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 사로잡은 서브컬처 게임…국내 게임사 앞다퉈 뛰어든다
넥슨게임즈 '블루 아카이브', 일본 매출이 75% 넘어
김주환
입력 : 2023.04.27 07:01:00
입력 : 2023.04.27 07:01:00

[넥슨게임즈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김주환 기자 = '일본 애니메이션풍 게임'을 뜻하는 서브컬처(sub-culture) 게임이 일부 마니아층만 즐기던 '하위문화'에서 게이머들의 사랑을 받는 주류 장르로 자리 잡고 있다.
대형 게임사들도 국내 시장 안팎의 게임 IP(지식재산) 확보 경쟁 속에서 서브컬처 게임에 도전장을 내밀고 있다.
대표적인 국내 서브컬처 흥행작으로는 2021년 출시된 넥슨게임즈의 수집형 역할수행게임(RPG) '블루 아카이브'가 꼽힌다.
27일 넥슨게임즈에 따르면 다음 달 20일 경기 고양시에서 개최하는 서브컬처 게임 '블루 아카이브' 국내 출시 1.5주년 기념 페스티벌 입장권은 최근 7천 장 전량이 예매 시작 7분만에 매진되며 팬들의 높은 관심을 받았다.
'블루 아카이브'는 국내에서도 애플 앱스토어 매출 순위 1위를 기록하며 흥행을 입증했지만, 서브컬처 게임 본고장인 일본에서는 올해 초 TV 애니메이션 제작이 발표될 정도로 높은 인기를 끌고 있다.
모바일 시장조사업체 센서타워가 지난 2월 내놓은 보고서에 따르면, '블루 아카이브'는 2021년 2월부터 올 1월까지 전 세계에서 2억4천만 달러 이상의 매출을 냈다.
이 중 전체 매출의 75.2% 이상은 일본에서 나온 것으로 집계됐고 그 뒤를 한국 12.5%, 미국 6.2%, 대만 1.9%, 기타 4.2% 등이 이었다.

[센서타워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국내 게임사 시프트업이 개발하고 중국 텐센트 산하 브랜드 레벨인피니트가 서비스하는 서브컬처 액션 게임 '승리의 여신: 니케' 역시 지난해 11월 출시 후 한 때 국내 앱 마켓 매출 1위를 기록하며 돌풍을 일으켰다.
레벨인피니트는 다음 달 초까지 '니케' 출시 0.5주년을 맞아 게임 속 캐릭터로 분장한 코스튬 플레이어들이 손님들을 맞이하는 테마 카페를 서울 마포구 망원동에서 운영한다고 밝혔다.
지난해 서브컬처 게임이 다중접속역할수행게임(MMORPG) 및 캐주얼 게임 일변도의 국내 모바일 게임 시장에서 인기를 끌면서 국내 게임사들도 앞다퉈 비슷한 장르 게임 개발에 뛰어들었다.
지난해 서브컬처 육성 시뮬레이션 게임 '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를 흥행시킨 카카오게임즈[293490]는 지난 1월에는 나인아크가 개발한 서브컬처 게임 '에버소울'을 서비스하기 시작했다.
'오딘: 발할라 라이징' 개발사인 라이온하트스튜디오, '뮤' 시리즈로 유명한 중견 게임사 웹젠[069080]도 서브컬처 게임을 만들겠다고 밝혔다.
서브컬처 게임을 즐기고 관련 상품이나 이벤트에 지갑을 여는 주 소비층은 20대·30대 젊은 게이머다.
한 국내 게임사 관계자는 "서브컬처 게임은 투자한 시간, 비용에 따라 일정한 성취가 보장되는 편이라 진입 장벽이 낮다"며 "게임시장 저변이 넓어지며 매력적인 스토리나 캐릭터가 있는 게임을 찾는 수요도 충분히 커졌다"고 분석했다.

[레벨인피니트·카카오게임즈 제공]
jujuk@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단독] 아직도 ‘염전 노예’가 있다고?...염산업 노동자 88명에게 물어봤더니
-
2
“머스크만 믿는다”…테슬라 실적부진에도 서학개미 ‘사자’
-
3
[연합뉴스 이 시각 헤드라인] - 10:30
-
4
日닛산, 中우한 공장 3년만에 철수키로…"추가 폐쇄도 검토"
-
5
[게임위드인] 일본식 RPG의 유럽식 재해석, '클레르 옵스퀴르: 33 원정대'
-
6
태백 시내권역 '관광·교육 중심지' 육성…타워브릿지 7월 개장
-
7
한국마사회, 승용마 번식 지원 사업…80두 규모 무상 지원
-
8
"러 '우주 무기' 의혹 인공위성 고장난 듯…비정상 회전"
-
9
외국인, 4월 코스피 10조 순매도…지분율 31%대로 하락
-
10
中 OEM공장서 명품 싼값에 직접 구매?…中 "조사할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