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올 1~3월 전세 보증사고 1천131건…작년 전체의 75%

인천·서울보다 많아…피해자 연령은 30대 이하가 73% 차지올 전세 보증사고 금액 2천820억원으로 작년 전체의 80% 육박
최찬흥

입력 : 2023.05.09 17:14:04
(수원=연합뉴스) 최찬흥 기자 = 올해 1~3월 경기지역에서 발생한 전세 보증 사고가 벌써 지난해 전체의 75%를 넘은 것으로 나타났다.

역전세난 (PG)
[강민지 제작] 일러스트

9일 경기도가 파악한 주택도시보증공사(HUG)의 전세보증사고 현황에 따르면 올해 들어 3월까지 도내에서 임차인이 전세보증금을 제때 돌려받지 못한 보증사고가 1천131건 발생했다.

이는 지난해 도내 전체 전세 보증사고 건수(1천505건)의 75%에 달한다.

또 전국 전체(3천474건)의 33%를 차지하며 인천시(1천66건), 서울시(956건)를 앞질렀다.

지난해에는 인천시(1천556건)와 서울시(1천870건)의 전세 보증사고 건수가 경기도보다 많았다.

올해 1~3월 도내 전세 보증사고 금액은 2천820억원으로, 작년 전체(3천554억원)의 80%에 육박했다.

연도별 도내 전세 보증사고 건수(금액)는 2020년 644건(1천383억원), 2021년 780건(1천893억원) 등으로 증가 추세를 이어가다가 지난해 1천505건(3천554억원)으로 전년도에 비해 2배 가까이 급증했다.

도 관계자는 "깡통전세 등의 영향으로 전세 보증사고가 급증하고 있고 당분간 이 추세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며 "전세피해자 이주비(최대 150만원) 지원과 긴급 생계비 지원 등 경기도 차원에서 가능한 대책을 강구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 3월 31일부터 이달 3일까지 경기도 전세피해자지원센터를 방문한 전세 피해자 212명의 연령은 30대 이하가 154명(73%)으로 가장 많았고 40대가 36명(17%), 50대가 12명(6%) 등이었다.

주택유형별로는 오피스텔(35%)과 다세대주택(24%)이 많았고, 금액별로는 1억원 초과~2억원 이하(53%)와 5천만원 초과~1억원 이하(20%)가 다수였다.

chan@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07.21 11:27 더보기 >