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5000만원 벌어 2400만원 쓴 국민들…열심히 일해도 여윳돈 없는 이유
이가람 매경닷컴 기자(r2ver@mk.co.kr)
입력 : 2025.03.25 16:21:00 I 수정 : 2025.03.26 16:50:47
입력 : 2025.03.25 16:21:00 I 수정 : 2025.03.26 16:50:47

25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국민의 평균적인 생활수준을 나타내는 한국의 1인당 국민총소득(GNI)은 3만6624달러로 집계됐다. 지난 2014년 3만798달러로 3만달러를 넘어선 이후 줄곧 3만달러 선에 머무르고 있다. 이 기간 1인당 GNI 증가율은 18.9%에 불과했다.
하지만 씀씀이는 증대됐다. 1인당 민간소비지출은 지난 2014년 1649만4000원에서 지난해 2387만원으로 44.7% 늘었다. 코로나19 대유행 시기에 월평균 소비지출액이 큰 폭으로 증가했다. 지난 2019년 1975만2000원에서 지난 2023년 2315만8000원으로 17.2% 뛰었다.
최근 1년을 기준으로 설정하면 지난해 1인당 GNI는 3만6624달러로 전년(3만6194달러) 대비 1.2% 증가했다. 국내총생산(GDP)은 2549조1000억원, 실질경제성장률은 2.0%를 기록했다. 지난해 1인당 GNI를 연평균 환율(1364원)을 적용해 원화로 환산하면 평균 5000만원을 벌어 2387만원을 쓴 셈이다.
1인당 민간소비지출도 2387만원으로 전년(2315만8000원)과 비교해 71만2000원(3%) 늘었다. 민간소비지출은 지난 2020년 이후 꾸준히 증가세다. 1인당 민간소비지출은 전체 소비지출을 총인구로 나눈 것으로 국민의 평균적인 소비 수준을 알 수 있는 지표다.
가구당 월평균 소비지출액은 289만원으로 전년(279만2000원)에 견줘 9만8000원 증가했다. 주요 소비 항목은 음식·숙박(15.5%), 식료품·비주류음료(14.3%), 주거·수도·광열(12.2%), 교통(11.6%) 등 이었다. 코로나19 대유행 이후 고물가 기조가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 제기된다.
가구주 연령별로는 40대 가구가 377만6000원으로 소비지출이 가장 많았다. 이어 50대(344만9000원), 39세 이하(282만7000원), 60세 이상(212만5000원) 등 순이었다.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강원도립화목원 어린이날 맞아 'LOVE & ART 페스티벌' 개최
-
2
EU, 영국에 단일시장 개방은 거부…'브렉시트 리셋' 신경전
-
3
[다음주 경제] 3월 생산·소비·투자 부진 이어졌나
-
4
[우리 곁의 저작권] ② 저작권 분쟁, 소송 대신 조정으로 해결하세요
-
5
美 캘리포니아주, 자율주행 트럭 시험운행 허용 추진
-
6
美 SEC 신임 위원장 "가상화폐 규제 불확실성으로 혁신 제한"
-
7
"NASA 국장 후보자, 카지노에 부도수표 지불해 체포 이력"
-
8
美재무 "한국과 통상협의에 고무…무역균형 맞추려는 노력 감사"
-
9
삼정기업 기업회생에 부산 해운대 '명장공원' 공사도 중단
-
10
[줌in제주] 도지사 '갈치구이 1인 10만원' 발언 후폭풍 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