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 절반 "하반기 경영여건, 상반기와 비슷"…3곳은 "개선"

한경협 조사…최대 경영 리스크는 '내수부진·경기침체 지속'
임성호

입력 : 2025.07.22 11:00:01


서울 도심의 대기업들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임성호 기자 = 국내 대기업 10곳 중 3곳은 올해 하반기 기업 경영여건이 올해 상반기에 비해 개선될 것으로 전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는 여론조사 기관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매출액 1천대 기업을 대상으로 '2025년 하반기 기업경영여건 조사'를 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22일 밝혔다.

응답 기업의 절반(53.3%)은 하반기 경영 여건이 상반기와 비슷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개선되리라는 전망은 30.2%, 악화되리라는 전망은 16.5%였다.

하반기 경영 여건을 '악화'로 전망한 기업들은 여건 개선 시점을 '2026년 1분기'(40%), '2026년 3분기 이후,(24%), 2026년 2분기(16%) 순으로 예상했다.

기업들은 하반기 최대 경영 리스크로 내수 부진 및 경기 침체 지속(25.7%)을 들었다.

이외에는 글로벌 수요 둔화 및 수출 부진(14.1%), 글로벌 통상환경 불확실성(14.1%), 원자재 수급 및 가격 상승 리스크(14.1%) 등을 꼽았다.

한경협은 "수출 부진과 함께 내수 위축이 구조적으로 굳어지면서 기업들이 매출 감소·재고 누적 등의 경영상 어려움이 크다"고 설명했다.

2025년 하반기 기업경영여건 전망
[한경협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기업들은 대내외 리스크에 대응한 하반기 경영전략으로 비용 절감 및 운영 효율화(28%)에 가장 초점을 맞출 것으로 전망됐다.

이어 기존 주력사업 집중(19.1%), 해외시장 진출 강화(16.4%), 경영리스크 관리(13.5%), 미래 전략사업 발굴(10.9%) 순으로 나타났다.

하반기 기업활력 제고를 위해 가장 시급한 경영환경 개선 과제로는 원자재 수급 여건 개선 등 공급망 안정화(20.1%)가 꼽혔다.

이어 수출기업 지원 및 통상 불확실성 해소(16.4%), 기업활동 규제 완화(14.5%), 내수 진작을 위한 소비 활성화 정책(13.2%), 세제 및 금융지원 확대(11.2%) 등이 많이 나왔다.

한국 경제의 중장기적 성장 기반 강화 정책 방향에 대해서는 미래 성장동력 발굴 및 산업구조 고도화(24.7%)가 가장 바람직하다는 의견이 많았다.

또 글로벌 통상전략 강화(20.7%), 저출산·고령화 등 인구구조 대응(12.5%), 지역 균형 발전 및 인프라 투자(12.2%) 등의 의견이 제시됐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최근 기업들은 내수 둔화와 불확실한 대외 환경 속에서 신규 사업 전개보다는 기존 전략의 재점검과 효율성 확보에 주력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보수적 경영이 장기화할 경우 투자와 고용 감소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정부가 통상환경 대응, 규제 개선, 내수 활성화 정책을 보다 체계적이고 속도감 있게 추진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하반기 기업활력 제고를 위한 정책 과제
[한경협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sh@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07.30 04:23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