엑시트 가능성이 5.9배까지 늘어났다.
이광형 국가지식재산위원회 민간위원장은 "미국·유럽처럼 국내에서도 지식재산이 스타트업에 중요하다는 것이 입증된 만큼, 정부도 스타트업에 자금뿐만 아니라 지식재산 전략을 함께 지원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완기 특허청장은 "국내 스타트업의 지식재산 정보가 외부 투자자에게 기업의 성장 가능성과 가치를 평가하는 데 중요한 지표로 작동하고 있음을 의미한다"며 "스타트업이 지식재산권을 통해 혁신의 가치를 인정받고, 투자 유치 등 성장의 선순환 구조를 만들 수 있도록 실질적인 지원 정책을 지속해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shjo@yna.co.kr(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