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차 전환 숙제에 미국 관세 부담…車업계 세제지원 시급"

자동차모빌리티산업발전포럼서 대응 방향 논의
홍규빈

입력 : 2025.07.24 10:00:00


2025 서울모빌리티쇼 개막식
(고양=연합뉴스) 임병식 기자 = 4일 오전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2025 서울모빌리티쇼 개막식에서 강남훈 서울모빌리티쇼조직위원장이 개막사를 하고 있다.2025.4.4 andphotodo@yna.co.kr

(서울=연합뉴스) 홍규빈 기자 = 미래 차 전환 경쟁, 보호무역주의 강화 등 산업환경이 악화한 자동차업계를 대상으로 세제지원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자동차모빌리티산업연합회(KAIA)는 24일 서울 서초구 자동차회관에서 제43회 자동차모빌리티산업발전포럼을 열고 '생산경쟁력 제고를 통한 미래 차 전환 촉진 방안'을 논의했다.

강남훈 KAIA 회장은 개회사에서 "전체 수출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미국 시장에 고율 관세가 부과되면서 상반기 대미 수출은 16.5%, 전기차 수출은 88% 급감했다"면서 "유럽도 보호무역을 강화하고 중국은 글로벌 전기차 시장의 60% 이상을 점유하며 우리 산업을 위협하고 있다"고 말했다.

강 회장은 "내수 부진, 관세 부담, 투자 위축 등 복합 위기 상황에 적극적이고 전방위적인 대응이 필요하다"면서 "국내 생산 촉진 세제지원 도입이 시급하고 미래 차 국가전략기술의 세액공제 확대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항구 한국자동차연구원 연구위원은 주제 발표에서 "전장화, 디지털화, 인공지능 융합이라는 '삼중 전환'이 동시에 일어나는 상황에서 미중 기술 패권 경쟁 심화와 보호무역주의 확산은 수출 의존도가 높은 한국 자동차 산업에 직접적 위협이 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지난해 국내 완성차 생산량은 413만대, 해외는 365만대로 최근 미국 현지생산 증가로 인한 공동화 현상도 우려된다고 이 연구위원은 지적했다.

정만기 한국산업연합포럼 회장은 "한국은 전동화 기술은 뛰어나지만, 자율주행 기술 부진에 대한 대응이 시급하다"며 "공급망 관점에서 특정 국가에 대한 의존도 심화가 주요 위험 요인"이라고 짚었다.

송준영 현대모비스 팀장은 연구개발(R&D) 분야 인공지능 전환(AX) 사례를 소개하며 "R&D 비용을 50% 이상 절감하고 역량을 획기적으로 혁신해 미래 모빌리티 시장에서의 경쟁 우위를 확보할 것"이라고 말했다.

bingo@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08.02 03:47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