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비부머 은퇴 시작되자 연금공단 노후 서비스 '붐'
강인선 기자(rkddls44@mk.co.kr)
입력 : 2025.07.27 17:34:48 I 수정 : 2025.07.27 19:50:28
입력 : 2025.07.27 17:34:48 I 수정 : 2025.07.27 19:50:28
노후 자산 포트폴리오부터
건강 등 맞춤형 상담 제공
50세 이상 이용 3년새 2배↑
50대 A씨는 최근 주택담보대출을 모두 상환하고 본격적인 노후 준비를 시작했다. 고민은 초등학교 5학년 자녀의 대학 학자금이다. 은퇴 후 비상예비자금도 마련해야 하는데 각각을 얼마로 잡아야 할지 막막했다. 그는 국민연금 중앙노후준비지원센터의 도움으로 노후 자금 마련 계획을 짤 수 있었다.
자산이 많은 2차 베이비붐 세대(1964~1974년생)의 은퇴가 시작되면서 노후 관리에 대한 상담 수요가 늘고 있다.
27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올해 들어 6월까지 국민연금공단 노후준비서비스를 이용한 50세 이상은 4096명으로, 3년 전인 2022년 상반기 1883명에서 2배 이상으로 증가했다. 60대 이상 이용자는 2023년 상반기 2921명, 2024년 상반기 3986명 등으로 꾸준히 늘고 있다. 복지부 관계자는 "최근 은퇴자들은 이전 세대와 비교해 자산 규모가 크고, 노후 대비에 대한 관심도 높아졌다"고 말했다.
국민연금공단 노후준비서비스는 1시간씩 2회에 거쳐 심층적인 상담을 진행한 후 개인 맞춤형 결과를 제시한다. 은퇴 시점의 목표 현금흐름을 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올해부터 얼마를 연금저축펀드와 개인형퇴직연금(IRP)에 납입하면 되는지 구체적인 계획을 조언한다. 나이를 감안한 적정 소득 대비 보험 가입액도 알 수 있으며, 자녀계획 및 주택 구입을 위해서는 중단기 자금 운용에 적합한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ISA)를 활용하라는 팁도 제시한다.
재무뿐 아니라 건강·여가·대인관계 분야에서도 심층적인 진단을 받을 수 있다. 60세 여성 B씨는 노후준비서비스 상담을 하면서 건강한 노후를 위해선 27년간 하루 평균 한 갑 정도씩 피워 온 담배를 끊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는 진단을 받았다. 상담을 통해 스스로 금연하는 이유를 자각하고, 정부에서 지원하는 금연캠프와 사회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된 B씨는 현재 운동을 통해 체력을 증진하고 재취업 기회를 엿보는 중이다.
보건당국은 노후준비서비스를 더 고도화하고, 서비스 이용층을 늘려갈 계획이다. 황남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위원은 "한국은 경제적으로 취약한 1인 가구가 증가하고 있고, 여전히 높은 노인빈곤율을 보이고 있다"며 "개인 스스로의 준비만으로는 한계가 있어 사회적 안전망과 제도적 개입이 병행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강인선 기자]
건강 등 맞춤형 상담 제공
50세 이상 이용 3년새 2배↑
50대 A씨는 최근 주택담보대출을 모두 상환하고 본격적인 노후 준비를 시작했다. 고민은 초등학교 5학년 자녀의 대학 학자금이다. 은퇴 후 비상예비자금도 마련해야 하는데 각각을 얼마로 잡아야 할지 막막했다. 그는 국민연금 중앙노후준비지원센터의 도움으로 노후 자금 마련 계획을 짤 수 있었다.
자산이 많은 2차 베이비붐 세대(1964~1974년생)의 은퇴가 시작되면서 노후 관리에 대한 상담 수요가 늘고 있다.
27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올해 들어 6월까지 국민연금공단 노후준비서비스를 이용한 50세 이상은 4096명으로, 3년 전인 2022년 상반기 1883명에서 2배 이상으로 증가했다. 60대 이상 이용자는 2023년 상반기 2921명, 2024년 상반기 3986명 등으로 꾸준히 늘고 있다. 복지부 관계자는 "최근 은퇴자들은 이전 세대와 비교해 자산 규모가 크고, 노후 대비에 대한 관심도 높아졌다"고 말했다.
국민연금공단 노후준비서비스는 1시간씩 2회에 거쳐 심층적인 상담을 진행한 후 개인 맞춤형 결과를 제시한다. 은퇴 시점의 목표 현금흐름을 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올해부터 얼마를 연금저축펀드와 개인형퇴직연금(IRP)에 납입하면 되는지 구체적인 계획을 조언한다. 나이를 감안한 적정 소득 대비 보험 가입액도 알 수 있으며, 자녀계획 및 주택 구입을 위해서는 중단기 자금 운용에 적합한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ISA)를 활용하라는 팁도 제시한다.
재무뿐 아니라 건강·여가·대인관계 분야에서도 심층적인 진단을 받을 수 있다. 60세 여성 B씨는 노후준비서비스 상담을 하면서 건강한 노후를 위해선 27년간 하루 평균 한 갑 정도씩 피워 온 담배를 끊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는 진단을 받았다. 상담을 통해 스스로 금연하는 이유를 자각하고, 정부에서 지원하는 금연캠프와 사회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된 B씨는 현재 운동을 통해 체력을 증진하고 재취업 기회를 엿보는 중이다.
보건당국은 노후준비서비스를 더 고도화하고, 서비스 이용층을 늘려갈 계획이다. 황남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위원은 "한국은 경제적으로 취약한 1인 가구가 증가하고 있고, 여전히 높은 노인빈곤율을 보이고 있다"며 "개인 스스로의 준비만으로는 한계가 있어 사회적 안전망과 제도적 개입이 병행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강인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