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자녀· 본인까지... 돌봄 ‘삼중고’에 70년대생 허리휜다

강인선 기자(rkddls44@mk.co.kr)

입력 : 2024.11.28 14:08:43
재단법인 돌봄과미래 설문조사
60~74년생 성인남녀 1500명 대상
자녀·부모 동시에 돌보는
70년대생 베이비부머 25%
60년대생 15% 대비 높아


[사진 출처=연합뉴스]


은퇴를 눈앞에 둔 1960년대생들보다 1970년대생 베이비부머들(1970~1974년생)이 건강과 노후, 돌봄에 대해 더 부정적인 인식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1970년대생 베이부머들은 부모와 자신은 물론 자녀에 대해서도 부양 부담을 느끼는 ‘삼중고’를 겪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28일 재단법인 ‘돌봄과미래’에 따르면 1970년대생 베이비부머 25%가 부모와 자녀를 동시에 부양하고 있다. 1960년대생의 15%와 비교해 10%포인트 높은 수치다. 1960년대생의 43%, 1970년대생의 76%가 자녀에게 경제적인 지원을 하고 있었다. 자녀 부양에 지출하는 금액은 1960년대생의 경우 월평균 88만 원, 1970년대생은 월평균 107만 원을 지출하고 있었다. 자녀에 대한 경제적 지원에 대해 ‘부담스럽다’라는 응답은 1960년대생 46%, 1970년대생 57%로 1970년대생의 절반 이상이 부담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는 돌봄과미래가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전국 1960~1974년생 성인남녀 1500명을 대상으로 한 결과다.

부모 부양의 경우 1970년대생의 42%가 부모를 경제적으로 부양하고 있으며 월평균 62만 원을 지출하고 있다. 이는 1960년대생의 73만 원보다 낮은 금액이지만 부담감은 오히려 더 크게 느끼고 있었다. 1970년대생의 48%가 ‘부모 부양이 부담스럽다’고 응답한 반면, 1960년대생은 33%만이 부담을 느낀다고 답했다.

노후 준비도 1970년대생의 상황은 더욱 불안정했다. 1970년대생의 56%가 현재 일자리에 대한 불안감을 느끼고 있으며, 91%가 연금 수령 전 노후 소득에 대해 걱정하고 있다고 응답했다. 노후 준비를 하고 있다는 응답도 50%에 그쳐, 1960년대생의 62%보다 낮았다. 또 1970년대생의 39%만이 공적 연금이 노후 주요 소득원이 될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건강 측면에서도 1970년대생은 더 부정적인 인식을 보였다. 신체 건강이 좋다고 응답한 비율이 40%로 1960년대생의 51%보다 낮았으며 정신 건강도 62%만이 좋다고 답해 1960년대생의 75%에 비해 낮은 수준을 보였다. 기대수명도 83.3년으로 1960년대생의 85.6년보다 짧았고, 비건강수명은 10.5년으로 1960년대생의 9.0년보다 길었다.

돌봄서비스에 대한 인식도 주목할 만하다. 양 세대 모두 52%가 노년에 돌봄이 필요할 때 자신의 집에서 살기를 원했으며, 노인요양시설에 대해서는 50% 이상이 긍정적으로 평가했지만 실제 입소 의향은 30%대에 그쳤다. 1970년대생의 85%는 현재 우리나라의 돌봄서비스가 부족하다고 인식했으며, 91%가 서비스 확대가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김용익 재단법인 돌봄과미래 이사장은 “앞으로 10년여에 걸쳐 1960년대생, 1970년대생 베이비부머들이 대거 은퇴를 함에 따라 돌봄 수요가 폭발할 것이 예상된다”며 “하지만 이들은 과거 노인과는 다른 사회적 경험을 한 새로운 돌봄 세대로 기존의 돌봄 정책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이들에 맞춘 장기적 돌봄 정책의 연구와 개발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11.28 16:50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