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소속 화학물질안전원이 전남과 전북에서 ‘화학안전 시민학교’를 운영한다. 시민학교는 화학사고 위험 대비를 비롯해 화학안전에 대한 이해와 알권리 보장 등 지역사회의 대응역량을 높이기 위해 마련됐다.
27일 환경부는 “지역 내 화학안전 역량 강화와 알권리 개선을 위해 위해 ‘시민과 함께하는 화학안전 시민학교’를 8월 말부터 한 달간 전남·전북에서 시범 운영한다”며 “7월 28일부터 교육생을 무료로 모집한다”고 밝혔다.
정부세종청사 환경부 전경 [사진=환경부]
이번 시민학교는 화학물질안전원과 올해 2월 출범한 시민사회 네트워크가 협력해 마련했다. 화학물질안전원은 시민사회단체와 지자체간 협력이 활발한 전남과 전북을 시범 운영지역으로 선정했다. 안전원은 향후 교육과정을 표준화해 다른 지역으로 ‘화학안전 시민학교’를 단계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교육과정은 총 11강(견학포함) 20시간으로 구성되며 전남·전북에서 약 100명을 모집한다. 생활 속 화학물질 안전 등 기초지식부터 대피요령과 협치(거버넌스)의 중요성 등 시민 알권리 강화에 이르기까지 이론·실습·토론 등 다양한 내용으로 운영된다.
박봉균 화학물질안전원장은 “이번 시민학교 시범운영을 통해 지역 주민이 화학안전 정보를 바르게 이해하고, 지방정부의 화학안전 정책 결정 과정에 능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될 것”이라며 “지역사회에 직접적인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맞춤형 교육과정을 지속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