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의 가장 기본적 사업 영역인 여신 부문에서 친환경 등 기준에 맞는 경우 고객에겐 우대금리를 부여하고, 이를 유치한 직원과 지점에는 인사 가산점을 부여하는 식이다. 이 조치들이 대부분 이 대통령이 취임한 후 단행됐다는 점에서 현 정부와 금융사 간 '코드 맞추기'라는 해석도 나온다.
27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은행과 신한은행, 우리은행은 중소기업이나 자영업자 등이 대출하는 자금의 용도가 한국형 녹색분류체계(K택소노미) 84가지 경제활동에 속하고, 적합성 판단 기준에 부합하는 경우 금리 우대와 함께 이를 유치한 직원에게 '핵심성과지표(KPI)' 가산점을 주기로 했다.
특히 KB국민은행과 신한은행은 직원이 녹색여신을 유치하면 가산점을 주는 제도를 7월부터 운영하고 있다. 이 대통령 취임 이후 새 정부 기조에 맞추기 위해 도입했다는 해석이 가능한 부분이다.
우리은행은 연초부터 녹색여신 유치 시 KPI를 반영하고 있다. 고객 입장에서도 특정 조건을 만족시키기만 하면 최대 2.1%포인트의 금리 혜택을 받을 수 있어 적극적으로 친환경 항목을 포함해야 할 유인이 생겼다.
실제 5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 대부분이 녹색대출 관련 조건을 만족하면 파격적 수준의 금리 인하를 해주고 있다. KB국민은행과 신한은행, 하나은행은 모두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은행의 자체 시스템을 통해 녹색활동에 적합하다고 판단되면 최대 2.0%포인트의 우대금리를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